학술지 초록

기독교교육논총 54집

작성자
wesley4865
작성일
2018-06-30 13:31
조회
2118

Abstract


A Study on the Bruderhof Faith and Life for Modern Times


Nan Ye Kim()Korea Baptist Theological University/Seminar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life of the Bruderhof and to find what messages the community gives to us today. For this purpose, I considered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the Bruderhof and its faith in the second chapter. Its background is derived from the early the Hutterian Church, the Blumhardts and the European Youth Movements. The Bruderhof believe in the Kingdom of God, the Church community, the ways of peace, justice, and the works of mercy and the proclamation of the Gospel as their vocational duty. In the third chapter, I consider the life of the Bruderhof. Their life is a life of community, a life of co-ownership and joint labor, and a life of taking care of each other and serving others. In the fourth chapter, I examine the education of the Bruderhof. For Bruderhof followers, true education is a matter of awakening the soul, of quickening the inner life, so that the whole person is attuned to Christ and His cause, that is, the Kingdom of God. In the fifth chapter, I observe the important messages the community gives us today. Their messages are as follows: 1) the Bruderhof show that the reason and purpose of the Church is the Kingdom of God; 2) they practice the way of discipleship, the way in which the people of the Kingdom of God should go through the practice of the Sermon on the Mount; 3) they pursue a life of justice that resists every kinds of evil; 4) they engage in a life of nonviolence and peace; 5) they educate about the life of the Kingdom of God using a holistic method; and 6) they are able to resolve the loneliness of mankind.

Key Words: Bruderhof Community, The Kingdom of God, Love & Justice, Nonviolent               Peace,  Human being's loneliness

브루더호프 공동체의 신앙과 삶이 현대 교육에 주는 메시지

김난예(침례신학대학교)

nanyekim@hanmail.net

------------------------------------ 한글초록 --------------------------------------

본 연구의 목적은 브루더호프 공동체의 신앙과 삶이 어떠한 것인가를 탐구하며, 그들의 신앙과 삶이 현대 교육에 주는 메시지를 찾는 것이다. 이를 위해 2장에서 브루더호프 공동체의 역사적 배경과 신앙에 대해서 고찰하였다. 브루더호프 공동체의 배경은 초기 후터라이트 공동체, 블룸하르트 부자의 사상, 유럽의 청년운동이었으며, 브루더호프 공동체는 하나님 나라, 교회 공동체, 평화의 길, 정의와 자비의 사역, 복음의 선포를 자신들의 소명으로 이해한다. 3장에서는 브루더호프 공동체의 삶에 대한 고찰로서 그들의 삶은 공동체 안에서의 삶, 공동 소유와 공동 노동의 삶, 서로를 돌보고 섬기는 삶으로 정리된다. 4장은 브루더호프 공동체의 교육으로서 그들에게 교육이란 전인적 인간이 그리스도와 그의 대의에 조율되도록 영혼을 깨우며, 내면의 삶을 활기 있게 하는 것이며, 어린이 안의 천부적인 신성한 불꽃을 북돋아 주고 하나님이 뜻하신 사람으로 자라도록 돕는 것이다. 5장은 브루더호프 공동체가 현대에 주는 의미 고찰로서 브루더호프 공동체는 1) 교회와 그리스도인의 존재이유와 목적이 하나님나라임을 온 몸으로 보여주고 있다는 점, 2) 산상수훈의 실천을 통해 하나님나라 백성들이 가야 하는 제자도의 길을 걸어가고 있다는 점, 3) 모든 악에 저항하는 정의로운 삶을 추구하고 있다는 점, 4) 비폭력 평화주의의 삶을 추구하고 있다는 점, 5) 하나님나라 백성으로서의 통전적인 삶을 교육하고 있다는 점, 6) 인간존재의 외로움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하고 있다는 점이다.

주제어: 브루더호프 공동체, 하나님 나라, 사랑과 배려, 비폭력 평화, 인간존재의 외로움

<Abstract>

Comparative Analysis to the Denominational Curriculum

The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Christian Religious Education held a conference to discuss the studies on the curriculum development of different Christian denominations in Korea. After that conference, all denominations are continuing to developing the curriculum and texts with his/her own educational systems for their students. This article’s purpose is to provide an opportunity for critical reflection and analysis among Christian denominations in Korea regarding youth curriculum. A denomination’s systematical curriculum highly corresponds to the scope and sequence between educational goal and objectives, educational objectives and learning units, learning units and lesson topics. However, the level toof evaluation between educational objectives and learning outcomes is medium moderate. The effectiveness in a denomination’s curriculum highly corresponds to the suitability of educational objectives and behavioral changes, developmental stage and content, languages, interests, and administration of curriculum. But the suitability between experiences of youth and teaching-learning process is not highly emphasized towards the theology of denominations. Legitimacy in a denomination’s curriculum is in has high importance when considering a conflict in contents, and hidden curriculum aspects, both positive and negative. One denomination presents itself at a very high level to the content of social structural change; the rest of the denominations observed are at a low level social structural change. Integration in a denomination’s curriculum corresponds very highly to the educational ministry between biblical knowledge and communities within churches. And most denominations succeed at a high level when it comes to the relationship between church and school ofyouth,churchandhome,and church and society. Inter-subjective communication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and the processive meaning  of content are are at a high level.

Keywords

Denominational Curriculum, Curriculum Analysis, Systematicity, Effectiveness,           Legitimacy, Integration

교단별 교육과정 비교분석

이원일(영남신학대학교)

leewil@hanmail.net

<한글초록>

한국기독교교육학회 학술대회에서 주제로 다루었던 각 교단별 교재개발 현황과 학회 이후 지금까지 교단별로 개발된 교재를 비교 분석함으로 한국 개신교회 교육과정의 발전을 도모하고자 연구하게 되었다. 분석을 위한 이론적 기초는 복음주의 기독교 교육학자인 파즈미뇨에 의해 소개된 교육과정 유형 분류에 기초하고자 한다. 분석을 위한 지표들은 교회 교육과정이라는 특성을 고려하여 선정했으며, 청소년 교재를 중심으로 분석했다. 교단별 교육과정은 체계성에 대한 분석 지표 중에서 교육목적과 교육목표의 상응성, 교육목표와 학습 단원의 체계성, 학습 단원과 세분화된 과와의 순차성 등은 대체적으로 높다. 그러나 체계성에 대한 분석 지표인 교육목표와 학습결과에 대한 평가의 부분은 평균적으로 보통 수준 이다. 효율성에 대한 분석 지표 중에서 교육목표와 행동변화의 관련성, 학습자의 발달단계와 내용선정의 적합성, 발달단계와 서술된 언어의 명확성, 학습 환경과 학습 동기 및 흥미에 대한 고려, 교수-학습과정과 평가 및 행정의 적절성 등에 대해서는 효율성을 높게 반영하고 있다. 그러나 교단의 신학적 내용을 강조한 결과로 학습자의 경험과 교수-학습 과정의 적합성을 매우 높게 고려한 교단은 없다. 정당성에 대한 분석 지표 중에서 교재 내용과 갈등, 긍정적 차원에서의 잠재적 교육과정, 부정적 차원에서의 잠재적 교육과정 등은 대부분의 교단에서 내용으로 높게 다루고 있지만, 교재 내용과 사회구조의 변화에 대해서는 특정 교단에서만 매우 높게 다루고 있는 반면에, 나머지 교단은 낮은 차원 이하의 수준에서만 다루고 있다. 통합성에 대한 분석 지표 중에서 성경적 앎과 교회 공동체와의 통합에 대해서는 대부분 교단에서 교육목회 교육과정을 지향한다고 할 수 있을 정도로 매우 높게 추구하고 있으며, 이외의 분석 지표인 교회와 학교와의 연계, 교회와 가정 및 사회와의 연계, 교사와 학생의 상호주관적 의사소통, 의미구성에 대한 과정적 추구 등에 대해서는 대부분의 교단에서 높게 추구하고 있다.

<주제어>

교단별 교육과정, 교육과정 분석, 체계성, 효율성, 정당성, 통합성

Abstract

Christian Youth Education for the Integration of Pain and Passion

Ji Yeon Woo

Namu Presbyterian Church

 

Pluralism and de-constructionism, which are main characteristics of postmodernism, play a great influence on every aspect of human life. Adolescents, who are situated between childhood and adulthood, are more easily influenced by this trend of postmodernism since they are still in the making of their identity. Thus postmodern trends aggravate confusion and fragmentation in the life of adolescents. This study will delve into variety of educational subjects concerning adolescents by using the categories of 'pain' and 'passion.' The pain dimension of adolescent life are exposed by depression, violence, delinquency, addiction, suicide, etc. On the other hand, the passion dimension of adolescents are expressed by singing, dancing, festivals, travels, experiments, loyalty, etc. Comparatively speaking, we can say that the one is related with the inner and passive dimension of adolescents and the other is related with their outer and active dimension. This inquiry explicates that the pain and passion of adolescents are not separated but rather interrelated like both sides of a coin. When they feel more pain, it may signify that they have more passion, and vice versa. In short, the essential task for Christian educators is to integrate constructive pain with meaningful passion in order to enlighten oneself, surrounding communities, and the world based upon Christian truth claim. This study names this sort of Christian education "Holistic Christian Education for Youth."

This study develops and proposes “5R Educational System” as a method with which Holistic Christian Education for Youth can be implemented. 5R corresponds to five conceptual words which begin with "R": Rebooting, Renewal, Reenactment, Reformation, and Reecho. These five activities are interrelated one another in a dynamic way. These five actions are steps rather than stages and thus they are mutually supportive and reinforce one another inherently in a circular manner.

The ultimate model of Holistic Christian Education for Youth is the Educational Ministry of Jesus Christ. As a young man Jesus himself showed an example of holistic educational ministry which includes all people in all places in all ages. As a young man he experienced extreme pain and passion for all people. He integrated the great pain on the Cross with passion for the salvation. As followers of Jesus and as "little Jesus" in a sense Christian youths need to be embraced, encouraged, and educated to integrate their pain with passion for God and God's people. Toward this goal this study strives so that it may provide a holistic model for Christian Youth Education.

Keywords

Postmodernism, Adolescents, Pain and Passion, Kenda Dean, Holistic Christian Education

고통과 열정을 통합하는 기독교 청소년교육

우지연 (나무교회)

pleasure-20@hanmail.net

국문초록

포스트모던 시대의 특징이라 할 수 있는 다원주의와 해체주의는 인간 삶의 전 영역에 걸쳐 많은 영향을 주고 있다. 아동도 아니고 성인도 아닌 전환기에 놓인 청소년들에게 이러한 포스트모던적 상황은 더 많은 혼란과 분열을 가중시키는 요인이 된다. 본 연구는 청소년과 관련된 수많은 교육적 주제들을 ‘고통’과 ‘열정’이라는 범주 속에서 다루어보고자 한다. 우울·폭력·탈선·중독·자살 등과 같은 청소년 문제들은 청소년이 겪는 고통을 보여주는 단면이다. 한편 노래·춤·축제·여행·탐험·충성 등은 청소년들이 가진 열정을 보여주는 단면이라 할 수 있다. 전자가 청소년 삶의 내면적, 음성적 차원이라면 후자는 청소년 삶의 외면적, 양성적 차원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청소년의 고통과 열정이 상호 분리되거나 모순된 것이 아니라, 동전의 앞 뒤 면처럼 하나로 연결되어 있음을 입증하고자 한다. 즉 아파하고 고통당하더라도 열정이 있고, 열정이 있더라도 아파하고 고통당하는 시기가 곧 청소년기라는 것이다. 그래서 청소년을 위한 기독교교육에서 중요한 점은 그들의 고통을 긍정적·건설적인 방향으로 변환시키고, 그들의 열정을 생산적이고 유의미한 방향으로 변환시키는 것이다. 그리고 이들의 건설적 고통을 분명한 방향이 있는 유의미한 열정과 통합시킴으로써, 자신을 살리고 주변을 살리고 장차 세상을 살리는 통전성을 지닌 통전적인 신앙인으로 자라게 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기독교교육을 가리켜 “통전적 기독교 청소년교육”이라고 명명하면서 이를 실현할 수 있는 구체적 대안으로서 "5R 교육시스템”을 제안한다.

5R이란 다음과 같은 상호 유기적 교육활동을 의미한다. 즉 자기를 새롭게 발견하는 재부팅(Re-booting), 새로운 정체성을 가능케 하는 갱신(Re-newal), 신앙공동체의 전통적 가치를 새롭게 실현하는 재연(Re-enactment), 참된 영성회복을 위한 변형(tRansformation), 자신이 체득한 것을 세상을 위해 나누어주는 재반향(Re-echo)의 상호유기적, 상호순환적 교육활동이다. 무엇보다 예수 그리스도가 자신의 고통(출생, 삶, 죽음)을 자신의 열정(인류를 향한 대속적사랑)과 통합시킴으로써 세상과 역사를 구원했던 것처럼, 청소년들이 삶의 의미를 발견하고 바른 열정으로의 변형을 이끌어가도록 돕는 것이 기독교 청소년교육의 핵심과제요 사명이라 할 수 있다.

주제어

포스트모더니즘, 청소년, 고통과 열정, 켄다 딘, 통전적 기독교교육

Abstract

A Study on Christian Parents’ Involvement in School Education

Young-Taek Kang

Woosuk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how Christian parents should participate in school education, which is increasingly important nowadays. This paper first examined the concept of parents' involvement in school education and examined the background and outcomes of parental involvement. Based on this, This paper discussed the identity of Christian parents in Korea and presented the goals of Christian parents’ participation in school education. In addition, This paper investigated the actual situation of the participation in school education of Christian parents, and suggested the desirable ways for Christian parents to participate in school education. Christian parents should participate in school education in a variety of ways to influence the core work of the school, such as school operations and education. They should actively participate in face-to-face meetings with teachers, volunteering, parent education, and School Operating Committee, but not in a passive manner as the school requires, but in a way that embodies Christian values ​​or the public good. Christian parents should strive to create a caring and learning community in a school, and actively implement a healthy educational ecosystem in a local community. The caring and learning community and the educational ecosystem can be a good environment in which all children, especially the children of marginal groups, learn and grow in a healthy way. To this end, Christian parents need to find a way to collaborate with other local organizations and agencies in order to make fundamental changes, as well as to utilize educational resources in schools and local communities. The research method used in this study was mainly literature review. However in order to investigate the participation of Christian parents in school education, a questionnaire survey for Christian teachers and parents was conducted.

Keywords

Parents’ involvement in school education, Christian parents, Christian parents’ involvement in school education, Caring and learning community, Educational ecosystem

기독학부모의 학교교육 참여에 대한 연구

강영택(우석대학교)

ytkang@woosuk.ac.kr

한글 초록

본 논문의 목적은 오늘날 점차 중요성이 더해지는 학부모의 학교교육참여를 기독학부모는 어떻게 해야 할 것인지 그 방안을 탐색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먼저 학부모의 학교교육 참여의 개념을 살펴본 뒤 학부모참여의 배경과 성과를 살펴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기독학부모의 정체성을 논의하고 그들의 학교교육참여의 목표를 제시하였다. 그리고 현재 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의 학부모 중 기독교인들을 대상으로 학교교육 참여에 대한 실태를 조사하였고, 이러한 것들을 참고하여 기독학부모들의 바람직한 학교교육 참여방안을 살펴보았다. 기독학부모는 학교운영이나 교육과 같은 학교의 핵심 업무에 영향을 미치기 위해 다양한 방식으로 학교교육에 참여해야 한다. 교사와 면대면 만남, 자원봉사, 학부모교육, 학교운영위원회 등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되 단순히 학교가 요구하는 대로 수동적으로 할 것이 아니라 기독교적 가치 혹은 공공선을 구현하는 방식으로 해야 한다. 기독학부모는 학교에 돌봄과 배움의 공동체가 형성되도록 노력해야 하고, 지역사회에 건강한 교육생태계가 조성되도록 적극적인 실천을 해야 한다. 돌봄과 배움의 공동체와 교육생태계를 조성함으로써 모든 아동들 특히 취약계층의 아동들에게 건강한 배움과 성장의 환경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 기독학부모는 교회와 지역사회의 교육자원들을 발굴하여 학교와 지역에서 적극적으로 활용할 뿐 아니라 학교와 사회의 근본적인 변화를 위해서는 다른 기관이나 시민단체들과도 협력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를 위해 사용한 연구방법은 주로 문헌연구에 의존하였고, 기독학부모의 학교교육참여 실태를 조사하기 위해서는 기독교인 교사와 학부모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주제어: 학부모의 학교교육참여, 기독학부모, 기독학부모의 학교교육참여, 돌봄과 배움의 공동체, 교 육생태계

 

Abstract

Study on the Application of Christian Education by Neziqin, Jewish Talmud

Jang-Heum Ok

Hanshin University

As Korean churches are being criticized and undergoing crisis in today’s Korean society, what

new tasks and direction can Christian education move towards in order to create authentic growth

and lead to recovery?  The researcher suggests four tasks and directions in relation to the

Neziqin, the Jewish Talmud, the New Testament of Christianity, and the reality of the Korean

Church. First, Christian education should pursue the communism of faith. Second, Christian

education must pursues practices in accordance with knowledge of faith in life. Third, Christian

education that pursues justice and love in harmony is ideal. Fourth, Christian education

should pursue public faith. The researcher examines the faith and life of the Jewish people,

especially the Neziqin, Talmud, the work of a people who had passed through many hardships in

their long history and did not lose their identity of faith. If the current Korean Church enters a

period of suffering, in which social criticism and criticism for its own fault is shared, it should

be endured. According to the words of the 8th century prophets, if we are able to repent before

God first, and, when the time of punishment passes, we will be able to regain the land of promise

again. Finally, the Korean Church will be in a position to transform the world into a land of blessing.

Key words: Judaism, Talmud, Neziqin, Communism, Practice, Justice and Love, Public Faith

유대교 탈무드 네찌킨(Neziqin)의 기독교교육 적용방안*

옥장흠(한신대학교)

okch1@daum.net

국문초록

오늘날 한국사회로부터 비난을 받고 있으며, 신자수 감소의 위기를 경험하고 있는 한국교회의 진정한 성장과 회복을 위한 기독교교육의 새로운 과제와 방향은 무엇인가? 연구자는 유대교 탈무드 네찌킨과 기독교의 신약성서, 그리고 한국교회의 현실과의 연관성 속에서 네 가지 과제와 방향을 제시하였다. 첫째는 신앙의 공동체성을 추구하는 기독교교육이다. 둘째는 신앙의 지식을 삶으로 실천하는 기독교교육이다. 셋째는 정의와 사랑을 조화롭게 추구하는 기독교교육이다. 넷째는 공적신앙을 추구하는 기독교교육이다. 연구자는 오랜 역사 속에서 수많은 고난을 받으면서도 자신들의 신앙의 정체성을 잃지 않고, 하나님의 약속의 말씀인 토라를 굳게 붙들고 자신들의 땅을 회복시킨 유대인들의 신앙과 삶, 특히 탈무드 네찌킨을 중심으로 검토하였다. 현재 한국교회가 자신의 잘못으로 사회적 비난과 비판의 소리를 들어야 하는 고통의 시기라면, 그것은 감내해야 한다. 그러나 주전 8세기 예언자들의 말씀에 따라, 먼저 우리가 하나님 앞에서 회개하고, 징벌의 시기가 지나가면 다시금 약속의 땅을 회복할 수 있을 것이다. 더 나아가 한국교회는 세상을 축복의 땅으로 변화시키는 자리에 이르게 될 것이다.

주제어: 유대교, 탈무드, 네찌킨, 공동체성, 실천, 정의와 사랑, 공적신앙

Abstract

A Study on Korean Worship Services of Havruta Using Jewish Havruta (חַבְרוּתָא)

Kim Ji Suk

(Hoseo University)

Hwang Byung June

(Hoseo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the Korean Harvuta(חַבְרוּתָא)family worship with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parent-child for faith education through the study of the Havruta method of the Jewish people in for the faith education of parents and children of Korean churches in the under going a crisis of the family. Through this method, the study would like to present an alternative to restoring the faith and relationship of between the parents’ and the children's generation the generations of parent and child and to restoring transforming to the field of faith training and spirituality training that builds the family into a faith community. Havruta worship is a biblical home worship service conducted in the home that can find biblical and historical origins in the Old and New Testament era; moreover, Jesus and Paul also gave a service in the Havruta style. The Jewish people, more than anything else, consider the Havruta worship the most important. The Sabbath worship of the Jewish people is done through the Sabbath table. The Jewish people also gave hold a ceremony for the Havruta. Even now, while the Jewish people rest on the Sabbath, the “Sabbath Day Table” is prepared in the evening, and three to four people gather to have the Sabbath dinner. The Jewish people offer worship at the Sabbath table, share food, present aquestions based on the Bible, ask questions, discuss and communicate. This has been a style of worship service for as long as nearly 3,400 years. The Jewish people have kept faith strong between in their parents and children through the service of Havruta and have taught their faith according to God's command. This study articulates the significance of the Hebrew Havruta worship of the Jewish people, their its biblical, historical, and theological origins, and how this holy worship was applied in their lives of followers. And The study also compares the domestic church worship services with the worship service of the Havruta worship, and suggests a possible application of the Havruta worship services to the Church and the family. Therefore, the study would like aims to contribute to the revival of the Korean Church through faith training that encompasses the generations of parents, children and generations.

Keyword: Havruta, Havruta Worship, Parents and Children, Faith Education, Korean Churches, Korean Harvuta(חַבְרוּתָא) Family Worship

하브루타(Havruta, חַבְרוּתָא)를 활용한 한국적 하브루타 가정예배 연구

황병준(호서대학교)**

vandy26@hanmail.net

김지숙(호서대학교)*

kimjisuki@hanmail.net

한글초록

본 연구는 가정의 위기상황에 처해 있는 한국교회 부모-자녀의 신앙교육을 위해 유대인의 하브루타(Havruta, חַבְרוּתָא)방법 고찰을 통해 부모-자녀가 함께 하는 한국적 하브루타 가정예배를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부모 세대와 자녀 세대의 신앙 및 관계를 회복시키고 가정을 경건한 신앙공동체로 세우는 신앙훈련 및 영성훈련의 장으로 다시 회복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하브루타 예배는 구약이나 신약시대에서 성경적이고 역사적인 기원을 찾을 수 있는 성서적인 가정 예배이다. 예수님도, 바울도 하브루타 예배를 드렸다. 유대인들은 그 무엇보다도 하브루타 예배를 중요하게 여긴다. 유대인들의 하브루타 예배는 안식일 식탁을 통해 이루어진다. 유대인들은 절기를 통해서도 하브루타 예배를 드렸다. 지금도 유대인들은 안식일에 쉬는 동안 저녁에 ‘안식일 식탁’을 마련하여 3∼4대가 모여 샤밧 디너(sabbath dinner)를 갖는다. 유대인들은 안식일 식탁에서 예배를 드리고 음식을 나누며 성경을 근거로 한 하나의 문제를 제시하여 질문하고, 토론하며, 대화한다. 이런 하브루타 예배가 무려 3400년 동안이나 이어져 왔다. 유대인들은 하브루타 예배를 통해 부모와 자녀의 신앙을 지켜오며 하나님의 명령대로 신앙을 전수해왔다. 따라서 본 연구는 유대인들의 하브루타 예배의 의미를 성서적, 역사적, 신학적 기원을 통해 알아보고, 하브루타 예배가 어떻게 그들의 삶속에서 적용되었는지를 알아보려고 한다. 그리고 하브루타 예배를 한국교회와 한국가정에 적용 가능한 방안을 사례를 통해 제시하려한다. 그리하여 부모세대와 자녀세대 및 전 세대를 아우르는 하브루타 신앙교육훈련을 제안하고자 한다.

주제어: 하브루타(Havruta, חַבְרוּתָא), 가정예배, 부모-자녀, 하브루타 신앙교육훈련, 한국적 하브루타 가정예배

ABSTRACT

Developing an Interest Level Scale of the Church Education Programs for Measuring the Effectiveness of Church Educational Activities

Lee Eun Chul(KEDI)

Nam Sun Woo(Yulim Presbyterian Church)

Lee Seong Ah(Korean Bible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 interest level scale of the church education programs for measuring the effectiveness of church educational activities. The initial set of 36 items with 7 sub-constructs were generated from literature reviews. A preliminary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content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initial items with 119 youth in the metropolitan area. Through the preliminary study, 1 items were was removed based on the value of Cronbach α. After that Next, the main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examin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designed scale.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for validity test, and the examination of the 35 items scale indicated an barely acceptable level of fit, though only barely. The deletion of 3 items with cross-loading improved the model fit (χ2=615.284, df=284,p<.001, CFI=917, TLI=897, RMSEA=.057). Finally, utility and academic implication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Keywords : Measurement of interest level, church education activities, effectiveness of church education program, development of scale, development of interest level scale

교회교육활동 효과성 측정을 위한 청소년 교회교육 프로그램 흥미수준 측정 도구 개발

이은철(한국교육개발원)

godlec@hanmail.net

남선우(열림교회)

calvin21@empal.com

이성아(한국성서대학교)

babyfish@bible.ac.kr

한글초록

본 연구는 교회교육활동의 효과성을 측정할 수 있는 청소년 교회교육프로그램 흥미수준 측정 도구를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예비 연구를 수행하였다. 흥미 수준 측정도구 관련 연구를 참고하여, 7개의 하위요인과 36개의 예비 문항을 구성하였다. 하위요인은 일반적인 교육 흥미 5개 요인과 교회교육 활동 2개 요인으로 구성하였다. 이론적 탐색을 통해서 일반적인 교육 흥미 수준의 하위요인 5요인과 교회교육활동과 관련된 흥미 수준 2요인을 구성하였다. 수도권의 교회에 출석하는 청소년 119명을 대상으로 예비 검사를 실시하였고, 신뢰도 검증 결과 .73에서 .93까지 양호하게 나타났다. 그러나 교육내용 선호 요인에서 신뢰도를 저해하는 1개 문항을 제외하였다. 본 검사는 수도권 소재 교회에 출석하는 청소년 408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본 검사의 내적 합치도를 확인하기 위해 신뢰도 검증을 한 결과, 신뢰도는 .74에서 .93까지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구인 타당도 검증을 위해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초기 모형은 모형 적합도가 낮아 요인 부하량을 토대로 2문항을 제거하는 것으로 모형을 수정하여 다시 분석하였다. 수정모형의 적합도는 χ2=1643.676, df=474,p<.001, CFI=929, TLI=979, RMSEA=.055로 교회교육프로그램의 흥미수준을 측정하는 적합한 모형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는 7개 하위요인에 33개 문항으로 구성된 교회교육 프로그램 흥미수준 측정도구를 개발하였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교회교육활동의 효과성을 측정할 수 있는 흥미수준 도구를 개발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주제어

흥미수준 측정, 교회교육활동, 교회교육 프로그램 효과성 측정, 측정도구 개발, 흥미수준 측정도구 개발

Abstract

Reflection on the Prayer and Meditation through the Labyrinth

Jingu Kwon

(Mokwon University)

The first Christian labyrinth was constructed in a cathedral in Algeria about 30 years after the Edict of Milan (313 C.E.), though the origin of the labyrinth dates to ancient Greek religious practice and the myth of Minotauros and Theseus.  The use of Christian labyrinths spread throughout the Western Roman Empire into areas like France and Italy. The labyrinth has been constructed in various (e.g. quadrilateral, circular, and octagonal) forms, and the sizes of labyrinths range from as small as a human palm or big enough for walking by several people. Today, Christians are reflecting anew on the Christian meaning and practice of the labyrinth, especially in Europe and North America. Most Korean Christians are unfamiliar with the labyrinth and its use in Christian churches in different countries. This study introduces the origin and history of the labyrinth to Korean churches for the possible future conversation on its use.

Keywords

Labyrinth, Prayer, Spirituality, Minotauros, Theseus

Labyrinth를 통한 기도와 묵상에 대한 고찰

권진구(목원대학교)

daniel1978@naver.com

한글 초록

기독교적 Labyrinth는 로마제국의 기독교 공인 이후 4세기 중반 교회에 설치되어 사용되기 시작했다. 이후 서로마제국에 해당하는 프랑스와 이탈리아 등지의 교회로 전파되었고, 12세기를 전후해 더 많은 수의 Labyrinth가 교회에 설치되었다. 사각형, 원형, 팔각형 등 다양한 형태로 표현됐고, 크기도 다양해서 손바닥만 한 크기에서 여러 명이 함께 걷기에 충분할 만큼 큰 Labyrinth도 생겨났다. Chartres 성당의 Labyrinth는 13세기 이후 중세 Labyrinth의 모델이 되었고, 현재 유럽 및 북미지역에서 Labyrinth는 다시금 조명 받으며 기도와 묵상의 방법으로 유행하고 있다. Labyrinth의 기원은 고대 원시종교 및 그리스신화라 할 수 있다. 고대 사람들은 종교적 심성을 표현하는 한 방식으로 Labyrinth를 이용했고, 그리스신화에서는 Labyrinth의 기원이 테세우스라는 영웅을 통해 설명되고 있다. 한국 교회는 아직 Labyrinth에 익숙하지 않고, 설치된 수도 많지 않다. 이러할 때 Labyrinth의 기원과 역사적 변화에 대해 살펴봄으로써, 향후 있을 수 있는 Labyrinth에 대한 교회의 논의에 기여할 수 있기를 바란다.

주제어

라브린스, 기도, 영성, 미노타우로스, 테세우스

Abstract

A Qualitative Case Study on the Operation of Intensive Semester through Liberal Arts Education: Focused on the Case of A University in Korea

Yoo Ji Eun

(Anyang University)

As the modern society is transformed into an interdisciplinary-integrated and knowledge-based society,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such as universities have to consider new methods of delivering courses. Therefore, I examined the operation of the an intensive semester conducted at A university through a qualitative case study. 22 students in the Department of Christian Education who attended the first-year liberal arts course, ‘Community Citizenship and Field Service Project’ we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result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participants were able to think about their careers in relation to their major (i.e. Christian education) through this intensive semester; second, participants with similar interests were able to expand their thoughts through group activities; third, students were able to plan and organize detailed service activities through cooperation in accordance with instructional goals rather than a professor’s unilateral direction; fourth finally, interaction between students strengthened their communication skills, and they could participate more actively in class.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intensive semester were also discussed.

Key words: intensive semester, liberal arts course, service activity, qualitative case study

몰입학기 활용에 관한 질적사례연구: A 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유지은(안양대학교)

msje9295@anyang.ac.kr

------------------------------------ 한글초록 --------------------------------------

현대 사회가 융복합 및 지식기반 중심으로 변화되면서 고등교육 기관인 대학의 교육 환경은 교양교육에 대한 새로운 교육 방법 및 형태를 요구하고 있다. 특히 대학에서 시행되고 있는 몰입학기의 다양한 장점이 대두대면서 몰입학기는 대학교육의 다양한 방법적 변화 중 하나로 여겨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2017년 A 대학교에서 실시한 몰입학기의 운영 방법과 내용을 질적사례연구를 통해 살펴보았다. 구체적으로 공동체 시민과 현장봉사 프로젝트라는 1학년 교양필수 과목을 수강한 기독교교육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세 가지 영역(몰입학기, 봉사활동과 로드맵, 전반적 평가와 교육적 성과)에 따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A 대학교 몰입학기를 통해 운영된 공동체 시민과 현장봉사 프로젝트 수업은 기독교교육과 학생들에게 봉사활동과 자신의 전공을 연계해주는 의미 있는 교양수업으로 전공과 관련하여 진로에 대한 고민을 미리 할 수 있던 점, 비슷한 관심과 진로에 대한 고민을 하는 학생들이 모둠활동을 통해 자신의 생각을 확장시킬 수 있었던 점, 교수자의 일방적 지시나 리드가 아닌 수업 목표에 맞게 학생들이 세부적 봉사활동을 기획할 수 있었던 점, 그리고 학생들 사이의 상호작용이 의사소통 역량을 강화하여 적극적 수업 참여를 할 수 있었던 점 등이 긍정적인 교육성과로 평가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추후 몰입학기가 대학 교양수업의 다변화를 모색하는 하나의 대안이 되길 기대해 본다.

주제어: 몰입학기, 대학교 교양교육, 봉사활동, 질적사례연구

Abstract

A Study on the Influences of Cooperative Relationship to the Church and Maeul Community.

Seunghwi Ko

(SUNGKONGHOE UNIVERSITY)

This study is a qualitative case study on the influence of cooperative relationship to the substantial changes of church and Maeul Community. The cooperative relationship and active participation of church members based on the flexability, intimacy, and equality is the core factor of those changes. With two significant case studies, I tried to elaborate the way that the narratives building the church and Maeul community. Above all, I focused on cooperative relationship of living together with the poor and weak which can tell the fundamental difference from secular education. And also this thesis contains singularity of relationship in church community, which shows “living together as a whole generation” over “living together merely based on  personal intimacy and blood centered egoism”. Especially, I explained a concept of cooperative relationship in connection with the living together with the weak and poor as unique characteristic of Christian education. It’s the characteristic that shows clear difference against secular education in terms of its aims, activity and ideology. In general, secular education tends to be growth, aim achievement, and task achievement oriented. Sometimes we feel that the cooperative relationship of living together with the weak and poor is not fast enough in terms of its quantative growth, but it is much sustainable, and powerful than ordinary size oriented church growth movements. And the narratives over generations living together creates the healing effects to the wound by the separation of generations.

I also found that equality of relationship makes a dynamic church community for Missio Dei(mission of God), and it also leads all church members to be the cooperative and subjective participants. Subjective participation of community members results internalization of faith, and it also shows snowball effect to spreading subjective participation. During such participation, congregation experiences confessional conversion moments that lead to an experience of presence of kingdom of God. I witness the church becoming the mission oriented public community by destroying the barriars among them and establishing dynamic and cooperative relationship with the weak and poor.

Pastor’s leadership on equal relationship among congregation makes the church community more dynamic, and it helps church members have deeper faith and lead to the  conversional experience. Truely, the cooperative relationship as subjective participation is a God’s grace that comes from the dynamic relationship between God and human being.

Key Words: Missio Dei, cooperative relationship, intimacy, equality of relationship, cooperative relation from weakness, survival, diffusion

협력적 관계가 교회와 마을 공동체에 미치는 영향 연구

고성휘 (성공회대학교)

hwigo@hanmail.net

한글초록

본 연구는 관계의 유연성, 친밀성, 수평성을 기초로 한 교회공동체 구성원들의 협력적 관계와 주체적 참여가 교회와 마을공동체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질적사례연구이다. 두 개의 교회의 사례에서 보여 지는 공통점을 기반으로 교회와 마을공동체를 만들어가는 이야기를 살펴보았다.

우선 교회공동체에서 보이는 협력관계의 특이성을 친밀성과 가족이기주의를 뛰어 넘는 전 세대 간 살아내기, 그리고 일반교육과는 근본방향이 다른 약함과 함께 살아내는 협력관계를 살펴보았다. 특히 약함의 협력관계는 성장지향적, 목적지향적, 과제수행적, 성과우선적인 성장이데올로기에 편승한 교육목적과는 상반되는 교육적 관계로서 기독교교육이 갖는 특이성이라 말할 수 있다. 성장 이데올로기를 거부하고 약함을 위한 협력의 공동체로 향하고자 하는 교회공동체가 더딜 것 같지만 오히려 지속적이고 확산적인 생명공동체를 만들어간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전 세대가 함께 살아내는 이야기는 세대 간 단절된 대화와 소통의 문을 열며 상처받은 자들에 대한 예수의 다가섬, 함께 고난당하심의 적극적인 활동임을 보여주고 있다.

그리고 협력적 관계에서 가장 중요한 전제가 되는 관계의 수평성이 하나님의 선교하는 공동체를 더욱 역동적으로 만들며 모든 활동에 있어서 설계도를 공유하는 수평적 관계가 더욱 주체적인 참여로서의 협력을 이끌고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공동체 구성원의 주체적 참여는 마을로 확산되는 과정에서 신앙의 내면화 현상이 나타나며 모임과 활동 가운데 하나님나라의 임재를 경험하는 고백적 회심의 과정을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경계를 허물고 서로의 협력을 통해 약함의 소중함과 탈중심적 역동성을 구성원들 자신이 알아갈 때 어느새 교회 공동체는 선교하는 공적공동체의 위상을 정립해 나가고 있었다. 또한 목회자의 수평적 리더십이 교회공동체를 더욱 역동적으로 만들며 공동체 구성원의 신앙적 내면화와 회심의 과정을 구체적으로 돕는다. 결국 주체적 참여로서의 협력적 관계는 하나님과 인간, 두 상관항의 역동적인 상호작용에서 나오는 근원적인 하나님의 은총임을 알 수 있었다.

주제어

하나님의 선교, 협력 관계, 친밀성, 관계의 수평성, 약함의 협력관계, 살아내기, 확산
첨부파일 : 학술지초록.hwp
전체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