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지 초록

기독교교육논총 55집

작성자
wesley4865
작성일
2018-10-01 17:31
조회
2406
Abstract

 

Curricula for Christian Parents of Students Based

on Parents’ Developmental Stages

 

Sang-Jin Park

Presbyterian University and Theological Seminary

 

 

Traditionally, Christian education curriculum has been understood to be something that a Christian teacher teaches for Christian students. However, because an important main agent of Christian education is parents according to the biblical approach, curricula for Christian parents of school-age children through which Christian parents can nurture their children on the basis of Christian viewpoints should be central in Christian education. Especially, in this country where the importance of academic achievement is emphasized, a curriculum is necessary for Christian parents of ‘students’ specifically, rather than for Christian parents in general.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design a curriculum for Christian parents of students that helps Christian parents establish their own identity and practice their own role as Christian parents. The content and character of the curriculum for Christian parents of students depend on the developmental stages of the parents, which are deeply related to their children’s age and stages of development. This study suggests a curriculum for Christian parents of students based on the developmental stages of parents proposed by Galinsky, taking into account the relationship structure of Christian parents, including their relationship

with God, their own self, their spouse, and their children, with education/study, with schools, teachers, and other parents, and with God's Kingdom.

 

‖ Keywords ‖

Christian parents of students, Curriculum for Christian parents of students,

Developmental stages of parents, Parenting education, Relationship structure

 

박상진(장로회신학대학교/교수)

imaginepsj@hotmail.com

 

 

한글 초록

전통적으로 기독교교육에서 있어서 교육과정은 교사가 학생에게 가르쳐야 하는 내용으로 이해되어 왔다. 그러나 기독교교육의 중요한 주체가 부모이고, 부모가 자녀를 기독교적 가치관으로 잘 양육할 수 있도록 부모를 세우는 부모 교육과정은 기독교교육과정의 중심이 되어야 한다. 더욱이 자녀의 학업이 중요시되는 이 사회 속에서는 기독 학부모로서의 역할을 건강하게 감당하도록 돕는 기독 학부모 교육과정이 요청된다. 본 연구는 기독교교육에 있어서 부모의 중요성에 주목하면서, 그들을 기독교 학부모의 정체성을 지니고 기독 학부모로서의 역할을 제대로 감당할 수 있도록 세우는 기독 학부모 교육과정을 개발하기 위한 것이다. 기독학부모 교육과정은 어떤 연령대의 자녀를 둔 부모인가에 따라 그 내용과 성격이 다를 수밖에 없다. 자녀의 발달에 따라 부모도 발달하게 되는데 이러한 변화하는 자녀들을 기독교적 관점으로 올바르게 교육하기 위해서는 부모 발달단계에 맞는 기독 학부모 교육과정이 개발될 필요가 있는 것이다. 본 연구는 갈린스키의 부모 발달단계에 근거한 기독 학부모 교육과정을 제시하되, 기독 학부모의 관계 구조, 즉, 하나님, 자신, 자녀, 교육(학업), 가족(배우자), 학교(교사), 다른 학부모, 하나님 나라와의 관계에 비추어 교육 내용을 제안한다.

 

‖ 주제어 ‖

기독 학부모, 기독 학부모 교육과정, 부모 발달단계, 부모 교육, 관계 구조

 

 

 

 

 

Abstract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New Perspective to Educational Pastoral Care

: Focus on Artificial Intelligence Age

 

Jeong-Joon Kim

Research Professor, Sungkonghoe University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s one of the hot topics currently drawing worldwide attention. In all disciplines of the world, including Korea, research and discussions are underway on what to prepare and how to respond to the great changes in the world brought on by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n this context, the researcher first looked at the concept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ncluding an analysis of leading technologies, and major issues that developed during this period. In these situations, I examined areas, tasks and directions of the educational ministry as practical theology. This paper has been divided into five parts: I. Introduction: I raised research motivations and problems involved in the creation of this paper. II. The Main Issues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e most prominent concerns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re covered across three themes.

1. The Meaning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 discuss the views of three scholars regarding the implications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Here I introduce and analyze concepts of three dominant scholars, including Alvin Toffler's “The Third Wave”(1980), Jeremy Rifkin's “The Third Industrial Revolution”(2011), and Klaus Schwab's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2016). 2. The Main Technologies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Here I present three domains of technology, including the physical sphere, digital sphere, and biological sphere. 3.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Artificial Intelligence: The three concepts of Artificial Intelligence, Strong Artificial Intelligence(SAI) vs. Weak Artificial Intelligence(WAI), and Issues in Education are examined. III.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its concerns in Education: Three Educational concerns are presented as follows. 1. Educational concerns of Jeremy Rifkin’s the Third Industrial Revolution,

2. Educational concerns of Klaus Schwab’s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3. Educational concerns of Korea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ge. IV. Educational Ministry Tasks of the Korean Church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ge: Here I discuss three themes pertaining to new situations of Educational Ministry as follows.

1. Historical awareness and self-consciousness of Christian Church.

2. Educational ministry in new situations, caring and

nurturing. V. Conclusion: Finally I insist that despite the benefits and convenience of innovative technologies offered to us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of the twenty-first century, we must once again reflect on the meaning and direction of education ministry as a source of caring for excluded and alienated human beings.

 

‖ Keywords ‖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Educational

Ministry, Care and Nurture

 

 

 

김정준(성공회대학교/연구교수)

kjj-2001@hanmail.net

 

한글 초록

오늘날 제4차 산업혁명’은 전 지구적으로 주목을 받고 있는 뜨거운 관심사들 가운데 하나이다. 한국을 포함하여 세계의 모든 학문 분야에서는 제4차 산업혁명이 가져올 세상의 큰 변화에 대하여 무엇을 준비하고, 어떻게 대응해야 할 것인지에 대한 연구와 토론이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연구자는 먼저, 제4차 산업혁명의 개념과 그 주요 기술들의 내용, 주요 이슈들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러한 시대적 상황에서 실천신학으로서 교육목회가 관심을 가져야 할 영역과 교육목회의 과제와 방향은 무엇인지 살펴보았다. 본 논문은 다음과 같은 다섯 부분으로 전개되었다. I. 들어가는 말에서는 연구 동기와 문제를 제기하였다. II. 제4차 산업혁명의 주요 이슈들에서는 세 가지 주제를 다루었다. 1. 제4차 산업혁명의 의미에 대한 세 학자들의 견해를 논의하였다. 1980년 앨빈 토플러의 ‘제3물결’, 2011년 제러미 리프킨의 ‘3차 산업혁명’, 2016년 클라우 슈밥의 ‘제4차 산업혁명’의 개념을 소개하였다. 2. 제4차 산업혁명의 주요 테크놀로지들에서는 물리학 기술, 디지털 기술, 생물학 기술 등을 소개하였다. 3. 제4차 산업혁명과 인공지능에서는 인공지능의 개념, 강한 인공지능 vs. 약한 인공지능, 인공지능과 교육에서의 이슈 등을 다루었다. III. 제4차 산업혁명과 교육 분야의 관심에서는 1. 리프킨의 3차 산업혁명과 교육의 관심, 2. 슈밥의 제4차 산업혁명과 교육, 3. 제4차 산업혁명 시대 한국 사회에서의 교육적 관심 등을 소개하였다. IV. 제4차 산업혁명 시대 한국교회 교육목회의 과제에서는 1. 기독교회의 역사의식과 자의식, 2. 새로운 상황과 교육목회: 돌봄과 양육 등을 논의하였다. V.나가는 말에서는 21세기 제4차 산업혁명의 우리에게 선사한 혁신적 기술들의 혜택과 편리함에도 불구하고 여기서 배제되고 소외된 인간에 대한 관심과 돌봄으로서 교육목회의 과제와 방향의 의미를 다시 한 번 성찰함으로 글을 마쳤다.

 

‖ 주제어 ‖

제4차 산업혁명, 인공지능, 과학기술, 교육목회, 돌봄과 양육

 

 

 

Abstract

 

A Qualitative Study for the Improvement of the Curriculum of Master of Divinity (M. Div.) Degree Program: Centering on the Experience of Students at H University

 

Un Chu Kim

Professor, Hanil University and Presbyterian Theological Seminary

 

Nowadays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its pervasive influence on Korean society is a commonly discussed topic. The resultant change, in turn, affects social life in general, as well as challenges the field of theological education. In the midst of this rapid change, the Korean Church is losing credibility in the public mind. Much of this loss of credibility is due in part to crisis among ministers, itself connected to theological education at the seminary and divinity school levels.

Although much research on theological education has been conducted thus far, most of the findings are based on theoretical data done by scholars rather than on insights gained from the perspective of students. Considering this reality, the author acknowledges the necessity of research which draws out the stories of students' experience with the curriculum and explores the meaning of that experience.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challenge and implication for theological education by studying the experience of students with their curriculum. For this aim, this paper first provides data from the stories of students who ‘perceived and experienced' the curriculum. Second, some insights for the improvement of curriculum for the Master of Divinity (M. Div.) degree program based on the analysis and reflection of data are suggested.

 

‖ Keywords ‖

Theological Education, Qualitative Research, Biblical Knowledge,

Development of Character, Spiritual Discipline, M. Div. Degree Curriculum

 

김은주(한일장신대학교/교수)

ukim@hanil.ac.kr

 

 

 

 

한글 초록

요즈음 4차 산업혁명이란 용어는 많은 곳에서 회자되고 있고, 그로 인한 변화는 사회생활 전반에 영향을 끼치고 있으며, 신학교육에도 많은 도전을 주고 있다. 게다가 이처럼 빠르게 변하는 세태 속에서 기독교는 그 신뢰도를 잃어버리고 있다. 기독교에 대한 지탄으로 인한 교회의 위기는 목회자의 위기와 깊은 관련이 있고, 이는 다시 그들을 양성하는 신학교의 교육과 연결되어 있다. 그 동안 신학교육에 관한 많은 연구들이 행해졌으나 주로 학자들에 의한 이론적 고찰이 대부분이다. 반면에 교육의 대상자인 학생들 입장에서 성찰한 신학교육에 관한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이러한 배경에서 연구자는 신학대학원생의 학습을 입체적으로 이해하고, 그들의 교과과정 경험에 귀 기울이며, 그 경험이 갖는 의미와 맥락을 탐구하는 연구가 필요하다고 보았다. 본 연구는 신학대학원생의 교과과정에 관한 인식과 경험을 고찰해봄으로써 신학대학원 교육에 주는 도전과 함의를 모색해보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첫째, 신학대학원생들이 지각하고 경험한 교과과정에 대한 그들의 이야기를 듣고 탐구한 자료를 제공한다. 둘째, 자료 분석과 이를 통해 얻은 성찰을 바탕으로 신학대학원 교과과정개선을 위한 함의를 도출하여 제안한다.

 

 

‖ 주제어 ‖

신학교육, 질적 연구, 인성 계발, 영성 훈련, 성경 지식, 신학대학원 교과과정

 

 

 

 

 

 

Abstract

 

A Study on Holistic and Spiritual Christian Education of the Universality and Personality in Universal Love: Based on Teilhard de Chardin's Scientific Insights

 

 

Sun Ah Kim

(Visiting Professor, Kangnam University)

 

This study attempts to explore the new orientations and tasks of Christian education required in this modern scientific age. For this purpose, Chardin's scientific insights are examined seeking the possibilities of the key role of Christian education in this modern scientific age.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suggest a new orientation and task of holistic and spiritual Christian education based on Chardin's insights from the holistic viewpoints. In other words, this study examines

holistic and spiritual viewpoints focusing on Chardin's insight of universal evolution which leads us to the universality and personality of universal love included in the energy of universal love. Ultimately, this concept leads us to the Omega point, the ultimate point that evolves from the reflective energy of free love. That is, the Omega point is Jesus Christ who evolves into universal love along with the universality and personality of the reflective energy of free love. From this kind of exploratory course, the new orientation and task of Christian education suggests as follows: first, Christian education as the human acts for the life of communication between God and human; second, Christian education as the practice of the universal love fulfilling the union with God. This study closes with the following three suggestions: first, Christian education should give opportunities to all Christians so that they may reflect on the evolution of life in God; second, Christian education should let any Christians move from the internal Kingdom of God to the Kingdom of God which grows and develops in this world; thirdly, Christian education should discipline all Christians to be full of the Kingdom of God with three kinds of virtues, namely, purity, faith, and fidelity. In conclusion, further discussion on Chardin's scientific insights should be encouraged and supported by the holistic and spiritual viewpoints of Christian education. More follow-up studies of holistic spiritual Christian education on the universality and personality of universal love should continue to study deeply and ecumenically.

 

 

‖ Keywords ‖

Teilhard de Chardin's Scientific Insights, Evolution of Universe, Omega Point,

Universal Love, Holistic and Spiritual Education

 

김선아(강남대학교/겸임교수)

kijshhs@hanmail.net

 

 

한글 초록

본 연구는 현대 과학 시대에 요청되고 있는 기독교교육을 통전적 ․ 영성적 관점에서 탐구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서술하자면, 빅뱅이론으로 대표되는 현대 우주론이 제기하는 우주 폭발의 위협 앞에서 살아가는 현대 기독교인들을 위한 기독교교육의 방향과 과제를 탐구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신학자이자 과학자인 떼이야르의 우주 진화론 및 과학적 통찰에 빚을 지고자 한다. 우주가 알파 포인트인 빅뱅으로부터 오메가 포인트인 그리스도에게로 진화한다는 떼이야르의 우주 진화론에 대한 과학적 통찰은 우주 진화의 힘이자 우주의 모든 존재 내에 있는 우주적 사랑의 에너지가 품고 있는 보편성과 인격성에로 우리의 관심을 집중하게 한다. 더 나아가 궁극적으로, 인간의 반성적인 자유로운 사랑의 에너지가 보편성과 인격성을 갖춘 우주적 사랑으로 진화한 (진화의) 궁극적 수렴점, 곧 오메가 포인트인 그리스도에게로 우리의 관심을 향하게 한다. 본 연구는 떼이야르의 이러한 과학적 통찰에 근거하여 기독교교육이 우주적 사랑의 보편성과 인격성을 향한 길 인도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겠는가를 탐색한다. 이러한 탐색의 과정을 거쳐 연구자는 우주적 사랑의 보편성과 인격성을 지향하는 통전적 ․ 영성적 기독교교육으로서 하나님과 교통하는 삶을 위한 인간의 행동으로서의 기독교교육, 하나님과 일체를 이루는 우주적 사랑의 실천으로서의 기독교교육을 제시한다. 연구자는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함으로써 본 연구를 마무리한다. 첫째, 기독교교육은 모든 그리스도인으로 하여금 하나님 안에서의 생명 진보에 관한 성찰을 할 수 있도록 모든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 둘째, 기독교교육은 모든 그리스도인으로 하여금 자신의 내면에 있는 하나님의 나라로부터 출발하여 세계 안에서 발전하고 성장하는 하나님의 나라로 나아가게 해야 한다. 셋째, 기독교교육은 모든 무한자 가운데 가장 능동적인 덕, 즉 순수와 신앙과 충실의 세 가지 덕으로 하나님의 나라를 충만하게 하도록 모든 그리스도인을 훈련하도록 해야 한다. 결론적으로, 연구자의 이러한 우주적 사랑의 보편성과 인격성을 지향하는 통전적 ․ 영성적 기독교교육의 제언이 실천되어 사도 바울이 소망했던 바와 같이 모든 피조물이 그리스도에게 이끌려 우주적 사랑 안에 하나가 되는 인류의 미래가 펼쳐지길 기대한다.

 

 

‖ 주제어 ‖

떼이야르의 과학적 통찰, 우주 진화, 오메가 포인트, 우주적 사랑, 통전적 ․ 영성적 기독교교육.

 

 

 

 

 

 

Abstract

 

A Holistic Study of the Fathering Styles, Child’s Relationship, and the Image of God as Father

 

Min Sun Lee

(Adjunct Professor, Methodist Theological University)

 

 

Mothers were defined typically as primary caregivers in existing theories on parent-child attachment. This is based on the biological connection between mothers and infants that was formed through pregnancy, childbirth, and breastfeeding, assuming that mothers are suited to nurturing and raising their babies.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when the focus is moved from mother to father, fathers have a large influence on their child’s development, well-being, and spiritual formation. Thu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ncourage fathers to become involved in their children’s parenting, life, and spiritual formation by accepting that good relationships between fathers and children are closely related to children’s happiness, career, and faith.

Accordingly, this study consisted of the following structure: first, this study dealt with the “father effect,” that is, how fathers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when they get involved in their children’s life and faith development; secondly, different fathering styles were introduced and then discussed that followed tips concerning the ideal fathering style; thirdly, this study discussed how children’s relationships with their fathers affect their relationship with God as Father - that is, one should feel cared for when the term “father” is applied to God. This study was concluded to teach church leaders the importance of education for fathers in areas of mission strategies, Christian education, and counseling; and to show that education is life itself rather than simply a transmission of knowledge and subject matter.

 

 

‖ Keywords ‖

father factors, fathering styles, father-child attachment relationship, metaphor

God as father, spiritual formation



이민선(감리교신학대학교/강사)

shinsaebyuk@yahoo.com

 

 

한글 초록

기존의 부모-자녀 애착 관계 이론은 임신, 출산, 수유 등과 같은 어머니-아기의 생물학적인 연계성을 근거로 어머니를 부모 대표 혹은 주 양육자로 규정하면서 어머니만이 자녀를 양육할 수 있는 적임자임을 입증하는데 주력했다. 본 연구는 아버지-자녀의 애착 관계, 아버지의 스타일, 아버지의 자녀 양육 참여에 관해 성찰함으로 아버지는 어머니와 비슷하게 때로는 아버지만의 독특한 방식으로 자녀의 발달, 웰빙(well-being) 그리고 신앙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임을 입증한다. 그러므로 이 연구의 목적은 자녀의 양육, 자녀의 성장 그리고 자녀-부모와의 관계에서 어머니의 역할, 책임, 자질에 주목했던 시선을 아버지에게로 돌려 그동안 배제나 간과되었던 아버지의 역할과 역량을 확인하고 아버지가 자녀의 교육, 삶, 더 나아가 자녀의 신앙 형성과 성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개입하도록 격려하는 것이다. 개인적인 이유와 사회 문화적인 이유로 어머니만큼 자녀와 양적인 시간을 보낼 수는 없지만, 자녀와 관계를

형성하고 자녀의 교육과 삶에 개입하는 아버지만의 특별한 방식과 그것의 중요성이 먼저 다루어졌다. 다음으로, 여러 가지 아버지 유형이 소개 되는데 그중에서 자녀의 발달, 행복한 삶 그리고 신앙 형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이상적인 아버지 유형의 특징을 정리했다. 마지막으로, 아버지-자녀의 관계가 하나님 아버지-신자의 관계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또 이런 은유 사용에서의 주의할 점은 무엇인지 성찰하고 이 연구가 주는 의미에 대해 논의했다.

 

 

‖ 주제어 ‖

아버지 요인, 아버지 유형, 아버지-자녀의 애착 관계, 하나님 아버지 은유, 영적형성

 

 

 

 

 

 

 

Abstract

A Study on the Renewal of a Bible Class as Effective Adult Learning

 

Seung-Joon Yang

(Visiting Professor, Hyupsung University)

 

In a rapidly-changing world, what change is necessary for the faith-revival education of the Korean Methodist Church? Historically, education of the KMC for revival has been the core of the revival movement, as well as and small group gatherings. These two movements are based on the spirit of John Wesley, who generated repentance and change through the revival movement and the motivated growth of personal life. It was a process of reformation created by rebirth and sanctification in Wesleyan tradition. However due to several factors, such as the busy lives of modern people, faith revival and small group gatherings are beginning to lose their power. In particular, the KMC revival movement, which was the landmark of accountability and connectionalism, is questioned in its necessity, losing its effect. Indeed, this movement is in crisis, turning to be formal and superficial.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recover the spirit of the KMC revival movement, focusing on the question of "How do live as Christians?" When the KMC recovers the spirit of the revival movement, it can bring back accountability and connectionalism to its organization. With this purpose, an education department of the KMC conducted a survey on the performance of revival sermons and, as a result, found that 192 parishes out of 209 (92%) held a revival movement every year. After conducting this survey, the KMC organized apolicy committee for the revival movement and studied the methods to coordinate an effective revival movement. The revival policy committee had researched how to recover the spirit of the KMC faith movement regularly for one year since 2016. This thesis makes a systematic analysis of the research of the revival policy committee and suggests methods to renew the KMC revival reflecting on the effects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n Chapter Ⅰ, objectives and overviews of the revival movement, which appeared as education during the early days of the Korean Church, is investigated; problems are then analyzed by using the survey of 209 parishes of the KMC. Chapter Ⅱ examines the process of education of the revival and suggests the experience of justification and sanctification. Ⅲ proposes various ways to operate effective an revival movement, and Ⅳ suggests the use of flipped learning as a teaching method for revival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period. Finally Ⅴ mentions that the KMC should play a role of educational venue to nurture Christians renewed growth of the KMC in a rapidly changing world.

 

 

‖ Keywords ‖

Korean Methodist Church, Bible Class, Curriculum, Operation Ways, Flipped Learning



 

양승준(협성대학교/초빙교수)

wesley4865@naver.com

 

 

한글 초록

급변하는 시대에 한국 감리교회의 신앙부흥 교육은 어떠한 변화를 이루어야 하는가? 역사적으로 감리교회의 부흥을 위한 교육은 사경회와 속회운동이 핵심이었다. 이 두 가지는 존 웨슬리의 정신에 기초하는데, 웨슬리는 사경회와 같은 부흥운동을 통하여 회개와 변화를 일으켰으며, 속회를 통하여 양육하고 삶의 성숙을 도모하였다. 이것은 웨슬리 전통에 있어서 은총과 성화의 체험으로 신앙과 그리스도인의 삶의 점진적인 개혁의 과정이었다. 그러나 현대인의 분주한 일상과 모이기 어려운 삶의 구조 등 여러 요인에 의해 사경회와 속회운동은 점차 효력을 상실해 가고 있다. 특히 감리교의 상호책임(accountability)과 연대주의(connectionalism)의 표상이었던 한국 감리교회의 사경회는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앞두고 필요성에 의문이 제기되고 있으며, 그 의미와 효과를 잃어가면서 형식적이고 피상적인 형태로 전락하는 위기에 처해 있다. 이 논문의 목적은 한국 감리교회의 사경회의 정신을 회복하고“이 세상에서 어떻게 그리스도인으로 살아갈 것인가?”라는 물음을 가지고, 모든 감리교회가 사경회 정신으로 상호책임과 연대주의를 드러내며 부흥운동이 일어나는 것이다. 이러한 의도를 갖고 감리교 교육국에서는 각 지방회의 사경회 시행 여부를 조사하였고, 그 결과 209지방 중 192개 지방(92%)이 어떠한 방식이든 매년 사경회를 개최한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그리고 사경회 정책위원회를 조직하여 감리교의 부흥과 양육을 위한 효과적인 사경회의 운영방안을 연구하였다. 사경회 정책위원회는 2016년부터 1년 동안 정기적으로 모여 사경회의 정신을 살리는 효과적인 운영 방법을 논의하며 연구하였다. 본 소고는 사경회 정책위원회의 연구를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분석하면서, 4차 산업혁명 시대를 감안하여 효과적인 사경회 갱신 방법을 모색하고 제언하였다. I장에서는 한국 초대 교회의 성인학습의 일환으로 등장한 사경회의 목적과 개관 및 효과를 살펴본 후, 현재 감리교회에 소속된 209지방의 사경회에 대한 설문조사를 통해 문제점과 논점들을 발

견하고 분석한다. II장은 사경회의 교육과정을 성경을 전제로 전통적 교육과정, 존 웨슬리의 구원론에 입각한 잠재적, 영 교육과정으로 분류하고, 은총과 성화의 체험을 제시하였다. III장은 효과적인 사경회 운영 방안을 다양하게 피력하였으며, IV장은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사경회 교수방법으로 거꾸로 교실 수업(flipped learning)의 활용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V장은 결론으로 변화하는 시대에 입각해 운영 방법들을 갱신하여 감리교의 부흥과 성숙한 그리스도인을 양육하는 효과적인 교육의 장(場)으로서의 역할을 언급하였다.

 

‖ 주제어 ‖

감리교, 사경회, 교육과정, 운영 방안, 플립드러닝

 

 

 

Abstract

 

Religion Class Models in Christian Private Secondary Schools in Korea

 

Eun Hee Yoo

(Professor/Chongshin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religious education models at secondary schools jn Korea. Changes of socio-cultural contexts and demographics have facilitated academic debates on the nature of religious education in public schools across the world. This qualitative study is concerned with how chaplains and religion teachers implement religion classes in the midst of macro-changes in context, academic paradigms about models of religion class, and guidelines of Ministry of Education in Korea about religious education. The findings show that there are four types of religion classes: a confessional religion class, an interdisciplinary religion class, a religion class with characteristic Christian apologetics, and religion class as a study of religion. The nature of religion class is not so much influenced by macro contexts and theoretical discussions. Rather, it takes different a different shape, depending on how religion teachers understand their identity, how the school stakeholders and school culture supports classes, and how personal resources such as individual gifts, experiences, interests, and knowledge are utilized. There were two surprising findings. One is that this study shows the possibility, value, and meaning of religious instruction in secondary schools. Students have much interest in and various questions about different religions, social issues, and issues relevant to adolescents. The other major finding is that the most important qualification of religion teachers and chaplains are not necessarily what types of religion class they employ but how they build a rapport and an open and trustful relationship with students and other teachers. If they are able to earn trust, religion teachers can listen to and engage students, obtaining positive criticism from the feedbacks from students’ evaluation of their classes.

Despite the differences in the degrees, religion class is multi-dimensional in nature with characteristics of liberal arts, counseling, the Bible and Christian worldview study, and character education. Further discussions on the teaching methodology of religion that can discuss the truth in public space without threatening pluralism through the activation of the communities, school pastors, and the religion teachers are needed.

 

‖ Keywords ‖

Teaching Religion, Religion Class, Christian Private School, School Chaplaincy,

Religion Teacher, Pluralism

 

 

유은희(총신대학교/교수)

ehyoo@chongshin.ac.kr

 

 

 

 

한글 초록

본 연구는 사회 문화적 컨텍스트의 변화와 세계 여러 나라의 공립학교에서의 종교수업에 대한 학문적 논의, 국가 교육과정의 종교학적 종교수업에 관한 요구 속에서, 한국기독교 사립학교에서 실제로 이루어지고 있는 종교수업 유형들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복음교수 혹은 신앙 고백적, 통합교과적, 변증적 그리고 종교학적 종교수업 유형을 발견할 수 있었다. 종교수업의 성격은 다원주의적 상황과 최근 지속되는 공교육에서 종교교육 및 종교수업 유형에 관한 논의와 같은 거시적 컨텍스트과 이론적 논의들에 영향을 받기보다는 종교 교사 개인의 은사, 경험, 흥미, 지식 등의 자원을 어떻게 활용하는 가에 따라서 다른 형식을 띠게 되었다. 새롭게 발견한 두 가지 사실 중 첫째는, 중등학교에서의 종교수업의 가능성, 가치, 의미였다. 종교수업에서 학생들은 종교와 사회문제, 청소년 시기의 다양한 고민과 삶의 문제들에 관한 질문들을 자유롭게 제기할 수 있었다. 두 번째는 어떤 종교수업 유형을 취하는 가보다 더 중요한 것은 종교 교사와 교목과 학생들 사이의 인격적이고 신뢰할 수 있는 관계였다. 그 관계와 함께, 종교 교사들은 학생들의 주목과 공감을 얻어낼 수 있었다. 종교수업은 정도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교양과 같은 인문학수업이면서, 상담수업이었고, 인성과 윤리, 세계관, 구속사를 다루는 성경수업이면서 종교수업이었다. 교목과 종교 교사의 실천공동체 활성화를 통해 다원성을 위협하지 않으면서 진리를 공적인 자리에서 논할 수 있는 종교교수 방법에 대한 더 깊은 논의가 필요하다.

 

‖ 주제어 ‖

종교수업, 기독교 사립학교, 교목, 종교 교사, 다원주의

 

 

 

 

Abstract

 

A Study on Peace Sensitivity Education for Strengthening Relational Capacity

 

Yun-Hee Lee

Lecturer, Mokwon University

 

This study aims to explore peace sensitivity education for strengthening related competence and to suggest specific directions for this education. Recently in Korean society, culture of the self is expanding and the absence of relationships is leading to social problems. These tendencies are attributable to depression, suicide, death of solitude, work addiction, malicious comments, and hate crimes. More and more many people find it difficult to understand or sympathize with others’ minds and are acting on self-centered thinking. As a result, the community has broken, and a violent social structure continuously repeats the culture of violence. Under these circumstances, Christian education should promote educational efforts for related competence to establish a healthy and peaceful community. This study focuses on the sensitivity of the related ability to recognize violent elements, defining this ability as “Peace Sensitivity,” and suggests a concrete teaching- learning process for the development of peace sensitivity. In particular, the teaching-learning process includes an aesthetic method, play method, and dialogical method. Through these processes, students directly experience a culture of peace and can be trained for peace sensitivity.

 

‖ Keywords ‖

Relational Capacity, Solitary Society, Relationship Education, Peace Education,

Peace Sensitivity Education

 

 

송윤희(안양대학교/교수)

song@anyang.ac.kr

장화선(안양대학교/교수)

hschang@anyang.ac.kr

 

한글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복잡하고 다양하게 변화되고 있는 시대의 흐름에 발맞춰 기독교 융합 인재를 양성하기 위한 새로운 교수학습 방법의 시도로 기독교교육과 융합수업에 코티칭 및 프로젝트학습을 적용한 사례를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융합의 정의, 고등교육에서 융합수업, 코티칭 및 프로젝트학습에 대한 문헌 연구를 실시하였고, 코티칭 및 프로젝트학습을 활용한 ‘e-성경공부 교재 설계’ 강좌에 대한 개발 및 운영 사례를 제시하였다. 이 교과목을 개발하기 위해 2017년 10월부터 2018년 1월까지 융합 주제를 기반으로 코티칭 교과목의 주제를 선정하고 교육 목표, 성경공부 교재 및 e-book 설계 관련 교과목 사례조사, 교육 내용, 교육방법, 교육 평가, 수업 운영 계획, 강의자료 등을 개발하였다. e-성경공부 교재 설계 교과목 운영은 3학점으로 2018년 1학기 15주간 진행되었으며, 기독교교육의 현장과 밀접하게 연구를 수행한 기독교교육 전문가와 기독교교육 교재를 개발하고 디지털교과서 및 e-book을 연구한 교육공학 전문가가 코티칭하였다. 두 교수자는 매주 같은 강의실에서 함께 수업을 진행하였으며, 학습자는 e-성경공부 교재 설계를 위해 한 학기 동안 팀 프로젝트를 진행하였다. 팀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동안 개인활동 및 팀활동, 학생 간 피드백, 교수자 검토 및 자문 등을 통해 학습자들이 자기주도적 학습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기독교교육과 융합수업에서 코티칭 및 프로젝트학습 활용에 대한 이론적 기초 및 실제적 자료를 제공한다.

 

 

‖ 주제어 ‖

기독교교육, 융합, 융합수업, 코티칭, 프로젝트학습

 

 

Abstract

A Study on Peace Sensitivity Education for Strengthening Relational Capacity

 

Yun-Hee Lee

Lecturer, Mokwon University

 

This study aims to explore peace sensitivity education for strengthening related competence and to suggest specific directions for this education. Recently in Korean society, culture of the self is expanding and the absence of relationships is leading to social problems. These tendencies are attributable to depression, suicide, death of solitude, work addiction, malicious comments, and hate crimes. More and more many people find it difficult to understand or sympathize with others’ minds and are acting on self-centered thinking. As a result, the community has broken, and a violent social structure continuously repeats the culture of violence. Under these circumstances, Christian education should promote educational efforts for related competence to establish a healthy and peaceful community. This study focuses on the sensitivity of the related ability to recognize violent elements, defining this ability as “Peace Sensitivity,” and suggests a concrete teaching-learning process for the development of peace sensitivity. In particular, the teaching-learning process includes an aesthetic method, play method, and dialogical method. Through these processes, students directly experience a culture of peace and can be trained for peace sensitivity.

 

‖ Keywords ‖

Relational Capacity, Solitary Society, Relationship Education, Peace Education,

Peace Sensitivity Education



 

이윤희(목원대학교/강사)

yunizv@gmail.com

 

 

 

한글 초록

본 연구는 관계성이 와해된 한국 사회에서 기독교 교육이 관심을 가져야 할 영역으로 관계적 역량 강화를 위한 평화감수성 교육을 제시하고, 구체적인 실천 방향성을 제언하는데 목적을 둔다. 최근 한국 사회에 확대되고 있는 나 홀로 문화는 많은 사람들이 혼자의 삶을 즐기는 것 같지만, 관계성의 부재로 인한 고독감에 신음하는 모습을 알게 한다. 무엇보다도 관계성의 부재는 심각한 사회적 문제들을 불러일으킨다. 최근 한국 사회에서 문제되고 있는 우울증, 자살, 고독사, 일중독, 악성댓글, 혐오범죄 등은 모두 관계의 부재에서 비롯되는 고독감과 연결되어 있는 사회적 현상으로 볼 수 있다. 이처럼 사회 내 관계성의 부재는 타인의 입장을 공감하지 못하고, 타인과의 상호관계성을 인식하지 못함으로 인하여 자기중심적 사고와 폭력적인 행동양식을 야기한다. 이로 인하여 사회 내 공동체가 와해되고, 폭력적인 사회 구조를 양상하게 되며, 계속해서 폭력의 문화를 답습하게 되는 구조가 형성 된다. 그러므로 기독교 교육은 관계의 위기 앞에서 선 한국 사회의 문제를 인지하고, 관계적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교육학적 노력을 도모해야 할 과제를 가진다. 본 논문은 관계적 역량의 핵심이 타인과의 관계를 맺음에 있어서 폭력적인 태도와 관점들을 바르게 인식할 수 있는 민감성에서 비롯된다고 보고, 이를 평화감수성이란 용어로 정의하며, 평화감수성의 구체적인 내용들을 분석하면서 평화감수성 증진을 위한 구체적인 교육과정의 방향성을 예술적 접근, 놀이적 접근, 대화적 접근이라는 다양한 관점에서 제언한다.

 

‖ 주제어 ‖

관계적 역량, 고독사회, 관계증진 교육, 평화교육, 평화감수성, 평화감수성 교육

 

 

 

 

Abstract

 

The Change of Christian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through Development of Psalm-Centered Teaching Materials

Min-Jung Kim

Professor, Anyang University

 

The purpose of study is to explore the development of teaching materials for Christian early childhood education by exploring the changes of Christian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through the development of Psalm-centered teaching materials. I collected data through 29 interviews, questionnaires, a production plan and a portfolio of reflection from March 29th, 2018 from 29 Christian education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development of Psalm-centered teaching materials, the detailed subject of the development of teaching materials for children.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o derive core categories and arranged into such. In order to objectify the data analysis and interpretation, two theologians and early childhood education experts participated in the process. As a result, the experiences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surrounding the development of Psalm-centered tea- ching materials were categorized into knowledge, personality, and behavioral changes. First, a change in the knowledge of the teachers showed confusion followed by stability. Christian pre-service teachers have been confused by the idea of creating ideas about the development of Psalm-centered teaching materials. Stability has come as they learned theories covering such materials through lectures and workshops. Christian pre- 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in the stability stage are interested in the development of Christian teaching materials, and it was recognized that the development of Psalm-centered teaching material should be ‘infant-centered’, ‘concrete production’, and ‘safe production’ in nature. In other words, the Christian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 learned practical knowledge of the teaching materials that integrate the philosophy of Christianity and the methodology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Second, the personality change of the Christian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ppeared in the form of Christian spirituality ‘close to God’, cooperative community ‘close to peer’, and personality ‘close to me’ during the development of these materials. In the process of developing materials for the group, we pondered on the Psalms and frequently thought about God. In the process of trial, error, failure, and success of the community collaboration process, we have a positive attitude and persistence, confidence and achievement, joy and reward. Third, behavioral changes of Christian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were found in ‘searching for detail’, ‘searching again’ and ‘searching for new’ as Psalm-centered teaching materials were developed. Unlike in the early weeks of class, teachers continued to focus on and participated in the process of making and developing the teaching materials precisely, carefully and actively. The exploratory behaviors of diverse objects and recycled materials were overlooked by the teachers. In addition, the Christian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sought to apply teaching material development activities in this class to other subjects or to Bible stories. Christian pre-service teachers could expect to improve the efficacy of Christian early childhood teachers by utilizing the integration of Christian philosophy and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through the development of Psalm-centered teaching material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 provide basic data on the development of teaching materials and instruction methods in Christian early childhood education.

 

 

‖ Keywords ‖

Christian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 Christian Early Childhood Education, Development of Teaching Materials, Development of Psalmcentered Teaching Materials

 

김민정(안양대학교/교수)

edumin@anyang.ac.kr

 

 

한글 초록

본 연구는 시편 중심 교재교구 개발을 통한 기독 예비 유아교사의 변화를 탐구하여 기독 유아교육의 교재교구 개발 방향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유아교과교재 연구 및 지도법의 세부 주제인 시편 중심 교재교구 개발에 참여하는 기독교교육과 학생 29명을 대상으로 2018년 3월 2일 ~ 6월 29일 동안 면담, 설문조사, 제작계획안, 성찰이 담긴 포트폴리오 등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여 핵심 범주를 도출하고 이를 범주화하였다. 자료분석 및 해석의 객관화를 위해 신학 및 유아교육 전문가 2인의 동료확인을 거쳤다. 연구결과, 시편 중심 교재교구 개발에 대한 기독 예비 유아교사의 경험은 지식적 변화, 인성적 변화, 행동적 변화로 범주화되었다. 첫째, 기독 예비 유아교사의 지식적 변화는 혼란기와 안정기로 나타났다. 기독 예비 유아교사들은 시편 중심 교재교구 개발에 대한 아이디어 창출과 제작 방법에 대해 고민하는 혼란기를 지나, 강의 및 워크숍을 통해 교재교구 이론을 습득하면서 안정기가 되었다. 안정기 안에 있는 기독 예비 유아교사들은 기독교 교재교구 개발에 관심을 갖고, 시편 중심 교재교구 개발은 ‘유아중심으로 제작’, ‘구체적으로 제작’, ‘안전하게 제작’해야 함을 인식했다. 즉, 기독 예비 유아교사는 기독교의 철학과 유아교육의 방법론을 통합하는 교재교구의 실제에 대한 지식을 형성했다. 둘째, 기독 예비 유아교사의 인성적 변화는 시편중심 교재교구 개발 과정에서 ‘하나님과 가까이’하는 기독교 영성, ‘동료와 가까이’하는 협동 공동체 인성, ‘나와 가까이’하는 개인 인성으로 나타났다. 조별 과제인 시편 중심 교재교구 개발 과정에서 시편을 묵상하고 하나님에 대해 자주 생각하게 되었으며, 공동체 협업 과정의 시행착오와 실패 그리고 성공 속에서 개인적인 긍정의 자세와 끈기, 자신감과 성취감, 기쁨과 보람을 경험하였다. 셋째, 기독 예비 유아교사의 행동적 변화는 시편 중심 교재교구 개발 과정에서 ‘자세히 찾기’, ‘다시 찾기’, ‘새로이 찾기’로 나타났다. 수업 초기와 달리, 기독 예비 유아교사들은 지속적인 집중력을 발휘하였고, 교재교구제작 및 개발과정에 꼼꼼하고 세밀하고 적극적으로 참여하였다. 기독 예비 유아교사가 간과했던 다양한 사물과 재활용품 활용의 탐색하는 행동이 나타났다. 또한, 기독 예비 유아교사는 본 수업에서 이루어진 교재교구 개발 활동을 다른 과목 또는 성경 이야기에 적용하고자 하였다. 기독 예비 유아교사는 시편 중심 교재교구 개발을 통해 기독교 철학과 유아교육 교수학습방법의 통합을 경험하면서 기독 유아교사의 효능감 향상을 기대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기독 유아교육의 교재교구 개발 및 지도 연구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주제어 ‖

기독 예비 유아교사, 기독 유아교육, 교재교구 개발, 시편 중심 교재교구 개발

 

 

Abstract

 

Study of the Formation of Women’s Spirituality Aiming to Conciliate Self-Transcendence and Self-Identity: Focus on Letty Mandeville Russell, Maria Harris, and Anne E. Streaty Wimberly

 

Hee-Young Kim

Post-Doctoral Researcher, Yonsei University

 

 

Until the present, Christian spirituality has focused on emptying and purifying the self. This is because an important characteristic of spirituality involves transcending the self. However, Christian spirituality has a dimension that integrates human life as well as characteristically developing beyond the self. This also affects the sense of self and self-worth, and the integration of life allows individuals to form identities. However, what is the reason that spiritual formation has overlooked and weakened self-identity until now? According to Michael Downey, the spirituality of the previous era was elite, centered on priests and religious leaders. For the elite men who had been leading orthodox formal Christianity, it was a major task to transcend themselves rather than develop self-identity. Therefore, when we talk about women’s spirituality, it is necessary to study not only the existence of self-transcendence but also self-identity.

This essay will discuss the spiritual education of Letty Mandeville Russell, Maria Harris, and Anne E. Streaty Wimberly, respectively. All possessed a wealth of experience and spiritual insight as Christian scholars. Letty Mandeville Russell saw “self-transcendence” as life orientated toward the other, and “self-identity” as self-reliance and independence, becoming a partner and steward in the liberation of others. Maria Harris saw “self-transcendence” as transcendence to the divine presence, and “self–identity” as the subject and re-creator of the world. Anne Wimberly viewed “self-transcendence” as having different views on circumstances beyond those that affirm the self, and also as spiritual, ethical, material, socio-political, psychosocial, educational, and communal liberation. She saw “self-identity” as being liberated and freeing herself to move forward and assist in the liberation of others. These scholars’ understanding of the relationship-oriented aspects of women’s lives is manifested in the Trinity of God. This can be seen from the fact that women form spirituality through reciprocity, equality, and a mutual relationship with their neighbors, as well as autonomy and independence. Thus, the purpose of Christian women’s spiritual education is to “guide women to discover the purpose and meaning of life in the Trinity God, to live as a subject with autonomy and independence in the Holy Spirit, to restore God's image, and to be a partner of God and to realize the kingdom of God.” We suggest the content and method of education through our stories, other women’s stories, the gospel’s stories, and the field of education as a community of support and hospitality.

 

 

‖ Keywords ‖

Women’s Spirituality, Christian Women Spirituality, Letty Mandeville Russell,

Maria Harris, Anne E. Streaty Wimberly

 

김희영(연세대학교/박사 후 연구원)

gloria1009@naver.com

 

 

한글 초록

그동안 기독교 영성은 자기 자신을 비우는 것과 정화에 초점을 두었다. 영성에는 다양한 특성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자기를 초월하고 자기에게서 벗어나는 것이 중요한 특징이 되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기독교 영성은 자기 자신을 초월하는 특성뿐 아니라 인간의 삶을 통합하는 차원이 있다. 이는 자기감각과 자기가치감에 영향을 주고 이러한 점에서 삶의 통합은 개인에게 정체성을 형성해 준다고 볼 수 있다. 그런데 지금까지 영성형성에서 상대적으로 자기정체성이 약화되었다. 그 이유는 무엇일까. 마이클 다우니에 의하면 이전 시대의 영성은 사제와 수도자들을 중심으로 한 엘리트적이었다. 엘리트요, 정통적인 공식적인 기독교를 이끌어왔던 대다수의 남성들에게는 자기가치를 존중하고 자기지식을 갖는 것보다 자기에게서 벗어나 자기를 비우는 것이 주요한 과제가 되었기 때문이었다. 그렇기 때문에 여성의 영성에 관하여 논할 때에는 기존의 자기초월뿐 아니라 자기정체성을 통섭하는 영성이 필요하다. 이러한 목적으로 본 글은 여성기독교교육학자로서 학자적인 식견과 영성의 풍부한 경험과 유산을 가지고 있는 레티 러셀(Letty Mandeville Russell), 마리아 해리스(Maria Harris), 앤 윔벌리(Anne E. Streaty Wimberly)의 영성교육을 통해 자기정체성과 자기초월을 통섭하는 여성 영성 형성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레티 러셀에게 자기초월은 타자를 향한 삶이며, 자기정체성은 자립성과 독립성을 갖고 타인의 해방을 위해 파트너와 청지기가 되는 것이다. 마리아 해리스에게 자기초월은 신적 현존에게로의 초월이며, 자기정체성은 주체자로서 세계 재창조의 주역이 되는 것이다. 앤 윔벌리에게 자기초월은 상황에 분리하여 자기를 긍정하는 것과 영적, 윤리적, 물질적, 사회정치적, 심리사회적, 교육적, 공동체 적으로 해방하는 것이며, 자기정체성은 해방하는 지혜를 얻어 자기 자신도 자유하며 타인의 해방을 위해 나아가는 사람이 되는 것이다. 이러한

학자들의 이해와 여성의 관계지향적인 측면은 각 위격이 있으나 삼위일체 하나님이 한 분이신 것처럼, 여성이 자율성과 독립성을 가지고 이웃과 상호성, 평등성, 상호관계에 바탕을 두고 영성을 형성하는 것에서 볼 수 있다. 그리하여 기독교여성 영성교육의 목적을 “여성이 삼위일체 하나님 안에서 삶의 목적과 의미를 발견하고, 성령 안에서 자율성과 독립성을 가진 주체로 살아가도록 안내되어, 하나님의 형상을 회복하고, 하나님과 이웃의 파트너가 되어 하나님 나라를 구현해 나가는 것이다.”라고 제안하며 교육의 내용 및 방법을 나의 이야기, 다른 여성들의 이야기, 복음의 이야기로 보며 교육의 장을 지지와 환대가 있는 공동체로 보았다.

 

 

‖ 주제어 ‖

여성 영성, 기독교여성 영성, 레티 러셀, 마리아 해리스, 앤 윔벌리

 

 

Abstract

 

A Study of Factors Affecting on Bible Reading Comprehension in Older Children

 

Jae-Woo Kim

Pastor, Young An Church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factors that are able to improve Bible comprehension in fourth, fifth, and sixth grade students. The background of this theory contains a definition of reading comprehension and an explanation of the process of reading comprehension. More than 300 older children in Seoul, Gunsan, and Busan were surveyed to discover which factors affect Bible reading comprehension. The Revised Bible, the Easy Bible, and the Children Bible were chosen for the survey. The same contents were selected from three different versions of the Bible, and they were distributed randomly. To find the factors impact Bible reading comprehension, gender, grader, parental church attendance, how long readers have attended church, and the level of difficulty students feel with the content was surveyed at the same time.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Bible comprehension scores across the three translations of the Bible. The Revised Korean Bible reading comprehension scores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the Easy Bible and the Children Bible.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Easy and Children Bible comprehension scores. Second, the difficulty children feel affects their understanding of the Bible. When students felt the Bible text was difficult to read, they showed low scores. Moreover, students who reported that Bible texts were easy to comprehend, got a higher score than students who felt the text was difficult. Third, gender, grade, parental church attendance, and how long readers have attended church, did not effect Bible comprehension score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Bible reading comprehension score between boys and girls, across grades, parental church attendance, and the length of a student’s church attendance. It is suggested that the Easy Bible or Children Bible be used rather than the Revised Korean Bible for better Bible comprehension. Also, it is recommended to help children feel comfortable with the text. The same study for each Bible version is suggested for future study.

 

‖ Keywords ‖

Bible Comprehension, Parental Affect on Bible Comprehension, Factors

Effecting Bible Comprehension

 

 

김재우(영안교회/목사)

jaewookim96@gmail.com

 

 

한글 초록

본 연구는 초등학교 4학년 5학년 그리고 6학년 아이들이 성경을 이해하는데 있어서 영향을 끼치는 요소들을 파악 및 분석하기 위함이다. 독서와 이해의 정의와 과정을 이론적 배경에 넣었으며 초등부 고학년의 성경 이해도를 조사하기 위하여 서울과 군산 그리고 부산에 있는 세 교회의 네 개 예배당에서 총 300여 명의 아이를 대상으로 하여 설문을 시행하였다. 개역 개정과 쉬운 성경 그리고 현대어 성경을 어린이 성경으로 바꾼 세 가지 버전의 성경에서 동일한 본문을 선택하여 아이들에게 랜덤하게 나누어주어 그 글을 읽고 다시 기록하게 하는 Rewriting and scoring (다시 쓰기) 방법을 선택하였다. 무엇보다 아이들의 성경 이해에 영향을 끼치는 요소들을 파악하기 위하여 성별, 학년, 부모님의 교회 출석 여부, 얼마나 교회를 오래 다녔는지, 교회 내에서 훈련은 받았는지를 함께 조사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첫째, 성경 버전에 따른 결과는 유의한 수준에서의 차이가 발생하였다. 다시 말하자면 개역 개정 구약과 신약 점수 모두에서 쉬운 성경이나 어린이 성경보다 유의미한 수준으로 점수가 낮게 나왔다. 하지만 쉬운 성경과 어린이 성경에서의 구약과 신약 점수 차이는 거의 없었다. 둘째, 아이들이 느끼는 난이도에 따라 성경을 이해하는데 있어서 유의미한 수준의 영향을 주었다. 즉 참여한 학생들이 느끼는 난이도가 높으면 성경이해도 점수는 낮았으며, 쉽다고 답할수록 높은 점수를 보여주었는데, 이 차이는 유의미하였다. 셋째로, 교회를 얼마나 오래 다녔는지, 부모님의 교회 출석 여부, 성별의 차이는 성경이해도에 큰 영향을 주지 않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이 결과를 토대로 개역 개정보다는 쉬운 성경을 아이들에게 사용하는 것을 권하였고 참여자가 최대한 쉽다고 생각하도록 접근하는 것이 중요함을 말하였다. 더 진행되어야 하는 연구로는 각 성경 버전에 따라 동일한 연구가 다시 진행되기를 제안하였다.

 

 

‖ 주제어 ‖

성경이해, 부모 영향, 성경 이해 요소, 나이, 학년, 성별, 성경 이해 영향
전체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