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지 초록

기독교교육논총 57집

작성자
wesley4865
작성일
2019-04-01 23:26
조회
2101

Educating Young Koreans Spiritually, Morally and Religiously for the 21st Century: The Role of Christian Religious Education



Graham Thomas Rossiter (Professor, Australian Catholic University and  The Australian Institute of Theological Education)
Graham.Rossiter@acu.edu.au




Abstract



Christian Religious Education has traditionally given young people access to their religious heritage. While this important role has never been in question, there is a new, additional challenge for Christian religious educators to address. The widespread secularisation of contemporary society, and the extensive changes in culture, especially in digital communication, entertainment and marketing, have altered the ways in which people construct meaning, purpose and value in life – often with little reference to religion. Christian Religious Education is well placed to
help educate young people to be more discerning about the shaping influence that contemporary culture can have on people’s thinking, behaviour and values. It can help them acquire knowledge and skills that will enable them to better negotiate a meaningful life in a challenging and complex culture. This can promote their spiritual and moral
development. The starting point for a relevant religious education for the 21st century requires of religious educators some understanding of the complexity of contemporary globalised culture, particularly in the way it impacts on the personal development of young people. This paper will
signpost some of this complexity and it will propose how issue-related content and a critical, research-oriented pedagogy may help educate young people towards addressing the challenges they face in construct
ing a meaningful life today. It is proposed that a critical, evaluative pedagogy is important not only for social issues, cultural analysis and personal development, but also for theological, scriptural and world religions content. An inquiring, issue-raising approach to Christian religious education has a long established tradition. But the current spiritual situation in Korean culture suggests that it may need to be become more prominent.



‖ Keywords ‖ Christian religious education, Secularisation, Christian religious educators, Evaluative pedagogy, Research-oriented pedagogy.




한글 초록



청소년을 위한 21세기 기독교종교교육 연구: 영성, 도덕성, 그리고 종교성



그레이엄 로지터
(교수, 호주가톨릭대학교 및 호주신학교육연구소)


 

전통적으로 기독교교육은 청소년들에게 종교적 전통을 제공하는 역 할을 하였다. 이러한 종교교육의 본래적인 역할과 기능이 도전 받고 있 음으로, 기독교교육의 지도자들에게는 새롭고 추가적인 사명이 부여되 었다. 현대 사회의 광범위한 세속화, 디지털 커뮤니케이션과 엔터테인 먼트와 같은 시장과 문화의 급격한 변화는 삶의 의미와 목적 그리고 가 치의 구성에서 종교의 중요성을 반감시킨다. 기독교적 종교교육은 청 소년들의 사고, 행동, 그리고 가치에 영향을 주는 현대 문화에 대한 분 별의 역량을 제공하는 역할을 하여야 한다. 그 시작점은 종교교육가들 이 현대 사회의 글로벌 문화의 복합성을 이해하고, 그에 적합한 삶의 방식을 구성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비판적이며 해석학적이 교 수법을 제공하고, 사회의 쟁점, 문화적 분석, 인적 발달, 그리고 신학적 이며 영적인 종교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기독교 종교교육에 대한 탐구적 접근은 기존의 전통을 지닌 한국 문화에 보다 심오한 접근 이 되어야 할 것이다.
‖ 주제어 ‖ 기독교적 종교교육, 세속화, 기독교종교교육가, 평가적 교수법, 연구-지향 교수법



Religious Education between Power, Identity and Structures


Bernhard Grümme(Professor, University of Bochum, Germany)


Bernhard.Gruemme@rub.de



Abstract



A heterogeneity-capable pedagogy wants to take the heterogeneity in the classroom seriously and develop a pedagogy of diversity. And yet a strange impression remains. Something is deeply problematic. Here one works with the imputation that there are natural distinctions between the sexes, which are then symbolically reinforced and normatively charged
by the differentiated assignment of colors. This makes the indicated problem clear. In order to recognize individuals, to honor them, to bring justice to them, they must be identified beforehand. A real girl plays with pink dolls, a real boy is interested in technology. The interpretation of these examples may be considered hypersensitive, perhaps exaggerated
or even ideologized. The mechanism in the background in dealing with heterogeneity, however, becomes blatantly visible when we play it out in the field of ethnicity.
‖ Keywords ‖ Heterogeneity-capable pedagogy, Diversity, Strange impression, Natural distinctions, Justice

 

한글 초록



권력, 정체성, 구조 그리고 종교교육



베른하르트 그륌
(교수, 독일 보쿰대학교)



이질성을 지닌 교수법은 교실에서 이질성을 신중하게 고려하고, 다 양성의 교수법을 촉진한다. 그리고 타자성에 대한 인상이 각인된다. 어 떠한 점에 있어서 그러한 이질성과 다양성은 중요한 쟁점을 발생시킬 수 있다. 여기에서 성에 대한 쟁점은 자연스러운 독특성을 전가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징적으로 피부색의 차이를 규범적으로 고양하게 된다. 그러한 특성은 직설적인 쟁점에서 명백하다. 개개인의 차이를 인정하 기 위해서, 그들을 존중하기 위해서, 정의의 다양성을 실현하기 위해서, 각자의 차이는 명백하게 인정되어야 한다. 실제로 소녀는 인형에, 소년 은 기술에 관심이 있다. 이러한 사례를 해석하는 것은 초감각적으로 강 조되고 이념적인 색체를 가지게 된다. 그러나 배후에서 이질성은 인종 의 영역에서 분명히 가시적인 영역이 되어야 한다.

‖ 주제어 ‖ 이질적 교수법, 다양성, 타자 감각, 자연 특성, 정의

 

A Set of Theoretical Norms for Sacramental Education


Sun-young Kim(Professor, Graduate School of Practical Theology)
ksyoung010@gmail.com



Abstract


The two marks of the true church is the Word and the sacra- ments. Every Christian knows that the Word is all-important. Although there is a question whether the Word is properly interpreted and proclaimed, preaching is the center of the Protestant worship service; preaching skill is the most important qualification as a popular pastor. Sermons and Bible studies are available everywhere in South Korea. Most Protestant Christians, however, in South Korea are not aware of the significance of the sacraments. There is, in particular, a high possibility that a good few Christians never get an opportunity to participate in communion all the year round. A more serious problem is that these Christians do not feel the need to participate, most likely because they are not well informed of its significance. Being conscious of the current situation of the Protestant churches in South Korea in terms of the sacraments, this paper is going to argue that more attention must be paid to the sacraments as one of the marks of the true church and that an indispensable part of such an effort is to further develop education for the sacraments or sacramental edu- cation. There are a variety of approaches and ways for further development, and the goal of this paper is to establish a set of theoretical norms for sacramental education.
‖ Keywords ‖ Sacramental education, A faith community paradigm, John Westerhoff, A leap of faith, Søren Kierkegaard, An eschatological Messianic fellowship, Ürgen Moltmann


한글 초록


성례교육을 위한 이론적 규범


김선영(교수, 실천신학대학원대학교)


 

교회의 두 표지는 말씀과 성례다. 모든 그리스도인은 말씀의 중요성 을 잘 인식하고 있다. 한국 개신교의 경우 설교는 예배의 중심이고, 설 교를 잘 하는 목사가 인기가 있고, 교회에서든 인터넷을 통해서든 설교 와 성경 공부가 넘쳐난다. 물론 얼마나 제대로 말씀을 해석하고 선포하 고 있는가는 또 다른 문제이기는 하지만 최소한 이처럼 말씀의 중요성 만은 분명히 알고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한국 개신교인은 성례의 의미 와 중요성은 제대로 인식하지 못하고 있다. 한 예로, 그리스도인들이 일 년 내내 성찬에 참여할 기회를 갖지 못할 가능성도 크다. 더 심각한 문제는 이들이 대부분 참여할 필요성을 느끼지 못하고 있다는 점이다. 성례와 관련해 한국 개신교회의 이러한 현황을 의식하면서 본 논문은 참된 교회의 두 표지 중 하나인 성례에 더 큰 관심을 기울여야만 하고, 그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성례교육을 더욱 발전시킬 필요가 있음을 주 장한다. 이를 위해서는 다양한 접근법과 방법이 있겠지만, 본 연구는 특히 성례교육을 위한 일련의 이론적 규범을 정립해 보고자 한다.

‖ 주제어 ‖ 성례교육, 신앙공동체 패러다임, 존 웨스터호프, 신앙의 도약, 쇠렌 키르케고르, 종말론적 메시아적 공동체, 위르겐 몰트만

 

Child Abuse in Medieval Folklore:


An Analysis of Christian and Jewish Folklore from the Perspective of Christian Education



Pill-Eun Lee(Korea Nazarene University)
pelee@kornu.ac.kr



Abstract



This study analyzes the domestic violence against children included in the medieval folklores and suggest the implications of the pedagogical insight gained through analysis in Korean church. Medieval people recognized the seriousness of child abuse and used the folklores to publicize child abuse. The church leadership emphasized that parents are primarily responsible for child abuse. It was the parent’s responsibility to expose the child to violence. Although medieval folklores were created with a specific political purpose, medieval people recognized the seriousness of child abuse. And medieval people inserted content of child abuse in the folklores. Korean church leadership can acquire educational insights about child abuse from these folklores; to 1) educate the teacher to develop sensitivity of child abuse; 2) educate the church members to improve awareness of child abuse; 3) educate the parents and family members to restore the family relationship.

‖ Keywords ‖ Jewish folktales, Anti-Semitic folklore, Medieval people, Child abuse, Christian education, Violent, Blood libel legend

 

한글 초록


중세 민담에 나타난 아동 폭력 ― 기독교교육적 관점에서 유대인에 대한 기독교와 유대인 민담을 중심으로


이필은(교수, 나사렛대학교)



본 연구는 중세 반유대적 기독교 민담과 유대인들의 대항적 민담에 나타난 아동들의 가정폭력을 분석하여 현재 기독교교육에 주는 시사점 을 제공하는 연구이다. 13세기를 기점으로 유대학자들은 기독교의 교 리를 공격하였고, 기독교는 교리를 보호하기 위해서 반유대적 정서를 민담을 통해서 전달하였다. 내용의 대부분은 성인 유대인에 대한 공격 이었고, 여성과 아동은 구원의 매개체로서의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이 러한 내용은 마리아의 이미지와 죽음을 당하는 예수의 이미지를 부각 시키게 된다. 그리고 당시 유대인 남성들이 그리스도교 아동들을 제의 를 위해서 살해하는 민담이 번져갔다. 그리고 이러한 민담은 당시 평민 기독교인들의 정서를 자극하였다. 그리고 유대인들의 대항적 성격을 지닌 민담에서도 아동은 다양한 역경과 폭력 가운데서도 초자연적인 힘을 통해서 구원되는 내용이었다. 고대부터 아동은 폭력에 노출되어 있었는데, 유대인에 대한 민담에 아동 폭력을 담아내어 반유대적 정서 를 자극한 것을 고려할 때 당시 아동 폭력이 민감한 요소였음을 알 수 있다. 유대인의 민담에서도 아동의 고난에 대해서 초자연적인 힘의 개입도 같은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다. 이러한 측면은 아동폭력이 13세기에 민감했음을 보여준다고 볼 수 있다. 현대 한국사회에서 아동들은 가 정폭력과 사회적 폭력에 노출되어 있다. 이러한 현상에도 불구하고 한 국교회는 아동의 가정폭력에 대하여 관심을 가지고 있다고 볼 수 없다. 이미 중세에 아동폭력에 대한 민감성이 현대 한국교회에 주는 통찰력 을 본 연구를 통하여 제시하였다.
‖ 주제어 ‖ 유대 민담, 반유대적 정서, 중세, 아동폭력, 기독교교육, 폭력성, Blood libel 이야기

 

Nature-Based Educational Ministry with Youth based on Maria Harris



Hyeok-Su Chae(Professor, Youngnam Theological University and Seminary)


hyeoksu.chae@gmail.com



Abstract



In this study, I will deal with nature-based or ecological education. Specifically, for the education for immigrants, learning from nature can be a good educational source. In the modern world, the ecological crisis is a serious challenge. So, this project would give a benefit to modern society which suffers from ecological problems. To develop my study, I will compare two different educational theories. One is D. Campbell Wyckoff ’s theory based upon Ralph W. Tyler. The other is Maris Harris’s theory based on Elliot W, Eisner’s holistic view and ecological education. The former theory focuses on prepared purposes and attained results. It also emphasizes the intention of teachers. Compared to that, the latter emphasizes the co-operation between learners and all of the creative world. It focuses on creative imagination which does not define any specific expected result or purpose. I really hope that this small thesis will help and comfort the Korean Canadian immigrant society which struggles with new culture and help others understand them.
‖ Keywords ‖ Maria Harris, Youth ministry, Ecological education, The culture of immigrants,
Korean-Canadian context


한글 초록



마리아 해리스의 이론에 근거한 청소년과 함께 하는 자연중심적 교육목회



채혁수(교수, 영남신학대학교)


 
이 논문은 2세 교육의 문제로 고민하는 700만 해외동포를 위한 미래 세대 연구이다. 또한, 이 연구는 천혜의 환경중심 국가이지만 그곳에서 이민자, 특별히 생존의 문제 속에 살아가기에 방치될 수도 있는, 다문화 에 노출되어 있는 이민 2세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한 자연중심적 교육, 내지는 생태교육을 다룬 논문이다. 구체적으로 그 대상을, 저자의 캐나 다에서 임상적 경험을 바탕으로, 목적중심적 사고 가운데 이끌리어 살 아가며, 자기가족만의 고유문화를 가지고 있지만, 이국땅의 낯선 문화 에 적응하며 살아가는 한국계 캐나다 청소년들에게 두고 있다. 그러기 에 이 연구는 자연으로부터 두고 온 고국과의 좋은 교육적 연결점을 얻 을 수 있는 이민자를 위한 기독교 생태교육에 관한 것이다. 연구를 전개하면서 이 논문은 두 가지의 대조적 교육이론을 비교할 것이다. 하나는 랄프 타일러(Ralph Tyler)에 근거한 캠벨 와이코프 (Campbell Wyckoff)의 이론이고 다른 하나는 본고가 강조하는 생태 교육에 근거한 엘리옷 아이즈너(Elliot W. Eisner)의 교육과정이론에 바탕을 둔 마리아 해리스(Maria Harris)의 통전적이며 생태교육적인 이론이다. 전자는 목적대로 준비하여 교육하고 결과를 도출하여 얻는 것을 위한 것이기에 교사중심적이다. 그러나 이 논문이 제시하는 후자는 학생과 하나님이 창조하신 피조세계의 공존을 강조하기에 특별히 기대하는 결과나 목적을 위한 것이 아니라, 창조적 상상력에 근거하고 있다. 바라기는 아무쪼록 이 부족하고 작은 연구논문이 한국계 캐나다 이민사회, 두 가지 문화 가운데 고민하며 살아가는 캐나다의 청소년들 과 그들의 삶에 위로와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또한 우리가 그들을 이해 하는 데 기여하기를 원한다.
‖ 주제어 ‖ 마리아 해리스, 청소년 목회, 생태교육, 이민자의 문화, 한국계 캐나다인 상황



Teachers’ Roles in Curriculum Design for Christian Education


Jaewoo Kim(Coommi’s Research Team Leader, Oryun Community Church)
jaewookim96@gmail.com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fine teacher’s major roles when they design curriculum plan in the church. Definition of curriculum and difference between curriculum and curriculum plan are explained first. When churches plan to change their curriculum or design curriculum plan, objective, scope, content, learners, and methods should be considered and teachers have important roles in these five areas. First, a teacher should know both objectives of the curriculum and clear purposes and objectives for Christian education in the church, so that they can evaluate the objectives of the church can be fulfilled effectively through the curriculum. Also, the personal philosophies of the teacher should agree with them. Second, teachers should define the scope and content of the curriculum. Scope means what learners will be taught through the curriculum. It can be wide enough to study all the Bible or can be narrow so that only one subject will be studied in the class. Third, teachers should know learners and learning  methods. Teachers should recognize the learner’s thought, concept, circumstances, and learning style so that teachers will design an effective curriculum. Choosing a curriculum should be started with knowing learners. Last, teachers should recognize that they are the most important curriculum resource and try to develop themselves continually. A teacher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in Christian education. It is explained what teachers should do in choosing a curriculum in the church and reminded teachers themselves are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curriculum design through this study.

‖ Keywords ‖ Curriculum, Curriculum plan, Christian teacher’s role, Curriculum design, Christian teacher, Christian education, Church education

 

 

한글 초록



기독교 교육 커리큘럼 디자인에 있어서 교사의 역할



김재우(꿈이있는미래 연구팀장, 오륜교회)


이 연구의 목적은 교회 내 교육의 커리큘럼을 구성할 때, 교사가 담 당해야 하는 중요한 역할이 무엇인지 정의하기 위함이다. 우선 커리큘 럼이 무엇인가에 대해 간단한 정의를 하였으며 커리큘럼과 커리큘럼 계획의 차이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무엇보다 커리큘럼 계획을 세우게 될 때 크게 목적, 범위, 내용, 학습자 그리고 방법을 고려하게 되는데 교사는 이 다섯 가지 영역에서 중요한 역할을 감당하게 된다. 첫째로 교사는 교회 기독교 교육 과정의 목적이 무엇인지 정확히 알고 있어야 하며 커리큘럼 과정이 이 목적을 채워줄 수 있는가에 대해 평가를 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교사 개인의 철학 역시 이 커리큘럼의 목표에 동 의할 수 있는지 알아야 한다. 둘째로, 교사는 커리큘럼이 다룰 내용에 대한 범위를 정리할 수 있어야 한다. 범위라는 것은 교육 과정을 통해 얼마만큼 가르칠 것인가에 대한 것인데 성경에 대한 모든 것을 다룰 만 큼 광범위해질 수도 있고 한 가지 주제로 한 수업만 가능하도록 좁아질 수도 있다. 셋째로, 교사는 학습자와 교수 방법론을 잘 알고 있어야 한 다. 학습자가 가진 생각과 개념, 환경과 선호하는 교수 방법 등을 교사 는 알고 있어야 하며 이것이 커리큘럼 계획을 세우는데 중요한 요소 중 하나다. 커리큘럼을 고르고 실행할 때 학습자의 여러 가지 특징들을 고 려하며 시작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가장 중요한 커리큘럼의 요소는 바로 교사 자신이라는 것을 인식해야 하며 교사는 꾸준하게 자기 자신을 발전시키기 위한 노력을 해야 한다. 이 연구를 통하여 교회 교육의 가장 중요한 요소라고 할 수 있는 교사가 커리큘럼의 선택과 적용에 어떤 역 할을 하고 있는지 설명하였으며 교사 자신이 가장 중요한 커리큘럼의 요소임을 강조하고 상기시킴으로 마무리하였다.



‖ 주제어 ‖ 커리큘럼, 커리큘럼 계획, 기독교 교사, 커리큘럼 디자인, 기독교 교사 사명, 기독교 교육, 교회 교육

 
전체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