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지 초록

기독교교육논총 60집

작성자
wesley4865
작성일
2019-12-30 15:55
조회
2441
3개 기독교교육 학술지 논문제목에 나타난 주제어 동향분석 연구

 

임창호(고신대학교/교수)

changholim10@gmail.com

 

 

본 연구는, 한국을 대표하는 3개 기독교교육학회(한국기독교교육학회, 한국기독교교육정보학회, 한국복음주의기독교교육학회)의 학술지(기독교교육논총, 기독교교육정보, 복음과교육)에 지난 13년간(2006.01-2018.12) 게재된 1,025개의 논문을 분석한 연구이다. 지금까지 기독교교육 연구논문 분석에 대한 몇 번의 선행연구가 있었지만, 위 3개 학술지에 실린 논문만을 대상으로 비교 연구하는 것은 본 연구가 처음이다. 특별히 이 세 학술지를 선택한 이유는, 한국 기독교교육학자들 대부분이 이 3학회 중 어느 한 곳에 속해 있거나 또한 중복하여 활동하고 있기 때문이다.

연구대상 논문을 굳이 최근 13년간으로 한정하게 된 이유는 다음과 같다. 오인탁교수가 1945년부터 2005년까지 60년 동안의 한국기독교교육학문헌목록을 수집하고 분류하고 분석하는 연구를 수행하였는데, 이어진 후속연구는 자연스럽게 2006년 이후의 것이 되었다. 공교롭게도 필자가 후속연구자가 되어 2018년 12월까지 13년 동안의 기독교교육학 연구문헌들을 최종 편집하게 되었다(2020년 1월 발행 예정). 13년 동안 수집 된 한국기독교교육학문헌 목록내용 중, 3개 학술지에 실린 논문만을 별도로 선정하여 본 연구에서 분석한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3개 학술지 1,025 논문 제목에 나타난 주요 52개 주제어를, 교회와 신앙영역(13항목), 교육영역(24항목), 상황적 영역(15항목) 등 세 영역으로 분류하여 연구빈도수를 분석하였다. 분석된 연구빈도수는 다시 전체별, 학술지별로 분석하였다. 이렇게 하여 살펴본 결과, 교회와 신앙 영역에서는 신앙, 영성, 성경(성서), 공동체 등이, 교육영역에서는 기독교교육, 청소년, 부모, 교사, 인성 등이, 상황적 영역에서는 통일(평화), 문화 및 다문화, 환경(생태), 노인(고령) 등의 항목이 높은 연구빈도수를 나타내 보였다. 반면, 교회와 신앙 영역에서는 하나님 나라, 선교, 교리 등이, 교육영역에서는 공교육, 입시, 평생교육 등이, 상황적 영역에서는 폭력, 4차산업혁명 관련 항목들에 대한 연구빈도수가 가장 적게 나타났다.

인물연구 영역에 있어서는 세 학술지가 공통적으로 칼빈, 코메니우스, 예수를 가장 많이 다루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모든 학술지가 공통적으로 한국인물에 대한 연구가 인색한 것과, 성경인물 연구는 예수와 바울 두 사람만 다루어진 것을 볼 수가 있었다. 선교 136년을 맞이하는 선교한국의 기독교교육자들에 대한 연구와 성경인물에 대한 연구가 적극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고 보아진다.

 

《 주제어 》

학술지, 빈도수, 주제어, 분석, 교육영역, 신앙영역, 상황적 영역.

 

 

Abstract

 

Analysis of Thematic Trends within Academic Paper Titles in 3 main Korean Christian Education Journals.

Changho Lim

Professor, Kosin University

 

 

This research paper is a comprehensive analysis of 1,025 academic papers that have been published over 13 years (Jan. 2006 – Dec. 2018) in the academic journals of the three main Christian education academic associations in Korea (Korean Society of Christian Religious Education, Korea Society for Christian Education & Information Technology, and the Korean Society of Evangelical Christian Education). Although there are existing research papers that have focused on the thematic trends of Christian education academic papers, this paper is the first to focus specifically on the papers published in the three main Korean Christian education academic associations. The reason why this paper focuses on these three academic associations is that the majority of Christian education scholars in Korea is affiliated with one or more of these associations.

The reason for this research paper's focus on the last 13 years of Christian education academic literature in Korea is that prior periods have already been covered in a Christian education literature compendium, published by Professor Oh In-tak, that comprehensively analyzes and catalogues the Bibliography of Christian Education Academic Literature between 1945 and 2005 in Korea. The author of this research paper is the successor of Professor Oh's compendium and will be publishing a new edition of the compendium that further covers the Christian education academic literature of the past 13years (publication expected in January

2020). This research paper draws on the research conducted in connection with the new edition of the compendium and specifically focuses on the academic literature produced by the three main Korean Christian education academic associations.

This paper has categorized the titles of the 1,025 academic papers into 52 sub-themes, which can be captured under the 3 major themes of (i) "church and faith"-related themes (13 sub-themes), (ii) "education"-related themes (24 sub-themes), and (iii) "situation"-related themes (15 sub-themes). The paper analyzes the frequency of appearance of the 3 major themes and the 52 sub-themes in the academic paper title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reveal that the sub-themes that appeared with the highest frequencies under (i) "church and faith" were faith, spirituality, Bible / Scripture, and community, (ii) "education" were Christian education, youth, parents, teachers, and character, and (iii) "situation" were Korean reunification (peace), culture and multi-culture, environment and ecosystem, and elderly (aging society). On the other hand, the sub-themes that appeared with the lowest frequencies under (i) "church and faith" were God's land, mission work, and doctrine, (ii) "education" were public education, entrance examination, and continuing education, and (iii) "situation" were violence and other themes related to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he three most common individuals to appear as sub-themes across all 3 major themes were Calvin, Comenius, and Jesus.

Notably, the analysis shows that Korean individuals were rarely the thematic subjects of these academic papers, and references to Biblical characters were predominantly focused on Jesus and Paul. One conclusion of the paper is that Christian education scholars in Korea should focus their academic research more on the individuals that have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136 year-long history of the development of Christian education in Korea.

 

《 Keywords 》

Academic papers, Frequency, Themes, Subjects, Analysis, Education, Faith, Situation

 

 

 

종교교사 양성기관의 역량진단 지표 분석 및 발전 방안 연구2) : 기독교교육과 중심으로

 

 

이정기(백석대학교/교수)

jgedu@bu.ac.kr

 

본 연구의 목적은 종교교사 양성제도의 도입 배경과 교원양성기관의 역량진단 지표 분석을 통한 발전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종교교사 양성기관의 현황을 파악하고 과제를 선행연구에 근거하여 정리하였다. 그리고 교원양성기관 평가의 목적과 문제점을 분석하고 개선 방향을 제시하고 교원양성기관 평가의 교육적 성과를 기술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5주기 교원양성기관 역량진단의 추진 배경과 방향을 기술하고 역량진단의 주요 지표 중 정성지표를 진단준거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그리고 종교교사 양성기관인 기독교교육과의 5주기 역량진단 대응 방안을 제시하였으며 종교교사 양성기관으로서의 학과의 발전 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안하였다. 첫째, 교원양성기관 역량진단 대상의 유형에 대한 고민과 최종 의사결정이 요구된다. 둘째, 기독교교육과의 교육과정을 학과의 교육목표와 대학의 인재상에 부합하고 역량중심의 교육과정으로 편성․운영하는 것이 필요하다. 셋째, 종교교사 교육실습의 체계적인 운영이 필요하다. 넷째, 국가 주도의 역량진단에 대비하기 위해 교원 양성학과의 평가체계 구축이 요구된다. 다섯째, 기독교교육과 졸업 후 진로의 다양성 확보가 필요하다. 본 연구의 기대효과는 종교교사 양성제도에 대한 이해와 교원양성기관의 역량진단 결과의 우수한 성과를 바탕으로 종교교사 양성학과인 기독교교육과의 발전에 기여하는 것이다. 종교교사 양성기관의 체계적 운영과 미래지향적 개선은 매우 중요한 과제로 대두되고 있다.

 

《 주제어 》

종교교사, 교원양성기관, 역량진단, 종교교사 양성 방안, 기독교교육

Abstract

 

An Analysis and Development Plan of Competency Evaluation Index for Religious Teachers Training Institutes : Focused on Department of Christian Education

 

Jeong Gi Lee

Professor, Baekseok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reasons behind the introduction of the system for training religious teachers and the development measures through the analysis of the competency evaluation index for religious teachers training institutions. The status of the institutions for training religious teachers was identified and the tasks were organized based on prior research. And the purpose and problem of teacher training institution evaluation were analyzed and the direction of improvement was suggested. To this end, the status of the institutions for training religious teachers was identified.

The background and direction of implementation of the 5 cycle competency evaluation index are described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following suggestions were made for the development of the department as a training religious teacher.

The expected effect of this study is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Christian education, a training department for religious teachers,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the system for training religious teachers and the excellent performance of the results of capacity diagnosis by the teacher training institution. The systematic operation and improvement of the training institutions for religious teachers is very important.

 

 

《 Keywords 》

Religious teacher, Teacher training school, Competency evaluation index, Quality of teacher, Christian education.

 

 

 

신자유주의 시대 회중의 ‘경제적 성화 교육’을 위한 연구

 

양승준(협성대학교/초빙교수)

wesley4865@naver.com

 

19세기 고전적 자유주의 노선을 이어 받아 1970년대에 등장한 신자유주의 시대에서의 ‘자유’는 인간이 대상이 아니라 시장경제이기에, 이 시대의 화두는 단연 ‘경제’이다. 시대를 읽고 비전을 제시해야 하는 기독교교육에서 ‘경제’는 반드시 중요하게 다뤄야 할 주제가 아닐 수 없다. 성서에서도 경제 영역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는 구절과 의미들을 발견할 수 있으며, 기독교교육은 올바른 해석과 교육을 통해 그리스도인의 경제관을 세워야 한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Ⅰ장에서 신자유주의 시대에 뒤틀린 문법들 가운데 첫째 성장·소비 지상주의의 문제, 둘째, 불평등·양극화의 문제를 지적한다. Ⅱ장에서는 문제에 대한 기독교교육적 대안으로 상호평등의 공동체 구축을 제안하면서, 구체적인 실천 방안들을 16세기 종교개혁자인 루터와 칼뱅, 18세기 부흥운동가인 웨슬리를 통해 모색하고 기독교교육 현장에서 반드시 ‘경제적 성화 교육’이 필요함을 제언한다. Ⅲ장에서는 회중의 경제적 성화 교육을 위해, 성서적 근거와 16세기 종교개혁자인 루터와 칼뱅, 그리고 존 웨슬리의 사상과 실천을 토대로 도구적 모델을 연구하였다. Ⅳ장은 결론으로 교회교육이 올바른 경제관념과 경제적 성화를 실현하는 선구자로서, 실천의 기대효과를 피력하였다.

 

《 주제어 》

신자유주의, 성장·소비 지상주의, 불평등·양극화, 경제적 성화 교육, 존 웨슬리

 

 

 

Abstract

A Study on the Economical Sanctification Education of the Congregation in Neoliberal Era

 

 

Seung-Joon Yang

Visiting Professor, Hyupsung University

 

 

In the neoliberal era, which took over the classical liberal lines of the 19th century, 'freedom' in the 1970s is not an object but a market economy, so the topic of this era is by far the 'economic'. In Christian education, which requires reading the times and presenting visions, the economy is an important topic. In the Bible, we find verses and meanings that are closely related to the economic sphere, and Christian education must establish a Christian economic view through correct interpretation and education.

To this end, this paper points out the problems of growth and consumption terrestrialism, and secondly, inequality and polarization, among the grammars of the neoliberal era.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we propose to build a community of mutual equality, and seek concrete action plans through 16th-century Reformers Luther and Calvin, and 18th-century revival activist John Wesley. This need is suggested in Chapter II. Chapter III studied implemental models based on biblical grounds and the ideas and practices of Luther, Calvin, and John Wesley, 16th-century Reformers, for the education of economic sanctification for the congregation. Through this, the expectation effect of the mission of church education to realize the correct economic concept and economic sanctification was discussed in the conclusion of Chapter IV.

 

 

《 Keywords 》

Neoliberalism, Growth and consumerism, Inequality and polarization, Economic sanctification education, John Wesley

 

 

 

 

국내 외국인학교의 종교교육과 학습활동에 관한 연구

 

손 문(연세대학교/겸임교수)

sm0925@yonsei.ac.kr

 

 

연구자는 국내 외국인학교의 종교교육을 그곳에서 수행되는 학습활동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외국인학교의 종교교육은 구성적 차원에서의 신앙과 도덕성이 유기적으로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특히, 종교적 다양성은 종교교육의 주된 교육내용을 형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에는 종교교육이 세계관교육과 글로벌 환경에서 민주시민교육의 기본 소양을 체득하는 학습활동으로 발전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종교교육의 학습 현장에서 마주한 심층 대화에서 학습자들은 차이와 억압에 대한 새로운 대안적 종교교육의 모형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종교적이며 신앙적인 측면이 교육현장에서 지성적이며 합리적인 차원으로 재구성되는 설명 가능한 방식에 관심을 주목하였다. 이에 더하여서 타자와의 관계성이 종교교육의 현장에서는 초월적 가치와 긴밀하게 연결될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삶의 고통과 절망은 종교교육의 학습활동을 통해 자신의 삶을 성찰하는 창조적 계기로 작용하기도 했다.

 

《 주제어 》

국내 외국인학교, 종교교육, 구성적 차원, 신앙과 도덕성, 차이와 억압, 고통과 절망, 초월적 가치

 

 

 

Abstract

 

Convergence Study between Religious Education and School Activities in Korea Overseas Schools

Moon Son

Adjunct Professor, Yonsei University

 

 

The connectedness between religious education and school activities is actively explored in many schools in the United States, Canada, Australia, New Zealand, the European countries, and so on. I will study how both relationships are constructed in schools which have the membership of Korea Council of Overseas Schools. Basically, I think that religion education in kindergarte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will be a positive and influential resource to form the healthy character and developmental identity in the class environment where educational participants experience cultural difference and conflict. Considering multi-cultural contexts, these factors can be regarded as special influential resources of academic perspective. Therefore the peaceful and hospitable school environment supported by religious education can be understood as positive role or function of academic perspective.

 

《 Keywords 》

Overseas schools, School activities, Religious Education, Korean Council of Overseas Schools, Multi-cultural contexts.

 

 

 

 

반응적 공동체주의에 근거한 효 이해

 

 

김정희(목원대학교/조교수)

lalaente@mokwon.ac.kr

 

 

현대사회는 개인주의가 심화되고 공동체주의를 등한히 하는 경향이 나타나면서 사람들 간의 ‘친밀감’이 약화되고 있다. 그로 인해 발생한 고독사, 자살, 우울증, 유기 등은 심각한 사회 문제들이 되고 있다. 개인주의의 심화가 현대인들에게 심각한 사회적·정신적·심리적 문제가 되고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현상은 더 나아가 공동체의 존립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에 개인의 가치인 자율성은 유지하면서 단편화된 관계를 유기적으로 연계시키기 위한 이상적인 삶의 원칙을 찾아야 한다는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때 염두해야 할 것은 다음과 같은 질문이다. “개인주의적 삶이 공동체주의적 삶보다 우선되어야 하는가?”, “개인주의의 강조로 인해 발생한 사회적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대안은 무엇인가?” 이에 대한 답으로 최근 사회와 학계에서는 ‘공동체’에 대한 의미가 다시 재조명되고 있다. 현대사회의 문제 해결에 있어서 중요한 것은 공동체의 지향을 통한 관계성의 회복과 응집력 및 결집력의 강화에 있다고 본 것이다. 여기에 있어 전제되어야 할 것은 공동체만을 절대적으로 강조하고 개인주의를 배제해서는 안 된다는 사실이다. 즉, 개인의 자율성을 존중하고, 집단주의, 배타주의 등을 극복한 변화된 공동체성을 지향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개인주의'의 문제를 예방하고 극복하기 위한 공동체주의의 가장 기본적인 전제가 무엇인가를 직시하고 다음과 같이 제안하였다. 먼저 현대사회의 특성을 고려한 공동체주의로서, 반응적 공동체주의에 대해 살펴보았다.

반응적 공동체주의는 기존의 공동체주의와 다르게 개인의 가치와 공동체의 가치를 함께 지향하는 것을 추구한다. 이러한 반응적 공동체주의를 근거로 하여 효에 대해 살펴보았다. 왜냐하면 본 연구는 공동체가 공동체 됨에 있어서 기본적인 가치 이해를 효로 규정하였기 때문이다. 그리고 반응적 공동체주의에 근거한 효가 말하는 연대성, 공동선, 호혜성의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 주제어 》

개인주의, 공동체주의, 반응적 공동체주의, 효, 공동선, 연대성, 호혜성

 

 

Abstract

Understanding HYO in the Context of Responsive Communitarianism

 

Jung-Hee Kim

Assistant Professor, Mokwon University

 

 

As individualism has come to be more valued than communitarianism, intimacy among people has been weakened. Alienation, solitary death, suicide, depression and social withdrawal are on the rise year by year.

Undue emphasis on individualism has negative effects on people, plaguing the society to the extent of threatening its existence. A need arises to find a principle to bring atomized individuals into an organic web of nurturing relations while maintaining the positive values of individualism.

Questions to be asked are: "Should individualism take precedent over communitarianism?" "How are the corollaries of excessive individualism to be dealt with?" To answer these questions societies and the academia turn their eyes to the concept of community. They perceive what is crucial to the treatment of the harms of excessive individualism is the restoration of relationships and strengthening of solidarity through building an alternative community. It is mandatory for such a community to strike a balance between the common good and personal autonomy and individual rights.

Taking into perception the fundamentals for overcoming problems engendered by individualism and envisioning an alternative communitarianism, i submit the following suggestions. I examine the responsive communitarianism. Responsive communitarianism is a kind of communitarianism that takes into account the characteristics of today's societies. It is distinguished from communitarianism in that it is committed to both individual autonomy and rights and the common good. Since i consider HYO as a fundamental value for an alternative community to become what it is, i look into the idea of HYO, particularly into the aspect of solidarity, the common good and reciprocity.

 

 

《 Keywords 》

Individualism, Communitarianism, Responsive Communitarianism, HYO, Commom Good, Solidarity, Reciprocity.

 

 

 

 

James. K. A. Smith가 제안하는 기독교교육 및 형성에 관한 고찰

 

 

유은희(총신대학교/부교수)

ehyoo@chongshin.ac.kr

 

 

 

본 논문은 기독교철학자 J. K. A. Smith가 지난 십년 간 저술해 온 문화적 예전 시리즈인 「하나님 나라를 욕망하라」(2016), 「하나님 나라를 상상하라」(2018), 「왕을 기다리며」(2019)에 담긴 기독교교육 및 기독교적 형성의 목적과 과제에 관한 고찰이다. 그가 생각하는 온전한 기독교 교육에 대한 제안은 오늘날 기독교교육이 변형된 기독교세계관 모형과 주지주의적 인간론에 근거하고 있음에 대한 비판과 함께 이루어진다. 기독교를 사상체계로 축소시킨 세계관적 접근과 주지주의적인 인간론은 노련한 욕망교수법이라 할 수 있는 세속적 예전의 형성적 힘을 간과하고, 이론과 실천, 내용과 방법을 분리될 수 있는 것으로 여겨 방법과 형식의 진정성과 참신함을 추구하다가 세속적 예전에 공모함으로써, 급진적인 제자를 형성하는 데 부적절한 토대가 되었음을 지적한다. 고대 기독교의 영적형성의 자원과 신체성을 포함한 피조물성과 서사적인 존재라고 하는 인간의 특성을 간과한 탈육신화된 기독교교육의 모습을 비판하며 Smith가 제시하는 기독교교육은 예배를 통한 사회적 상상력의 회복이며, 예전에 풍성히 담긴 이야기에 몰입함으로써 지각의 배경이 새로워지고, 기독교 공동체의 감수성을 흡입하고 그 실천에 참여하는, 특정한 방식으로 느끼고 기울어져 행동하게 하는 하나님 나라 공동체의 아비투스와 성품을 지닌 그리스도인의 형성을 목적으로 한다.

 

 

Abstract

A Study on Christian education and formation envisioned by James. K. A. Smith

Eun Hee Yoo

Associate professor, Chongshin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understand the series of cultural liturgy written by J. K. A. Smith, professor of Philosophy at Calvin university. Through his three volumes, he attempted to depict what Christian education and Christian formation should look like when it is based on a more holistic view of human beings in accord with Scriptures and his philosophical anthropology. He envisions a new way of approaching Christian education by resto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worship and Christian education in that the human being is viewed primarily homo adorans. He does so by engaging in critical reflection on so-called 'a worldview model' highly upheld in Christian educational fields.

He gives preeminence and primacy to affect over cognition in order to explain how human beings operate in the world, and suggests that human beings are narrative beings and bodily creatures. They are directed by the ultimate desires and telos more than by what they consciously think.

Therefore, based on the view of human beings as homo adorans, he argues that the purpose of Christian education is sanctification of perception and acquisition of social imaginary inspired by story-filled worship and Christian habitus through participation in repetitive practice and liturgy in which people can immerse themselves in Christian narratives. To offer re-enchanted Christianity is a great service to our disenchanted secular world.

 

《 Keywords 》

J. K. A. Smith, Culture, Liturgy, Christian Education, Worldview, Habitus

 

 

신앙-학업 관계유형을 위한 이론과 신앙-학업 “통합유형”의 실제 연구

 

김성중(장로회신학대학교/조교수)

newant99@gmail.com

 

 

한국교회 교회학교에 아이들이 급감하고 있는 안타까운 현실 속에서 급감하고 있는 이유를 구체적으로 찾아보아야 한다. 인구감소라는 현상적인 요인도 있을 것이고, 한국교회 위신 하락이라는 사회적인 요인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아이들 특히 중, 고등부 학생들의 현실 중심에 들어가 보면 학업의 요인이 크다는 것을 발견할 수 있다. 학원 가느라 교회에 못 나오고, 시험 기간이라 교회에 못 나오고, 학원 보충이 겹쳐서 교회에 못 나온다. 설령 아이들은 교회에 나오고 싶어도 부모가 학업을 우선으로 여기기 때문에 학업을 먼저 선택할 수밖에 없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교회 안에 학원을 만들어야 문제가 해결될 거 아닐까 라는 우스갯소리 방안도 나온다. 이뿐만 아니라, 교회학교에 다니는 아이들은 신앙과 학업의 관계 안에서 방황하고 있다. 엄밀히 말하면, 신앙이 학업에 밀리거나, 혹 신앙을 철저히 가지고 있는 아이들조차도 신앙을 학업을 위한 수단, 도구로 여기는 경우들이 많다. 따라서 본 논문은 신앙과 학업의 관계유형이 어떻게 되는지를 찾아보려고 노력했다. 구체적으로 Sethia와 Glinow의 “문화유형론” 이론을 가지고 신앙학업의 관계유형을 4가지로 나눠보았고, 그중에 신앙-학업 “통합유형”을 이상적인 유형으로 보았다. 그다음 Alderfer의 “생존-관계-성장이론”에서 “성장욕구”에 강

조를 두고, 성경에서 발견한 “하나님 경외,” “정직한 노력,” “하나님께 영광과 찬송”이라는 요소를 가지고 기독교교육 현장에서 구체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신앙학업 “통합유형”의 교육 모델을 제시해보았다. 본 논문은 신앙과 학업의 이상적인 관계성을 제시했고, 이에 따르는 실제적인 교육 커리큘럼들을 계속 만들 수 있는 이론적 근거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기독교교육적으로 큰 의의가 있다고 판단된다.

 

《 주제어 》

교회학교, 신앙, 학업, 통합유형, 교육모델

 

 

 

Abstract

A Study on the Theory for the Types of Faith-Study Relations and the Practice of Faith-Study “Integration Type”

 

 

Sung-Joong Kim

Assistant Professor, Presbyterian University and Theological Seminary

 

 

We need to find out the reason for the sharp drop in the sad reality that students are dropping in church school in South Korea. There is a phenomenal factor, a decrease in population, and a social factor, a decline in the prestige of Korean churches. However, if we enter the center of students’ lives, especially the reality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of the church, we can find that their study is an important reason for the sharp drop in the church school. They can not go to church because they should go to the private institutes, prepare for the exams, and continually study in their homes. Even if students want to go to church, their parents make “study” a priority, so they have no choice but to study first. In such

a situation, some says “let’s make a private institute in a church to solve the problem” for a joke. Students in church schools are wandering in the relationship between faith and study. In many cases, even students with faith regard it as a mean or a tool for study. Therefore, this paper tried to find out what kinds of relationship between faith and study are.

Specifically, I have divided “faith and study relations” into the four types by using Sethia and Glinow’s theory, and I have believed that the “integration typ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faith and study is the ideal type. Thus, emphasizing the “Growth needs” in Alderfer’s “Existence-Relatedness-Growth Theory” and the three factors, “fear of God,” “honest efforts,” and “glory and praise to God,” in the Bible, this paper presented an educational model of faith-study “integration type” that can be applied to the Christian educational fields. This paper presented the ideal relationship between faith and study, and provided the opportunity to continue to create practical educational curricula regarding faith-study “integration type.”

 

 

《 Keywords 》

Church school, Faith, Study, Integration type, Educational model

 

 

 

1980년대 한국 개신교 영성연구 분석

 

 

권진구(목원대학교/조교수)

daniel1978@naver.com

 

 

1980년대 이전 개신교 영성연구에서는 영성을 중요한 용어로 인식하거나 그 정의를 다루는 글을 발견하기 쉽지 않다. 80년대 이전에는 주로 예배, 설교, 기도, 금식, 경건, 기독교적 삶, 성령, 신비주의, 수도원 운동 등 영성과 관련된 개별 주제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졌다. 1980년대는 영성을 연구의 중심 용어로 사용하는 글들이 나타나는 시기이고 영성에 관해 정의하고 그 역사를 탐구하기 시작하는 때이다. 80년대는 영성에 관해 연구하는 학자와 목회자의 수가 늘어나고 논문, 서적, 기고문 등이 이전 시대와 비교해 증가한다. 본 논문은 1980년대 생산된 영성에 관한 책과 논문 및 다양한 글을 소개하고 연구해 그 특징과 의의를 논한다.

본 연구가 주장하는 1980년대 한국 개신교 영성연구의 특징은 영성을 중요한 용어로 사용하면서 영성에 대한 정의를 시작했다는 점, 간학문적 연구를 시도하면서 연구 주제와 범위를 확장한 것, 그리고 한국적 영성에 대해 이해하고 정립하려고 시도했다는 점이다.

 

 

《 주제어 》

기독교, 개신교, 영성, 한국, 1980년대

 

 

Abstract

Korean Protestant Studies on Spirituality in the 1980s

Jingu Kwon

Assistant Professor, Mokwon University

 

 

Before the 1980s, Korean scholars and church ministers had not often used the term 'spirituality' for their studies on the whole range of spiritual life and discipline of the Korean Christians. Instead, they used terms like devotion, holiness, Christian life, mysticism and so on. During the 1980s, Korean scholars begun to use 'spirituality' as an umbrella term to understand and explain not only about Christian life, movement, discipline, and practices, but also about Christian culture and thoughts, The 1980s is also a pivotal period for the Korean scholars and church ministers to begin wide and serious studies on spirituality. Many scholars and church ministers had been involved in the study of spirituality in various fields like Christian education, pastoral care and counseling, church administration, Korean feminist theology, and on. The three characteristics of the 1980s protestant studies on spirituality are using 'spirituality' as a key term for theological studies, developing the interdisciplinary dimension of spirituality, and understanding Korean Spirituality through Korean history and the history of the Korean Church.

 

《 Keywords 》

Christianity, Protestant, Spirituality, Korea, 1980s

 

 

 

기독교 경제 윤리에 기초한 한국 교회 목회자 사례비 운영의 제안 : M교단을 중심으로

 

 

박미경(연세대학교/겸임교수)

lovelymikyong@hotmail.com

 

 

본 연구는 우리 사회에 만연한 부의 불평등한 분배의 심각함을 숙지하고, 한국교회 역시 동일한 현실에 처해 있음을 직시하면서, 부의 공평한 분배를 통한 기독교 경제관에 입각하여 목회자의 사례를 책정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성경에서 제시하고 있는 경제 원리는 생명권과 생존권을 중시하며, 약자를 보호할 수 있는 경제법에 기초하고 있으며 물질에 대해 청지기적 태도를 견지해야 함을 강조한다. 성서적 앎과 실천적 삶의 일치를 추구하는 기독교교육에 있어, 교육자가 먼저 솔선하는 것은 지극히 당연하고 필요한 것이라고 볼 때, 본 연구는 기독교교육의 주제로 충분한 가치가 있다고 본다. 자신은 행하지 않으면서 누구를 가르칠 수 있다고 하겠는가. 가르친다 해도 공허한 메아리가 될 뿐이다. 또한 교사의 역할을 담당하는 목회자의 스트레스와 탈진의 중요한 원인 중 하나가 바로 재정관련 문제임을 볼 때, 이를 개선하거나 해결할 수 있는 것은 목회의 현장에서 간과되어서는 안 될 요소라고 본다. 더 나아가 기독교의 경제원리가 우리 사회를 향해서도 의미 있는 영향력을 끼칠 수 있기를 바라며, 먼저 교회 내에서 목회자 간 빈부의 격차를 해소할 수 있는 방법을 찾고자 한다. 목회자의 사례비 수준이 우리 사회에서 어느 위치에 있는지 살펴보기 위해 먼저 일반 기업의 노동자들의 임금과 목회자의 사례수준을 비교한 후, 기독교 경제 원리에 기초하여 십일조와 희년의 정신에 따라 목회자 사례비 운영의 원리를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필요에 기초한 사례비 운영의 원리이고, 둘째는 결과적 평등에 기초한 사례비 운영의 원리이다. 셋째, 공동체성에 기초한 사례비 운영과 마지막으로 넷째는 희년정신에 기초한 소득 재분배의 원리이다.

 

《 주제어 》

목회자 사례비, 기독교 경제 윤리, 상호책임과 연대, 청지기 정신, 희년법, 앎과 삶의 일치를 위한 기독교교육

 

 

 

2차 진료교육 정책을 보완하는 ‘진로소명’ 교육 제안 : 기독교 학교에서 종교 교과를 통한 진로 교육

 

 

고수진(장로회신학대학교/초빙교수)

erziehung@hanmail.net

 

 

청소년은 미래에 대한 예측이 가능해지면서 진로에 대한 막연한 기대와 불안사이에 서있게 된다. 산업혁명 이후 진로는 선택의 문제가 되었지만, 미래 사회 직업 구도의 변화는 진로가 단지 청소년기의 선택과 결정의 문제가 아닌 평생의 과제가 될 것을 예측한다. 오늘날 사회과학 분야에서 ‘이타적 직무활동’ 개념으로 ‘진로 소명’이 등장하고 있는데, 이는 진로를 준비의 과정에서 근본적인 수정이 필요하다는 것을 어필한다. 진로 혹은 직업이 하나님의 ‘거룩한 부르심’ 으로 전환되기 시작한 것은 16C 부터 이었다. 마틴 루터와 존 칼뱅은 직업을 포함한 여타의 노동, 일상의 역할들이 성직과 다름없는 하나님의 부르심, 소명이라고 보았다. 종교개혁자들이 소명에서 하나님의 부르심을 강조하였다면 디트리히 본회퍼와 리차드 니버는 소명에 대한 인간의 책임적 응답을 강조한다. 곧 소명은 모든 삶의 영역에서 부르심, 들음, 응답의 과정으로 인식, 실행될 수 있다. 영성학자 파커 팔머는 소란과 소음이 많은 시대에 부르심을 잘 들으려면 침묵 훈련이 전제되어야 한다고 조언한다. 본래 진로 교육은 사회적 공공재로서 국가에서 책임져야 할 문제이지만, 최근에서야 그것이 청소년의 권리이며 공교육의 책임이라는 것을 인식, 공포하였다. 현재 시행되는 제2차 진로교육 정책은 진로 교과, 진로 교사 배치, 진로 교육 집중 학기제, 상담을 통한 서비스 등 다양한 정책을 시도하고 있지만 개인주의적 관점, 근시안적 안목, 실제 삶과 이분화 된 텍스트 위주 등의 한계점들이 지적되고 있다. 본 연구는 진로 교육 정책에 대한 한계점을 보완할 수 있는 종교교과의 진로 소명 교육 참여를 제안하고자 한다. 2차 진로 교육 정책이 타 교과와의 통합교육을 추구하는 것을 볼 때 종교교과의 진로 ‘소명’ 교육에 대한 참여를 긍정적으로 검토해 볼 수 있다. 진로는 미래에 대한 접근이므로 인생의 실존에 대한 심원한 안목, 종교적 관점을 배제하고 다루기 어렵다. 현 진로 교육은 개인의 목적과 성취우위, 창의성을 강조하는 반면 사회적, 역사적 소명을 간과하는 경향이 있다. 모든 인생에는 유일무이한 목적이 있고 그것은 인류의 보편적, 궁극적 목적과 분리될 수 없다. 종교는 인생에 대한 원시적, 통합적, 초월적 안목을 형성시킴으로서 가치 있는 소명이 무엇인지 분별하도록 한다. 기독교 학교의 종교 교과를 통한 ‘진로 소명’교육의 과정은 침묵의 소명교육, 들음의 소명 교육 그리고 책임의 소명 교육이다. 본 연구는 많은 한계점을 가지고 있지만, 진로는 직업 이상의 가치와 의미를 갖기에 종교교과를 통한 진로 소명교육이 삶에 대한 진지함과 경외감을 배우는 교육의 자리가 되도록 공헌 할 것을 기대한다.

 

《 주제어 》

청소년, 진로 교육, 종교교육, 소명, 개정 교육과정

 

 

 

A Career Calling Education for Revising the 2th Career Education Policy in Korea: By a Religious Course in a Christian School

 

 

Su-Jin Go

Visiting Professor, Presbyterian University

 

 

It is the fact that so many youths worry on their career. Since as getting adolescents, they have an ability to imagine their own future. In a social aspect, it was the first time to consider ‘the youth’ as a ‘choosing time for a career’. After the first industry revolution, a new change happened in a career concept, it had not been a succession task from ancestors but become a choosing problem for youth. Today, the concept of ‘career calling or vocation’ has been emerging as an ‘altruistic work’ in a social science. However, it was 16C that a work had been changed from labor to calling or vocation. Religious reformer, Martin Luther and John Calvin reminded all works and roles in all spheres of people as a ‘holy calling’ like as a clergy. Contrary on emphasis of ‘God’s calling’ from two reformers, Dietrich Bonhoeffer and Richard Niebuhr emphasized the ‘human’s responding’ on the calling. But recently, Parker Palmer advocated that listening of inner voice and God’s voice in silence is the most important thing in calling. Thus, the Calling course is silence, listening and responding to God’s voice and social voice.

Originally a career education is the public work in a society but recently it has pronounced in the Korea Education Ministry. In 2009, the first career education policy came up, and in 2016, it had been enforced by the 2th career education policy. However, it has many downsides so that lots of education professionals have pointed out defaults of the policy in individualism, narrow sight and isolation from a real life.

Therefore, this study like to suggest the ‘career education by religious education in christian school’. The present 2th career education policy has been accepting exchange and connection with other courses. Since a career is the problem of the future, it is so hard to deal with this problem without a deep insight, religious and existential sight about life. The present career education highlights a personal purpose, a privileged achievement and creativity but tends to ignore the social, historical and transcending calling. But individual purpose of a life cannot be divided from ultimate purpose of a humankind. Youth can find out a valuable calling when they are thinking over what is their calling from the holistic and far-sighted view about their life in religious education.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a career calling education by the way of PBL(Problem Based Learning). The main point of this education is ‘calling’ concept and the scope is all and total life sphere. The process of this education is silence’s education, listening’s education and responsible responding’s education. This study has lots of defaults however I wish that this education can keep youth who is standing between anxiousness and blinded expectation about future from pseudo or extreme religion, and also look forward to raise up healthy personality who can confront many difficulties about future.

 

《 Keywords 》

Youth, Career education, Religious Education, Vocation, Revised educational curriculum

 

 

입양 아버지의 애착육아를 위한 성경적 양육의 원리와 실천방안

 

조혜정(총신대학교/부교수)

hjcho5@csu.ac.kr

 

 

입양아의 성공적인 적응을 위해서는 애착형성이 무엇보다 우선되어야할 과제이다. 애착형성의 민감한 시기인 생후 12개월을 전후로 하여서 애착이 손상된 경험을 가지고 있는 입양아의 경우에는 더욱 그러하다. 이때 입양 부모의 양육효능감과 역할에 따라 입양아의 초기적응의 여부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 특히 입양 아버지에 대한 역할과 입양 아버지 됨에 대한 연구는 매우 미미한 실정임을 감안할 때 본 연구는 입양 아버지가 입양아와 안정적 애착 형성을 할 수 있도록 애착육아에 대한 원리와 실천방안을 제안하고 자 하였다. 먼저는 입양 아버지의 성경적 양육을 고려하면서 아버지 자신이 하나님과의 애착관계를 확인하고 신뢰를 회복하여야 하는 것을 전제로 한다. 그 모델을 하나님과 예수님에게서 찾았고, 애착의 특성인 근접추구, 안전기지, 그리고 따뜻한 신체적 접촉을 들었다. 마지막으로 애착 육아의 실천적 방안으로 가정에서의 애착육아를 위한 일관된 놀이와 놀이내용을 제안하였다.

 

 

《 주제어 》

애착육아, 입양아, 입양 아버지. 성경적 양육

 

 

 

Abstract

Biblical Parenting Principles and Practices for Attachment Rearing of Adoptive Fathers

 

 

Hye Jeong Cho

Associate Professor, Chongshin University

 

 

Attachment development is the top priority for successful adaptation between adopted children and their parents. This is even more the case with adoptees who have had damaged attachment development in the sensitive period of around 12 months after birth. It is at this time child-rearing efficacy and role of the adoptive parents can have an important impact on whether or not there is early adaptation with the adoptee. Considering the minuscule amount of research on the role of the

adopting father and becoming an adoptee father, this study seeks to present principles and practical methods for attachment development that enables attachment formation between fathers and adoptees. It does so by considering biblical training of the father, confirming the father’s attachment in his relationship with, and restoration of trust with, God.

A model is fou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God the Father and Jesus Christ as son. Addressed are distinguishing characteristics of attachment such as the pursuit of proximity, a security base, and warm physical contact. Finally, this study suggests play options consistent with attachment development in the home as a practical measure for attachment development.

 

《 Keywords 》

Attachment development, Adoptive father, Biblical parenting

 

 

 

유대교 아가다(Aggadah) 성경해석 전통의 한국교회 적용 방안 고찰

 

 

박정흠(성공회대학교/연구교수)

jhp@skhu.ac.kr

 

유대교 안에는 전통적으로 ‘할라카(Halakhah)’와 ‘아가다(Aggadah)’라는 양대 해석 산맥이 자리하고 있다. 할라카는 율법을 해석한 것으로서 엄격하고 획일적인 성격을 지니고 있는데 반해, 아가다는 율법 외의 이야기들 즉, 신화, 정사, 설화 등 랍비가 전해주는 비율법적 해석으로서 다양성과 유연성을 띠고 있다. 본 연구는 유대교의 두 해석 전통 중에서 ‘아가다’ 방식을 한국교회에 접목하여 성경해석의 지평을 넓히는 데 일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유대교는 지난날 수많은 민족적 비극을 겪으면서도 두 해석 전통 간의 상호 견제 및 보완 기능을 견지해오고 있다. 이를 통해 그들은 위기 때마다 그 시대의 다양한 문화와 철학 등을 겸허히 수용하여 아가다적인 성경해석을 내림으로써 그 상황을 지혜롭게 극복할 수 있었다. 이러한 유대교의 해석전통은 오늘날의 한국교회에 시사하는 바가 매우 크다고 생각한다.

현재 한국교회는 동성애 문제, 빈곤문제, 한반도 안보 등 안팎으로 해결해야 할 많은 과제를 안고 있다. 이러한 시대적 요청에 부응하기 위한 하나의 방법으로서 기존의 신학자와 목회자 등 교회 엘리트 중심의 보편적 성경해석 전통과 병행하여 모든 교회 구성원들이 동참하는 아가다 방식의 새로운 해석담론의 전통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한국교회 130년 이상의 역사와 함께 성경에 대한 성도들의 지적 수준도 정비례적으로 높아졌다. 이제는 성도 스스로 영적 통찰력과 시적 상상력을 동원하여 마음껏 해석의 나래를 펼 수 있도록 필요한 환경을 조성해 줘야 한다고 사료된다.

본고는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한국교회 안에 널리 확산되고 있는 ‘통큰통독’이라는 성경통독 프로그램을 유대교의 아가다 성경해석 전통에 접목하는 작업을 시도하였다. 연구의 초점은 통큰통독의 핵심 내용인 ‘세 가지 관점’과 ‘세 가지 개념’이 유대교의 아가다 해석 전통과 어느 정도 부합하는지에 두었다. 그 결과, 통큰통독은 아가다 해석 전통과 일맥상통하는 부분이 매우 많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고, 한국교회 안에 아가다적 성경해석 전통을 세우는 데 있어서 아주 적합한 모델이라는 결론을 내릴 수 있었다.

유대교와 한국교회는 과거 역사를 통해 알 수 있듯이 하나같이 민족적 비극과 아픔을 경험하였고 그것을 되풀이하지 않기 위해 국가적·민족적 대안을 지속적으로 제시해야 한다는 막중한 책임을 부여받고 있다. 유대교는 지금도 유연성 있는 아가다 성경해석 전통을 통해 실현 가능한 방안들을 모색하고 있다. 한국교회도 성직자와 성도들이 모두 함께 성경 앞에 머리를 맞대고 허심탄회하게 해석 담론을 주고받을 수 있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렇게 될 때, 한국교회는 개인의 영성은 물론, 민족적·국가적 현안을 해결하는 데 있어서 선도적인 역할을 감당할 수 있을 것이다.

 

《 주제어 》

유대교, 할라카, 아가다, 통큰통독, 한국교회, 성경해석

 

 

 

A Study on How to Apply the Biblical Interpretation Tradition, Aggadah, from Judaism for Korean Churches

Jungheum Park

Research Professor, Sungkonghoe University

 

 

In Judaism, there are two major interpretation mountains, traditionally called ‘Halakhah’ and ‘Aggadah’. Halakhah as a interpretation of the Law, has a strict and uniform character, while Aggadah has diversity and flexibility as a non-law interpretation that rabbis tell stories other than the law, such as myths, histories, and tal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help broaden the horizon of Bible interpretation by engrafting the 'Aggadah' method between the two interpretation traditions of Judaism to the Korean church.

At present, the Korean church has many tasks to solve both inside and outside, such as the issues of homosexuality, poverty, and security on the Korean peninsula and so on. In order to cope with these challenges, I believe that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new tradition of interpretation discourse in the Aggadah way that all members of the church participate in parallel with the universal interpretation tradition centered on church elites such as theologians and pastors. The history of the Korean church has been over 130 years, and the saints' level of Scripture has greatly increased in proportion to tha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ovide them with an environment where they can do free interpretation by using spiritual insight and poetic imagination.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Tongkontongdok’, a biblical reading program widely spread in Korean churches that has been being introduced as a new model for the interpretation of the Bible was presented by engrafting it into the interpretation tradition of Aggadah in Judaism. This study in particular has been contemplated with an emphasis on the core contents of Tongkontongdok, ‘The three perspectives’ and ‘Three Concepts’ corresponding to the tradition of the Judaism interpretation.

As a result, confirmed was that many parts of Tongkontongdok are in line with Aggadah interpretation tradition, and it was concluded that it is the very model suitable for implanting a new interpretation tradition on Korean churches.

 

《 Keywords 》

Judaism, Halakhah, Aggadah, Tongkontongdok, Korean churches, Biblical interpretation

 

 

공감에 기초한 타자 지향적 기독교교육에 관한 연구

 

이향순(계명문화대학교/강사)

herun@hanmail.net

현대 사회에서 사람들이 겪는 고통의 대부분은 타자를 인격적으로 대하지 않는 비공감적 행위에서 비롯된다. 인간에 대한 비인격적 태도는 상호돌봄의 관계를 배제함으로써 고통의 악순환을 재생산하는 요인이 된다. 다른 사람의 고통을 자신의 것으로 수용하려는 공감의 특징은 오늘날 기독교교육이 관심을 기울여야 할 타자에 대한 환대를 함축한다. 이것은 몸, 마음, 영을 유기적으로 통합하며 창조세계를 하나의 거시공동체로 연결하려고 의도한다. 본 연구는 일상에 만연한 비공감적 행위에 저항하는 공감교육의 가능성에 대한 비판적 성찰을 수행한다.

공감은 하나님의 형상을 지닌 인간 안에 내재된 기본능력이자 그리스도의 성육신적 사랑의 원리이다. 예수 그리스도의 사랑은 비인격적 행위에 저항하여 고통당하는 이웃을 환대의 대상으로 수용하는 사랑의 공동체를 추구한다. 공감의 관점에서 기독교교육은 필연적으로 타자 지향적이다. 기독교교육은 자기중심성에서 벗어나 다른 사람과 인격적 관계안에서 소통, 참여, 연대하려는 성향을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결과적으로 본 논고는 공감에 대한 담론을 통해 기독교교육의 타자 지향성을 실현하기 위해 네 가지 교육형태를 제안한다. 공감에 기초한 교육은 첫째, 자아변형으로 나아가는 관계교육 둘째, 신앙공동체를 구성하는 소통교육 셋째, 상호조율을 창조하는 참여교육 넷째, 새로운 변화를 지향하는 연대교육으로 구성되어 있다.

 

 

《 주제어 》

공감, 관계교육, 소통교육, 참여교육, 연대교육, 환대

 

 

A Study on Other-oriented Christian Education Based on Empathy

 

 

Hyangsoon Lee

Lecturer, Keimyung College University

 

Substantial portion of the pain people experience in modern society is due to impersonal attitude against others. The impersonal attitude against others yields reproduction of the vicious circle of pain suffering because it abandons the duty of mutual care as human beings. Because of this situation Today’s Christian education need to place a significant stress on the issue of hospitality toward others. This hospitality toward others calls for Christian education based on empathy which resonates with others’ pain as one’s own. Christian education based on empathy attempts to integrate spirit-mind-body together in an organic manner and make a coherent inter-connection of the created world as a macro-community.

This study carries out a critical reflection on the possibility of empathic education which resists the unsympathetic actions of today’s society.

Empathy is a factor of the fundamental abilities inherent in the image of God and the principle of the incarnate love of Christ. The love of Jesus Christ seeks a community of love that embraces the afflicted neighbor as those who deserve our welcome and hospitality in defiance of depersonalizing attitude.

Seen from the perspective of empathy, Christian education need to be basically and inevitably other-oriented. This is so since Christian education should communicate, participate, and unite with others in mutual relationships and move away from self-centeredness. In result, through vigorous inquiry of empathy this study proposes four forms of Christian education such as followings: first, ‘relationship’ education which moves toward self-transformation, second, ‘communication’ education which constitutes faith community, third, ‘participation’ education which creates mutual coordination, and lastly, ‘solidarity’ education which seeks for change.

 

《 Keywords 》

Empathy, Relationship education, Communication education, Participation

education, Solidarity education, Hospitality

 
첨부파일 : 학술지초록.hwp
전체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