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지 초록

기독교교육논총 50집

작성자
wesley4865
작성일
2017-07-01 14:11
조회
2576

A study on Amish’s Faith and Life for Modern times


Nan Ye Kim


Korea Baptist Theological University/Seminary


The Amish are oneof the protestant denominations in the Anabaptist church who fellow Jesus’s discipline and live their lives by the faith. Amish core values are separation of government and church, adult baptism by immersion, and non-resistance pacifism.They are known as re-baptizers because they insist on adult baptism. Historically, they we reoften tortured, expelled, and executed by radical reformers who sought to destroy religious value and social systems in Europe. Nevertheless, they spread out to various places in small group or in families to find their religious freedom. Amish communities shows that the fast and comfortable lifestyle of the21st century life style slow and simple life style are not necessarily better than the slowand sim-ple life style within which one can live out their faith. The messages we can take from the Amish life styles are:The individual and the community within modern society. In the era of the absence of home education and career focused studies, the Amish, make us recognize the dignity of the individual and the pre-ciousness of family. Second, the message of limitation and separation. The Amish maintain their purityof faith by accepting material civilization only as is required and protecting their faith. From this point of view, Christians can do everything but must limited themselves from material affluence and mass consumption. Otherwise, the Church can loose its way and merely become a special interest group. Third, the message of non-resistance. Even as they got severely tortured, the Amish pursued and practiced pacifism and love for all people in the world. Forth, the message of communal life and worship. The Amish concept of community is not only for human being but also fornature, animals and plants. Also they are trying to take care of each other and live as a community of God. Fifth, the message of nature friendly attitude in life. Through nature friendly attitude in life, they show us that everything in the world is created by God and must live in harmony. Furthermore, we need to learn work ethics, patience and simple concepts through natural friendship. Sixth, the message of their education. Their goal of education is that it gives time and opportunities to young people to think through their lives and make choices by their own and take responsibilities for their life. Additionally their goal is make young people consider others which leads to happiness.

keyword: Amish, limitation &separation, non-resistance pacifism, faith & practice, Amish education, message.

 


 


아미쉬의 신앙과 삶이 현대에 주는 메시지


김난예(침례신학대학교)


본 연구는 아미쉬의 신앙과 실천적 삶이 인공지능 시대를 살아가는 크리스천들에게 던져줄 메시지를 찾고자 하여 문헌연구, 방문과 관찰, 생활경험, 인터뷰, 방문기 등을 토대로 이루어졌다. 아미쉬는 재세례파 분파의 하나로서 예수의 가르침을 따라 살아가며 믿음을 실천하는 종교적 공동체이다. 아미쉬는 정부와 교회분리, 성인침례, 무저항 평화주의를 신앙의 핵심가치로 여긴다. 그들은 유럽의 종교적 ․ 사회적 제도를 파괴하는 반사회적 위험집단으로 인식되어 고문, 추방, 사형 등 혹독한 박해를 받았다. 그러나 그들은 신앙적 신념을 굽히지 않고 박해를 피해 흩어져 살았다. 최첨단의 21세기에 살면서도 18세기 삶을 고집하며 살아가고 있는 아미쉬들은 빠르고 새롭고 편리한 것이 반드시 좋은 것만은 아니라는 것을 신앙의 실천적 삶을 통해 보여주고 있다. 이들이 인공지능시대를 살아가는 우리들에게 주는 메시지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현대 사회의 개인과 가족에게 주는 메시지이다. 가정교육 부재가 심각한 시대, 고3병에 시달려 가족과 사촌들과 친지도 모르고 공부만 하는 시대에 아미쉬의 신앙은 우리에게 개인의 존엄성과 가족의 귀중함을 깨닫게 한다. 둘째, 한계와 분리가 주는 메시지이다. 아미쉬 사람들은 자신들의 신앙을 지키기 위해 꼭 필요한 만큼만 물질문명을 받아들이는 확실한 자기 정체성을 가지고 한계를 정함으로 순결한 신앙생활을 유지해 오고 있다. 이런 면에서 그리스도인들은 모든 것을 다 할 수 있으나 스스로의 한계를 정하고 물질만능 시대에 풍요와 대량소비가 축복이 아니라는 것을 성찰하지 못하면 희망이 없으며 교회는 또 다른 하나의 이익집단으로 전락 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셋째, 무저항 평화주의가 주는 메시지이다. 혹독한 박해를 받으면서도가족과 공동체 사람들과는 물론 바깥세상의 이웃과 지구상의 모든 인류에게 관대한 사랑을 베풀며 살아가는 박애, 평화주의를 추구하고 있다. 넷째, 공동체적 삶과 예배가 주는 메시지이다. 아미쉬는 인간만이 공동체가 아니라 자연과 동식물, 땅도 모두 함께 공동체라는 생각을 가지고편안함과 안락함, 물질과 풍요로움의 늪에서 빠져나와 서로를 돌아보는 하나님의 공동체로 살아가고 있다. 다섯째, 자연친화적 삶이 주는 메시지이다. 자연친화적 직업을 통해 엄격한 노동윤리, 인내, 단순함을 배우며 인간과 자연 뿐 아니라 이 세상에 있는 모든 것들이 병들어 아파하고 신음하는 이 사회에서 하나님이 만드신 창조물 모두가 조화로운 삶을 살 수 있음을 보여준다. 여섯째, 그들의 교육이 주는 메시지이다. 청소년들이 자신의 삶을 충분히 생각하고 선택하여 책임질 수 있는 시간과 기회를 주고 교육의 목표는 다른 사람을 배려하는 것이며 이것이 행복의 지름길 이라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 주제어 ‖

아미쉬, 재세례파, 한계와 분리, 무저항 평화주의, 신앙과 실천, 메시지

 

 

New Visibility of Atheism and Its Religious Nature and Tasks of Christian Education


Eun Hee Yoo


Chongshin University


This study concerns the recent phenomena of New Atheism and a growing population of convinced atheists and so-called ‘religious nones’ in Korea and across countries. The focus of this study is to ex-amine and identify the religious nature of atheism and the activities of atheists, and to suggest educational tasks concerning this issue. This paper defines the religious nature of atheism in terms of secular humanism, the individualistic pursuit of spirituality and religion of instrumental syncretism, and rebellious religiosity with ‘the anti-God act of faith’ upon borrowed premises from Christian theism. At the core of atheism is a distorted understanding of God, creation, and human autonomy. The new visibility of atheism, their aggressive rhetoric and attitudes, and their organized activities for their right and identity as atheists and for proselytizing religious nones and elites should be taken seriously. Several tasks for Christian educators upon this issue are suggested. Atheism calls for both individual and collective critical reflection of Christians upon their images of God, and whether they have been affected by human sinfulness from which human beings make gods/idols after their dreams and expectations, personal experience, and secular meta-narratives within society. Churches should teach the whole counsel of God and Christian education programs should be designed and implemented upon sound theology. Orthopraxy as well as orthodoxy of Christians may provide a ground for apologetics toward atheists.

‖ Keywords ‖

Atheism, New Atheists, Spirituality, Religious Nones, Christianity, Relgious Education

 

 

신무신론의 현상과 종교성에 관한 기독교교육적 고찰


유은희(총신대학교)


eunhe.eyoo@gmail.com


본 연구의 목적은 신무신론의 현상과 종교성에 관한 기독교교육적 고찰이다. 무신론의 새로운 가시성, 무신론자들과 세속적 인본주의자들의 연대로 이루어지는 소수자 포지셔닝과 정체성 정치를 통한 권리 주장 및 미디어를 통한 조직적인 아웃리치는 주목해야 할 현상이다. 무신론의 종교성을 논하기 위한 배경으로서 세 가지 관련사례가 제시되었다. 무신론도 유신론에 대한 단순한 부정 이상의 긍정적인 일련의 신념 체계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종교교육에 포함 되어야 한다는 왓슨의 주장과, 보통과 꽁트의 보편종교 혹은 무신론자를 위한 종교연구, 그리고 샘 해리스의 종교 없는 영성추구에 관해 살펴 보았다. 본 연구가 밝히는 무신론의 종교성의 특성은 세속적 인본주의와 절충적 혼합주의, 그리고 유신론에서 빌려온 전제 위에 세워진 반유신론적 신앙이다. 그 핵심에는 창조와 신관의 왜곡, 인간의 자율성과 창조주에 의해 피조된 인격성에 대한 오해가 있다. 그러나 기독교 교육적 관점에서 개인의 선택과 자율성을 바탕으로 교리를 제외한 종교의 긍정적이고 합리적인 요소들을 추출해서 만든 무신론자들을 위한 종교를 만들고 세속 사회를 위한 질서와 도덕의 토대를 제공하고자 하는 무신론자들의 인본주의적이고 절충주의적인 시도는 성공적일 수 없다. 최근 젊은계층내 종교없음 인구의 증가와 더불어 무신론의 가시화와 조직화에 대응하는 선교적․ 문화적 기독교교육 컨텐츠 개발이 필요하다. 더불어서 무신론의 비판이 참된 신이 아닌 우상에 관한 것이요, 왜곡된 신관과 그 함의에 대한 오해에서 비롯되었다는 점에서 바른 신학과 실천을 삶으로 구현하는 성도들의 양성이 필요하다.

‖ 주제어 ‖

무신론, 종교없음 인구, 종교성, 기독교, 종교교육 

 

Study on the ‘anti-structure’ characteristic of spiritual direction: Focusing on Victor W. Turner’s theory of rituals


Sung-jong Seong


Sungkonghoe University


Spiritual direction is an art that has returned to the life of the Church since the mid 20th century. From the beginning as the early church shaped it, spiritual direction has been anti-structural. This article aims to examine the practice of spiritual direction in relation to church communities and also within the context of social structure, and to suggest the necessity of the art in our time while emphasizing its anti-structural nature. Victor W. Turner’s theory of anti-structural rituals is used as the main analytical framework, and in particular the concepts of “liminality” and “communitas” are highlighted to describe the anti-structural character of spiritual direction. In this article, Turner’s understanding of anti-structure is introduced first, and then the anti-structural elements of spiritual direction as below are argued: First, the extraordinariness of the ordinary(separation, solitude). Second, antihierarchical relationships(trust, equality, friendship). Third, contemplative experiences(love, openness). Fourth, active passivity(emptying, filling). Fifth, a journey of uncertainty(dialogue, discernment). Sixth, the recovery of gospel(introspection, lowering of self). Finally, it is argued that the anti-structural nature of spiritual direction is based on Christ. This article concludes that with Christ who lived an anti-structural life as his foundation, spiritual direction is a journey which the church should take again today towards the kingdom of God.

‖ Keywords ‖

Spiritual direction, Victor W. Turner, anti-structure, communitas, liminality

 

영적 지도의 ‘반구조’(anti-structure)적 특성에 대한 연구 ― 빅터 터너(Victor W. Turner)의 의례이론을 중심으로


성성종(성공회대학교)


anmcharas@gmail.com


영적지도는 20세기의 중반에 들어서 교회의 장(場)으로 되돌아온 영적전통이다. 초대교회때부터 본격적인 모습을 갖추기 시작한 영적지도는 태생부터가 반구조(anti-structure)적이었다. 본 논문은 영적 지도의 반구조적 특성을 되짚고, 영적 지도가 개인의 내면적 영성뿐만 아니라 교회공동체와 사회구조와의 연관 속에서 수행되는 것임을 밝힘과 동시에 그 현대적 필요성에 대해서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빅터 터너(Victor W. Turner)의 반구조적 의례이론을 논리 전개의 방법론으로 차용 하는데, 특별히 반구조의 특성인 ‘리미널리티’(liminality)와 ‘코뮤니타스’(communitas) 개념을 중심으로 반구조적 영적 지도에 대해서 서술한다. 그러기 위해 먼저 터너가 말하는 반구조에 대해 개괄한다. 그리고 영적 지도의 역사와 영성에 대해서 성찰하는 과정 속에서 다음과 같이 영적 지도의 반구조적 특성을 도출해낸다. 첫째, 비일상적 일상(분리 ․ 홀로 있음). 둘째, 반위계적 관계(신뢰 ․ 평등 ․ 우정). 셋째, 관상의 체험(사랑․ 개방). 넷째, 적극적수동성(비움․ 채움). 다섯째, 불확정의 여정(대화 ․ 식별). 여섯째, 복음의 회복(성찰 ․ 낮아짐). 최종적으로 이러한 영적지도의 반구조적 특성은 그리스도에 근거하고 있음을 밝히고자 했다. 또한 반구조적 삶을 사셨던 그리스도를 본질로 하는 영적지도야 말로 교회가 하나님 나라를 향해 다시 떠나야 할 영적 여정임을 제안함으로써 연구를 마무리하였다.

‖ 주제어 ‖

영적 지도, 빅터 터너, 반구조, 코뮤니타스, 리미널리티

 

 

A Study on Renewal Model of Baptismal Education for adolescence


Seung Joon Yang


(Hyupsung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transform youth into faithful and authentic Christians through the recovery of the early church’s baptismal education and ceremonies. Also, it aims to help youth belong to the community of faith successfully by offering systematic practices and training. The problem of youth baptism education and ceremony is that it is practiced formally and superficially. Another problem is the church’s closeness and exclusiveness, which runs counter to the current youth culture as characterized by change and diversity. To cope with this problem, a new educational model is suggested in order to update and renew the baptismal education and ceremonies of youth. Adolescence is a time when mutual communication is possible as an opportunity for change, growth and maturity. Moreover, it ispossible to participate in public affairs related to people and make moral judgments based on objective truth. It is also a time for them to understand the abstract principles of developmental psychology, to expand the theological thinking that enables logical and concrete manipulation, and to interpret themselves to form their self-identity. For this reason, church leaders and adults are required to focus on intellectual research on doctrine, invitation, fellowship, and care for youth by providing theological and moral customs based on relationships, helping them experience a sense of belonging by honest communication, and critically reflecting on social problems. Above all, youth needs to be encouraged to set the goal of “unlimited love” as a Christian’s calling in the process of reaching adulthood. It is highly likely that baptismal education and ceremony are effective tools within the educational models in that they can offer the chance for youth to learn and realize the necessary values and qualities mentioned above. Therefore, this paper examines baptism from biblical and theological perspectives and analyzes the order and meaning of baptismal education and ceremony within the early church. Finally, it designs the revised and renewed model of baptismal ceremony for youth through the insights gained from various researches. The structure of the model consists of pre-education of baptism, rite of baptism, and post-education of baptism. First, pre-education teaches teenagers worship, learning, prayer, and life style. Second, the rite of baptism is an empirical learning of tradition and doctrine. Last, post-education of baptism is a continuing education that explains the meaning of the baptismal order and conveys norms and practices. In times of career focus and other distractions, renewing baptism is a significant and valuable educational mission for faith formation to youth. Therefore, baptismal education must be prepared and practiced thoroughly and meaningfully.

‖ Keywords ‖

Adolescence, Developmental Psychology, Baptism, Early Church Baptism, Baptism Education, Baptism Renewal

 


 


청소년을 위한 세례교육의 갱신 모델 연구


양승준(협성대학교)


wesley4865@uhs.ac.kr


본 논문은 청소년 세례교육의 초대교회적 회복을 통해 진정한 그리스도인이 되고, 신앙공동체인 교회에 소속하는 일을 의미 있고 체계적으로 실천하는데 목적이 있다. 청소년 세례교육의 문제는 형식성과 피상성에 있으며, 청소년들의 다양화, 다변화 되는 사회문화적 상황에 반하여 폐쇄성과 배타성의 농도가 더욱 짙어가고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한 대안으로 청소년의 세례교육을 갱신하는 새로운 교육적 모형을 제시하였다. 청소년기는 변화와 성장, 성숙의 기회로써 상호대화가 가능하고, 사람들과 관련된 공적인 일에 참여하며, 객관적 진리에 의한 도덕적 판단이 가능한 시기이다. 또한 발달심리학적으로 추상적 원리를 이해하고 논리적, 구체적 조작이 가능하여 신학적 사고의 확장을 시도할 수 있고, 자아정체성 확립을 위해 자신이 누구인지 해석하는 시기이다. 그리고 관계성을 기반으로 신학적, 도덕적 관습을 제공하고, 정직한 의사소통에 의해 소속감을 경험하게 하며, 사회적 문제를 비판적으로 성찰하면서 교리의 지적인 연구 및 초청, 친교, 돌봄에 초점을 두어야 한다. 무엇보다 그리스도인의 소명감을 함양하며 성인이 되면서“제한없는 사랑”을목표로 설정하도록 해야 하는 시기이다. 청소년기에 이러한 과제들을 배우고 훈련 하며 실현할 수 있는 교육적 모형 가운데 세례교육은 매우 좋은 기회이다.

본 논문은 세례를 성서적, 신학적으로 살펴보고, 초대교회의 세례교육과 정의, 순서와 의미를 분석하면서 교육적 함의들을 통찰하여, 현대 청소년을 위한 세례교육의 갱신모델을 설계하였다. 모델의 구조는 예배, 학습, 기도, 생활교육과, 전통 및 교리를 전수하는 집중교육인 세례 전 교육(pre-education of baptism), 예배와 의식을 통한 예식 교육인 세례 시 교육(rite of baptism), 세례순서가 의미하는 내용을 해설하고 규범과 실천을 복습하고 실천하는 계속교육으로써의 세례 후 교육(post-education of baptism)이다. 생활의 분주함과 산만함으로 영적건망증이 극심한 시대에 세례를 배우고 기억하며 갱신하는 일은 청소년의 신앙형성에 있어 매우 중요하고 가치있는 교육적인 사명이므로 철저하고 의미있게 준비하고 실행하는 세례교육을 모색하였다.

‖ 주제어 ‖

청소년기, 발달심리, 세례, 초대교회 세례, 세례교육, 세례갱신

 

 

Korean Society in the 21thCentury and New Tasks and Directions for Pastoral Care for Older Generations


Jeong Joon, Kim


Sungkonghoe University


This article explores new tasks and directions for pastoral care in Korean society for the older generations suffering from exclusion and alienation under the global neo-liberalist system in the 21th century. The Researcher explores four topics, neo-liberalism: the lower classes older, new technology: the minority of media, postmodernism: deconstruction of tradition and authority, era of post-religion: and the pursuit of spirituality, which are foundi mportant socio-cultural trends in our times. In this context, researcher suggests a number of ideas concerning pastoral care for the old generations in the 21th century, and to give three suggestions for Korean churches: First, pastoral care for older generations in context of a global neo-liberalist system intended to live from loneliness to solidarity. It means that pastoral care should help the old generations’ solitary lives change in to creative and fulfilling life through so lidarity with each other. Second, pastoral care for older generations in a global neo-liberalist system aiming to change from despair to hope. Many elderly have an aptitude for discouragement and despair due to physical, mental, and financial limitations. Pastoral care for older generation should aim to guide and help them escape from despair to pursue absolute hope in our spiritual life. Third, Postmodern society in Korea, pastoral care for the elderly should help them not to live in a ‘passive survival mode’, but rather in an ‘active participative subject mode’. Most of all, situations of homo hundred era of Korean society, pastoral care for the older should help them lives ignificant and meaningful lives rather than simply long ones.

‖ Keywords ‖

21th century, the older, neo-liberalism, postmodernism, technology,

post-religious era, pastoral care for the older

 

 

21세기 한국 사회와 노인 목회의 새로운 과제와 방향


김정준(성공회대학교)


kjj-2001@hanmail.net


 

본 논문은 21세기 글로벌 신자유주의 시대의 한국사회에서 배제와 소외의 그늘에서 곤란을 경험하는 노인들을 대상으로 하는 한국교회 목회의 과제와 방향에 대하여 탐구한다. 연구자는 21세기 세계화 시대의 주요 사회문화적 트렌드를 네 가지 주제, 신자본주의: 하류노인, 뉴테크놀로지: 미디어 소수자, 포스트모더니즘: 전통과 권위의 해체, 탈종교 시대: 영성의 추구 등에 초점을 두었다. 이러한 맥락에서, 21세기 한국교회의 노인목회가 지향해야 할 과제와 방향을 세 가지로 정리하여 제시 하였다. 첫째, 고독에서 연대를 지향하는 목회이다. 그것은 노인들의 고독한 삶을 연대를 통하여 창조적인 삶으로 나아가도록 인도하는 목회이다. 둘째, 절망에서 희망의 삶으로 전환하도록 돕는 목회이다. 노인들은 자신들의 육체적, 정신적, 경제적 한계성으로 인하여 낙심과 절망에 빠지기 쉽다. 그러므로 21세기 노인 목회는 신앙 안에서 절망에서 벗어나 절대 희망으로 안내하는 것이어야 한다. 셋째, 노인들의 삶을‘수동적 생존’에서‘참여적 주체’로 전환하도록 돕는 목회이어야 한다. 21세기 한국사회의 호모 헌드레드 시대의 상황에서 노인 목회는 그들이 단지 오래 사는 것보다는 가치 있고 의미있는 삶을 살아가도록 돕는 것이 중요한 과제와 방향이 될 것이다.

‖ 주제어 ‖

21세기, 노인 세대, 신자유주의, 포스트모더니즘, 테크놀로지, 탈종교시대, 노인목회 

 

 

The Implications of Calvin’s Theology of Reconciliation on Christian Unification Education


Man Joon Cho


Chongshin University


“How and when will the unific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be achieved?”, “What would the unification of the 70 million Koreans really want?”, “What should we prepare for unification?” As shown in these questions, one of the key words to achieve unification of the Korean Peninsulais “Reconciliation”. Fellowship is a gift from God given to us through Jesus Christ. The “reconciliation in Christ” that God showed through the incarnation of Jesus is an important value and a starting point that should be expected from the unific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This study examines contributions made by John Calvin(1509-1564), the second generation of the Reformation, along with Martin Luther(1483-1546), upon the theology of reconciliation and its implications to Christian unification education. Just as Calvin’s teachings on reconciliation served as a pastoral alternative in Geneva, this study will gather disaggregated opinions on the question of unification and present practical points of contact for Christian unification education. In addition, I would like to describe the lessons from Calvin’s life, writings and the teaching of reconciliation through his Geneva ministry, and to apply them to Christian unification education. Christian unification education begins with the relationship between God and Jesus Christ as its foundation. The ultimate goal of Christian unification education is the restoration of the kingdom of God, which requires the faithful and holistic life of each person, and not simply knowledge of the kingdom. This requires a concrete and realistic education field that starts from me and you to a community. Through this study, I hope that the actual teaching based on Calvin’s reconciliation will be fully embodied in me and you, and our community, and that Christian unification education will continue in our lives.

‖ Keywords ‖

Calvin’s Theology of Reconciliation, Reconciliation In Christ, Hospital General,

Bourse Francaise, Christian unification education, Community

 

칼빈의 화목(Reconciliation)의 신학이 기독교 통일교육에 주는 함의


조만준(총신대학교)


mcjon@hanmail.net


 


“한반도의 통일은 언제 그리고 어떤 방법으로 이루어질까?”, “남북한 7.000만 민족이 진정으로바라는 통일은 어떤 모습일까?”, “통일을 위해 우리는 무엇을 준비해야 할까?” 앞의 질문에서 보이듯이, 한반도의 통일을 이루기 위한 중요한 키워드(Key word) 가운데 하나는 “화목(Reconciliation)”이다. 화목은 하나님께서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서 주시는 선물이다. 하나님께서 예수님의 성육신 사건을 통해 보여주신 “그리스도안에서 화목(Reconciliation In Christ)”이야말로 한반도의 통일에서 기대되는 중요한 가치이자 출발점이다. 본 연구는 루터(Martin Luther,1483-1546)와 함께 종교개혁 2세대인 칼빈(John Calvin, 1509-1564)의 화목의 신학이 기독교통일교육에 기여하는 바가 무엇인지 살펴보는 것이다. 칼빈의 화목에 대한 가르침이 제네바 현장에서 목회적 대안으로 떠올랐던 것처럼, 본 연구는 통일의 문제에 있어 분열된 의견을 수렴하고 기독교 통일교육의 실천 가능한 접촉점을 제시할 것이다. 또한 칼빈의 생애와 저술, 제네바현장 사역을 통해 나타난 화목의 가르침을 기독교통일교육에 적용할 수 있는 부분을 기술해보고자 한다. 기독교 통일교육은 하나님과 예수 그리스도와의 관계의 기초에서 시작된다. 기독교 통일교육이 추구하는 궁극적인 목표는 하나님 나라의 회복이며, 이것은 단순히 지식을 전달하는 것이 아니라 한 사람 한 사람의 신앙적이며 총체적인 삶을 요구한다. 나와 너에서 출발하여 공동체로 나아가는, 구체적이며 실제적인 교육현장을 필요로 한다. 본 연구를 통해 칼빈의 화목에 근거한 실제적인 가르침이 나와 너, 공동체 가운데 온전히 체화되고, 나아가 기독교 통일교육이 삶의 현장 가운데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길 소망해 본다.

‖ 주제어 ‖

칼빈의 화목의 신학, 그리스도 안에서의 화목, 종합구빈원, 프랑스난민보호소, 기독교통일교육, 공동체

 

 

 

Christian Reflection on the Elderly Poverty


Jung-Hee Kim


Mokwon University


The poverty rate for elderly people in Korea is the highest among OECD nations. To address the issue of senior poverty, various welfare policies have been proposed, one of which is the Basic Senior Pension (current Basic Pension) which was implemented in 2008. The problem in Korea is that the growth of the old population is too rapid for welfare policies to manage. The government endeavors to strengthen individual support by families, while building a public welfare system to effectively address the issue. Old people are vulnerable to poverty if they have low income, if their retirement funds are insufficient and they have no support from their families, and most particularly if they are an elderly woman. The nature of senior poverty demands a concerted effort among families, society and the government. The public should be educated upon the seriousness of senior poverty to raise consensus. The church should be actively involved in solving the problem. This study examines the current status of poverty among the elderly and discusses how to protect them from the biblical perspective. First, this paper reinterprets the meaning of poverty through the principle of God’s economy. Second, it redefines the reflection of the church through a biblical understanding of poverty.

‖ Keywords ‖

Aging, Senior poverty, Public support, Private support, Christian Reflection

 

 

 

 

노인 빈곤에 대한 기독교적 성찰


김정희(목원대학교)


lalaente@mokwon.ac.kr


 


현재 한국은 OECD 가입국 중 노인 빈곤율 1위 국가이다. 그로 인해 사회와 국가는 다양한 노인복지 정책을 제안하기 시작했다. 그 대표적인 예로 2008년부터 실시된 기초노령연금(이후 기초연금)을 들 수 있다. 그러나 한국사회의 문제점은 노년 계층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는 것에 반해 노인복지 제도는 충분히 만족시키지 못하다고 있다는 데에 있다. 그로인해 정부에서는 공적부조에도 주력하지만 사적부조의 강화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그러나 낮은 소득과 노후자금이 부족한 경우, 가족으로부터 부양을 받지 못하는 경우, 여성의 경우에는 여전히 빈곤에 노출되어 있는 상황이다.

이제 현재 증가되고 있는 노인의 빈곤문제에 대해 가정과 사회 ․ 국가가 함께 고민할 수 있는 장(field)이 필요하다. 이를 통해 노인의 빈곤문제에 대한 문제의식과 해결방안을 제시할 수 있는 사회적 여론이 조성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교회도 노인의 빈곤이라는 사회적 문제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 본 연구는 현세대 노인의 빈곤실태를 파악해 보고, 빈곤의 위험에 노출된 노인을 어떻게 보호할 수 있을지에 대해 성서적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그리고 빈곤노인에 대한 사회적 ․ 종교적인 성찰을 하였다. 이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하나님의 경제원리를 통해 빈곤의 의미를 성서적으로 재해석하였다. 둘째, 빈곤에 대한 성서적 이해를 염두로 한 교회적 성찰을 하였다.

‖ 주제어 ‖

고령화, 노인의 빈곤, 공적 부조, 사적 부조, 기독교적 성찰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uman Rights Problems in North Korea and Reunification


Seung Hyeon Joo


Jeonju Kijeon College


This study is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uman rights problems of North Korea and Korean reunification. Despite the concerns and efforts of international society regarding the seriousness of human rights violations in North Korea, North Korea has been reacting with the position that any comment on it is damaging their dignity and is motivated by an ulterior intention to subvert their socialist system. Even with ever deteriorating international isolation, the country has not made any attempt to improve human rights. Horrific and repressive infringement of human rights including purges and executions to maintain their system is widespread all around North Korea, and the worsening economic situation and perturbation of citizens lead to a vicious circle of human rights infringement, undermining the very foundation of the system. The more severely the North Korean regime infringes upon the human rights of their citizens to hold onto power, the more the crisis of the regime will accelerate. Within this context of ever increasing instability, South Korea is now at the crucial point where systematic preparations need to be made considering not only improving the human rights situation but also comprehensive situations caused by widespread human rights infringement including sudden upheaval and even reunification. This study focuses on suggesting detailed tasks for the preparation of reunification through the close relationship between the human rights problems in North Korea and reunific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 Keywords ‖

Human rights in North Korea, Human Rights Laws in North Korea, Sudden, upheaval

 

북한 인권 문제와 통일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


주승현(전주기전대학교)


joosy3050@naver.com


 

본 논문에서는 북한의 인권문제의 접근을 통해 한반도 통일의 상관성을 논의하였다. 그동안 북한 인권의 심각성에 대한 국제사회와 한국의 우려와 노력에도 북한은 자신들의 존엄을 훼손하고 사회주의 제도를 전복하려는 불순한 의도라는 강경한 입장을 보이고 있으며 남북관계 단절과 국제적 고립이 심화되는 상황에서도 인권개선을 위한 노력은 가시적이지 않다. 특히 체제유지를 위한 북한내부에서의 처형 및 숙청을 비롯한 공포적이며 억압적인 인권유린이 북한 전역에서 횡행하고 있으며 고립에 따른 경제상황 악화와 주민들의 동요가 다시 인권침해의 악순환으로 이어져 체제의 내구성을 나날이 약화시키고 있다. 북한 당국이 인권문제를 전세계적으로 공통된 가치와 권리로 여기지 않고 정권유지를 위해 주민의 인권을 심각하게 침해 할수록 체제위기는 가속화 될 수밖에 없다. 열악하고도 심각한 북한인권의 실태와 북한 내부의 불안정성이긴박하게 증대되고 있는 상황 속에서 이제 우리는 인권상황의 개선 촉구뿐만 아니라 광범위하게 침해되고 있는 북한 인권 문제로 인해 대두될 포괄적인 상황들, 예기치 않은 사태나 통일의 가능성까지도 염두에 둔 체계적인 대비책까지도 강구해야 할 시점에 있다. 논문은 북한의 인권문제와 남북통일의 밀접한 상관성의 의미를 통해 통일준비를 위한 구체적인 과제를 제언하는 데 초점을 맞추었다.

‖ 주제어 ‖

북한 인권, 북한 인권법, 남북관계, 급변사태, 통일

 

 

 

The Christian pedagogical approach to prayer


Kim, Eun-Ju


Seoul Theological University


This paper researches the role and the meaning of prayer for children. The essay first deals with the understanding of prayer as a communication process. The dialogical nature of prayer characterizes the Christian prayer, which distinguishes the prayer from the magic. Second, I study the diverse types of prayer and thereby illuminate its meaning. Third, prayer for the toddlers can take over the role of “transitional object”. Fourth, I treat the prayer of supplication, in which the education of desire is carried out. Fifth, the theme of the ritual prayer comes. The ritual gives children security in today’s society. The fixed form of prayer can broaden the horizon of the children’s prayer. At the same time, the fixed prayer offers the children the Form of expression of prayer. This is important for learning prayer. With the above-mentioned arguments, this paper first aims to consider the function of prayer from the pastoral-psychological, educational and liturgical aspects. It then explains that prayer must be learned. Lastly, it is emphasized that prayer can be come the education of desire. While many studies of praying in Korea have been addressed towards adults, the present essay contributes to looking at prayer from the children’s perspectives. Moreover, the sense of this essay is to look at prayers from the pedagogical aspect.

‖ Keywords ‖

prayer, communication process, transitional object, ritual, desire, magic

 

 

 

기도에 대한 기독교교육학적 접근


김은주(서울신학대학교)


kimeu.mac@gmail.com


이 논문은 아이들에게 기도는 어떤 의미를 지닐 수 있는지, 기도에서 이루어지는 배움의 과정은 어떤 것인지를 다루고 있다. 이를 위하여 첫 번째로, 기도에 대한 이해를 다룬다. 기도는 자기인식의 기능을 할 수 있으며, 커뮤니케이션의 과정으로서 기도의 대화적 특징은 기독교 기도의 독특성을 드러낸다. 이는 마법과 구분되는 중요한 요소이다. 두 번째로, 기도의 형태를 살펴보고 다양한 기도의 형태에서 얻을 수 있는 기도의 의미를 조명하고 있다. 세 번째로, 어린 아이들에게 기도는 ‘중간대상’으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네 번째로 기독교의 대표적인 기도 형태라 할 수 있는 간구기도에서 아이들은 ‘바람에 대한 교육’의 과정을 거칠 수 있음을 다루고 있다. 아이들이 기도를 소원을 이루어 주는 수단으로 인식하는데에서 벗어나 새로운 전망으로 자신의 바람을 바라볼 수 있음에 주목한다. 다섯 번째로, 예전으로서의 기도를 다루므로 현대를 살아가는 아이들에게 선사해줄 수 있는 아늑함의 경험으로서 기도의 ‘제의화’에 대해 다룬다. 여기에서 고정적 형식으로서의 기도는 아이들의 기도의 지평을 넓혀줄 뿐만 아니라, 기도의 표현 형태를 제공해주는 중요한 배움의 자료가 될 것임을 시사한다. 위의 논의를 통해 이 논문이 의도하는 것은 우선 기도가 아이들에게 줄 수 있는 의미를 목회심리학적이고 교육학적인 측면, 예전적인 측면에서 조명하는 것이다. 두 번째, 기도는 아무런 배움 없이 이루어지는 사적이 영역이 아니라, 배움을 필요로 하는 영역이라는 것을 밝히고 있다. 마지막으로 커뮤니케이션의 과정으로서의 기도를 통하여 얻게 되는 새로운 통찰과 관점전환은 바람을 위한 교육이 될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한다. 이 논문은 그동안 성인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던 기도에 대한 관점과 연구를 (어린)아이들의 입장과 관점에서 살펴보았고 예전적인 기도가 자리 잡지 못하고 있는 한국교회의 어린이 예배의 현실 가운데, 틀을 갖춘 기도의 필요성에 주목하고 있다.

‖ 주제어 ‖

기도, 커뮤니케이션과정, 중간대상, 예전, 바람, 마법

 

 

A study on level of interest and concentration time of adult learners on distance


:Learning-Center of open secondary High School


Lee, Eun-Chul


KEDI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earch for factors that influence concentration time and interest levels of adult learners concerning Distance-Learning. To that end, through the examination of advanced studies, from making pre-experience, academic achievement levels, and ARCS and Learning motivation into independent factors, the paper investigates the influence on concentration time and interest levels. A study was conducted targeting 416 students of an open secondary school. Averages between the groups were compared through one-way ANOVA. Verification of the influence of ARCS and Learning motivation was analyzed by us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tepwise). The results were the following: First, the Interesting level was influenced by pre-experience. Second, concentration time and Interesting level was influenced by academic achievement levels. Third, confidence was shown to have the highest influence of ARCS on the concentration time. Next, in the influence of ARCS on the interest levels, it was shown that confidence and relevance were most significant. Lastly, concerning the influence of learning motivationon concentration time. Next, in the influence of learning motivation on interest levels, it was shown that intrinsic goal, self-efficacy was the highest.

‖ Keywords ‖

adult learners, Distance-Learning, character of learners, Learning motivation, concentration time, interest levels

 

 

원격 교육에 대한 성인 학습자의 집중 및 흥미 수준에 대한 연구 ― 방송통신고등학교 학생을 중심으로


이은철(한국교육개발원)


lec3918@kedi.re.kr


본 연구는 중등교육 과정에 있는 성인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온라인학습 자료에 대한 집중시간과 흥미수준에 미치는 변인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 검토를 통해 사전경험, 학업성취수준, ARCS, 학습동기를 독립변인으로 하여 집중시간과 흥미 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방송고학생 41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일원 분산 분석을 통해 집단 간 평균을 비교하였고, ARCS와 학습동기의 영향력을 검증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단계선택방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전 경험이 집중시간과 흥미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해 학년을 구분 변수로 하여 집중 시간과 흥미수준의 평균을 비교한 결과 흥미에 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학업 성취수준에 의한 차이는 나타났다. 집중시간과 흥미 수준에 상 집단과 하 집단 간의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다음으로, 집중 시간과 흥미 수준에 대한 ARCS의 영향은 자신감과 관련성이 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마지막으로 학습동기의 영향은 외적목표, 내적목표, 자기효능감이 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통해서 살펴볼 때 성인학습자들이 온라인 학습의 성공 경험을 통해서 자신감이 높을 때 집중시간과 흥미 수준을 높일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학습 내용이 학습자 본인과 관련이 있는 내용이어야 집중시간과 흥미수준이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집중 시간을 높이기 위해서 성과에 대한 보상을 줄 수 있는 장치가 마련되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 주제어 ‖

성인 학습자, 원격 교육, 학습자 특성, 학습동기, 주의집중 시간, 흥미 수준

 

 

A Case Study on the Application of Flipped Learning on Christian Liberal Arts Education


Eun Hye Park


Sungkyul University


This study aims to improve the quality of Christian liberal arts education classes by studying a case on the application of flipped learning. A Literature review method is used for theoretical study. Participants were a number of Christians, 163 before class and 178 after class, of a Christian private university in Kyounggi-Do. Qualitative, quantitative, and descriptiv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surveys of teachers and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results are as following: first, the perspective on the changes of objectives and contents of the class were improved, but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changes of non-Christians’ perspective showed more improvement than the Christians’. Second, various effects of flipped learning, such as student participation, self-directed learning, self-confidence, and self-efficient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improved. Third,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reveled along demographic variables; genders, majors, religions and grades. Fourth, the merits of flipped learning were improved student participation with various educational activities, increasing interaction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and strengthening self-directed learning. Its demerits were developing educational activities to connect on-line and off-line, on-line learning at home, encouraging student participation, making videos, and technical problems and soon. Suggestions for improvement are small group classes, supplementary materials, recruiting teachers, grading systems, and convenient approaches to system. This study suggests the followings based on these results: recruiting teachers and training, making videos by considering contents, the length of videos, supplementary materials, techniques, and educating educational content and methods that everybody can understand and accept regardless of their religions.

‖ Keywords ‖

Flipped Learning, Christian Liberal Arts Education, Educational Method, Student-Centered method

 

플립드 러닝 수업 방식의 기독교 교양 수업에의 적용 사례 연구


박은혜(성결대학교)


pehgrace@sungkyul.ac.kr


 

본 연구는 기독교 교양과목 수업에 플립드 러닝방식을 적용한 수업사례를 연구하여 기독교 교양 수업의 질을 개선하기 위함이다. 이론적 배경 연구를 위해 문헌연구 방법을 사용하였고, 플립드러닝 방식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해 경기도 소재 4년제 기독교 사립대학의 학생들 중, 사전에 163명, 사후에 17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플립드 러닝방식을 적용한 수업의 장점과 단점 그리고 개선을 위해 고려되어야 할 점에 대해 교강사들과 학생들의 서술식 설문 내용과 학기 중간과 기말강의 평가의 서술식 자료를 사용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첫째, 교육목표 및 교육내용에 대한 인식은 사전과 사후의 평균 값은 향상되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의 차이는 없었으며, 기독교인보다 비기독교인의 사전과 사후의 교육 목표 및 교육 내용에 대한 인식이 더 많이 향상되었다. 또한 비기독교인 학생들의 기독교에 대한 호감도가 수업 전에 비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플립드러닝 방식의 여러 효과 중, 학생참여, 자기 주도적 학습, 자신감, 자기효능감 등이 통계적으로 유의수준 하에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인구통계학적 변인들 중, 사전 및 사후설문 모두 성별, 전공, 종교 그리고 학년 모두 교육 목표 및 교육내용에 대한 인식의 변화에 있어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넷째, 서술식 및강의평가 결과를 통해 본 플립드러닝에 대한 장점으로 다양한 활동으로 학생중심의 수업으로 수업의 참여도향상, 교수와 학생 간의 상호작용 증대, 자기주도적 학습역량 강화 등으로 나타났다. 단점으로는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연계하는 교육활동의 개발과 수업 전 영상을 통한 학습여부에 따른 효과성의 차이, 수업참여를 일으키는 방안, 강의 콘텐츠의 내용과 제작 기간, 과제의 부담, 기술적인 문제 등이 지적되었다. 개선을 위한 제안사항으로 소그룹 강의, 보충 자료 제공, 교강사 선정, 성적 부여 방식, 시스템의 용이성 등이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교강사의 선정과 훈련, 동영상의내용, 길이, 보충자료 그리고 기술 등을 고려하여 제작할 것, 종교와 상관없이 모두가 이해하고 수용할 수 있는 교육의 내용과 방법으로 교육할 것을 제안하였다.

‖ 주제어 ‖

플립드 러닝, 기독교 교양 수업, 교육 방법, 학습자 중심 방법
첨부파일 : 영문및국문초록.pdf
전체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