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지 초록

기독교교육논총 51집

작성자
wesley4865
작성일
2017-09-30 10:00
조회
2823
Abstract

A Narrative Inquiry on the lived experience

of Start-Up Christian Emerging Adults

Park, Hyang Sook

Seoul Theological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quiry of narrative about the Start-Up experience of Christian Emerging Adults. A research question is In the Context of an era of jobless youth, What does Start-Up experience mean to Christian Emerging Adults? To explore this question, I select the narrative inquiry, one of the Qualitative research method as the research method. Research participants are 3 co-start-up members. Research has done from 11, May, 2014 to 13, June, 2014. Collected materials include field note, interview transcripts, photographs etc.

The results of research are three narratives like these. First narrative is Finding vocation. Finding vocation is most important and inclusive narrative of start-up experience. Research participants used 'dream', 'vision', 'goal' , but researcher named christian 'vocation'

Second narrative is doing role performance. Participants take the role of CEO, COO, CFO for staring-up. Participants have persevered in their efforts to have the capacity to task the role. Third narrative is self-reflecting. Self-reflecting is individual and internal experience related to finding vocation and doing role performance.

Co-start-up company means to research participants like these. First, Start-up company is  a context of christian education to find vocation and do role performance and reflect themselves. Second, Start-up company is most fiercely-contested battleground state in the paradoxical context of christian value and contemporary commercial value.

주제어 : Christian, Emerging Adulthood, Qualitative research, Narrative Inquiry, Start-Up

기독교 청년의 창업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박향숙(서울신학대학교)

phs4u@hanmail.net

요약

본 연구의 목적은 청년실업의 시대적 맥락 속에서 창업을 선택한 기독교인 청년의 창업 경험의 내용과 그 의미를 심층적으로 드러내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질적 연구의 하나인 내러티브 탐구를 연구 방법으로 선택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2011년부터 2014년까지 함께 회사를 운영해온 3명의 공동창업자들이다. 연구 기간은 2014년 5월 22일부터 2014년 6월 13일이다. 수집된 자료는 현장 노트, 대화록, 연구 면담, 관련 문서, 사진 등이다.

연구 결과 구성된 세 가지 내러티브는 다음과 같다. 첫째, ‘소명 찾아가기’이다. ‘소명 찾아가기’는 창업 경험 전반을 설명하는 가장 중요하고 포괄적인 경험의 내용이다. 연구 참여자들은 ‘꿈’, ‘비전', '목표’ 등의 단어를 사용하였으나 연구자는 이를 기독교적인 ‘소명’이라는 단어로 명명하였다. 둘째, ‘역할 수행하기’이다. 연구 참여자들은 창업과정을 통해 맡게 된 대표 이사, 재무이사, 운영이사의 역할을 이해하고 수행하기에 적합한 능력을 갖추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했다. 셋째, ‘자기 성찰하기’이다. ‘자기 성찰하기’는 소명을 찾고 역할을 수행하는 경험에 수반되는 내적 경험이다.

공동창업한 회사 ‘아이꿈뜰’(가명)은 연구 참여자들에게 다음과 같은 의미가 있었다. 첫째, 소명을 중심으로 역할을 수행하고 자기를 성찰하도록 하는 기독교교육의 현장이다. 둘째, 기독교적 가치와 현대 사회문화의 상업적 가치의 모순적 상황 속에서 끊임없이 갈등하고 고군분투하는 접전지이다.

주제어 : 기독교인, 청년, 창업, 질적 연구, 내러티브 탐구

Abstract

A Study on Teacher's Perception of College Entrance:

A Comparative Analysis among Public, Religious, and Alternative School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s of college entrance among public, religious, and alternative schools. This research examines 348 high school teachers’ values of college entrances in South Korea. As a result, this research foun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among public schools, religious schools, and Christian alternative schools. This research found that Christian alternative schools focused on vocational purposes more than public and religious schools. While teachers in public schools showed more interest in ‘college reputation’ and ‘college for employment’ as a guide for college choice, teachers in Christian alternative schools presented more importance in students’ ‘potentiality and talents applied to their major in college’. Regarding educational purposes, teachers in both Christian alternative and religious schools emphasized ‘raising virtuous humans’ and ‘cultivating men of talents for the nation’. While public school teachers displayed ‘college graduate’, ‘economic power’, and ‘parents’ background’ as successful priorities, Christian alternative and religious school teachers showed more concern for ‘value of world viewpoint’ and ‘religious viewpoint’ as successful priorities. Whereas public and religious schools emphasized ‘college entrance ratios’, Christian alternative school teachers showed ‘educational perception and world viewpoints’ as their values for students’ entering college. Christian alternative school teachers focused on ‘personal vocation findings’, and the results were statistically different between schools. On the other hand, there were no differences among any types of schools in terms of ‘superiority’, ‘professionality’, ‘contribution to nation’, and ‘self-achievement’ for the purpose of education. However, Christian alternative school teachers concentrated on bringing up students as truly faithful and professional Christians.

Key words: Teacher’s perception, Christian values of college entrance, Public school, Religious schools, Christian alternative schools, world viewpoint, educational purpose

대학입시에 대한 교사가치관 인식에 관한 연구:

공립학교, 종립학교, 대안학교의 비교연구

황 병 준 (호서대학교)

 

초 록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대학입시 과열경쟁 상황에서 교사들의 대학입시에 대한 가치관 인식을 탐색하고, 이를 공립학교, 종립학교, 기독교 대안학교로 분류하여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 충청, 경남, 전라, 강원, 제주지역에 위치한 고등학교 교사 348(남 184명, 여 164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들이 대학입시에 고려하는 요인은 공립학교와 기독교 대안학교 교사들 간에 통계학적인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공립학교 교사들은 대학지명도 및 취업가능학교를 입시지도 고려요인으로 생각하는 반면, 대안학교 교사들은 재능 및 은사에 맞는 학과를 입시지도 고려요인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생들이 대학입시에 고려해야하는 요인에서 기독교 대안학교 교사들은 공립학교 및 종립학교 교사들과는 다르게 학생들이 개인의 소명 발견을 위해 입시를 준비하도록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교가 대학입시에 고려해야하는 요인에서 대안학교 교사들은 ‘재능 및 은사 관점의 진로선택’과 ‘기독교세계관에 입각한 입시지도’ 그리고 ‘하나님나라 관점의 진로지도’에서 공립학교와 종립학교 교사들과 비교해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넷째, 학교가 제공하는 교사 입시교육에 대해서 기독교 대안학교 교사들은 ‘기독교세계관 준비방법’에 있어서 공립학교와 종립학교들과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다섯째, 교육목적에 있어서 기독교대안학교와 종립학교 교사들은 ‘기독전문인양성’에서 공립학교 교사들과 차이가 있었다. 여섯째, 출세와 성공에 대해서 공립학교 교사들은 돈, 부모, 학벌 순으로 그 중요성을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종립학교와 기독교 대안학교 교사들은 가치관(세계관), 부모, 돈, 학벌 순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교사들의 만족도는 기독교 대안학교 교사들이 공립학교와 종립학교 교사들의 만족도 보다 높고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입시에 대한 교사가치관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주요용어: 대학입시, 교사가치관, 기독교적 입시이해, 대안학교, 종립학교, 세계관, 교육목적, 만족도

Abstract

Tasks of Christian Education based on the Doctrine of 'Priesthood of All Believers'

Un Chu Kim

Hanil University & Presbyterian Theological Seminary

ukim@hanil.ac.kr

Nowadays, Korean church is challenged from both inside and outside of church due to the loss of trust.  As we face the five-hundred's anniversary of the Reformation in 2017, many scholars and those who are interested in reforming Korean church is trying to find some clue to recover the lost trust.  In the similar vei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ritically examine the doctrine of 'priesthood of all believers.'  In doing so, the author tries to explore some challenges to Christian education and suggest some educational proposals.

This article consists of three parts.  The first part deals with the background of the doctrine where the understanding of priesthood appeared in the Old Testament and Early Christian church is reflected.  The second part is about Luther's doctrine of 'priesthood of all believers.'  This part probes the content and feature of the doctrine in detail.  Lastly, challenges of the doctrine toward Christian education are explored and the author suggests the educational task and practices in light of the doctrine of 'priesthood of all believers.'

Key Words: Priesthood of All Believers, Christian Education, Spiritual Freedom, Missional Church, Diakonia

‘만인 제사장직’ 교리에 비추어 본 기독교교육의 과제

김은주 (한일장신대학교)

ukim@hanil.ac.kr

국문초록

오늘날 한국교회는 신뢰를 잃어버리면서 교회 안과 밖으로부터 많은 도전을 받고 있다. 특히 2017년 종교개혁 500주년이 되는 해이기에 많은 이들이 종교개혁 정신을 되짚어 보고 갱신을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와 비슷한 맥락에서 본 논문은 종교개혁 정신의 중심에 있는 ‘만인 제사장직’ 교리의 내용과 특징을 고찰해 봄으로써 기독교교육에 주는 도전과 과제를 모색해보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논문은 세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첫째 부분은 만인 제사장직 이해를 돕기 위해 구약 성경과 초대교회 당시의 제사장에 관한 이해를 살펴보고, 둘째 부분은 마틴 루터의 ‘만인 제사장직’ 교리의 내용과 특징을 살펴보고, 마지막으로 ‘만인 제사장직’ 교리가 기독교교육에 주는 도전을 고찰해 본 후 기독교교육을 위한 과제가 무엇인지를 제안하는 것으로 이루어져있다.

 

주제어: 만인 제사장직, 기독교교육, 영적 자유, 흩어지는 교회, 신앙공동체, 섬김

Abstract

Children’s story of Death as a Text of Religious Education and the Meaning of Death

Eun-Kyoung Lee

Lecturer, Christian Education

Methodist Theological University

This article deals with the topic of death as an elementary subject of religious education, which has been regarded as negligible, especially in the area of faith education or religious education. For this purpose, this article will select some of Children’s stories with regard to death, find the death motif in them and explore the meaning of death as one of the subjects of religious education.

Korea Church has had its imbalanced focus upon the indoctrination of church dogma. Religious education or faith education has been criticised in that it does not reach at the experience of transcendent being deep within human mind or at any praxis to change one’s life. Thus, it has not much dealt with the subjects such as ‘death’ and ‘mourning.’ However, the subject of death is a very important elementary topic in religious education as well as general education. Taking death as the subject of religious education does not mean any doctrinal or theological approach to life and death, but it rather mean an exploration of an integral or multidisciplinary possibility of religious education motivating sympathetic understandings of sorrow and mourning. In this context, death education may be called education for the completion of life.

The four selected children’s stories with regard to death show the motif of meaningful death with regard to religious education. First of all, I Will Be With You (original tile: Ente, Tod und Tulpe) by Wolf Erlbruch and I Am Death (original tile: Jeg er Døden) by Elisabeth Helland Larsen disclose the very everydayness of death, which is very close to us and interferes our today. In Scab on the Knee (original tile: La Croȗte) by Charlotte Moundlic, the main character ‘I’ shows the life process of overcoming the sorrow and longing for Mom through the process, in which the scab on the knee was healed. Finally, The Most Wonderful Funeral in the World (original tile: Alla döna små djur) by Ulf Nilsson playfully describes the funerals of animals by three children who gradually understand and experience death.

The four children’s stories of death reveal the meaning of death as the subject of religions education. First, they show a possibility of reflection on life. Children can grasp the sense of the wholeness of life through the topic of death, improve their self-esteem and gain the power to overcome troubles and hardships in their present. Second, death may be understood as the completion of life. For Christians, death is not the end of life but its completion and thus a form of life. In this sense, death becomes the goal of our life as one of factors in life. Last, children have their right to experience death. By participating in funeral, children can reduce the fear and anxiety from death and nurture their sympathetic attitude when they feel sympathy with other’s sorrow.

In short, death education is none other than one for life. Especially, death education through children’s story offers chance to reflect upon religious question by enabling them to indirectly participating in the experiences of characters in the stories, and, in so doing, to imagine their hearts.

Key words : everydayness of death, completion of life, death education, mourning, sorrow, children’s story

종교교육의 텍스트로서 죽음 동화와 죽음의 의미

이은경 (감리교신학대학교)

jjiggu1990@naver.com

<한글초록>

본 논문에서는 그동안 신앙교육, 종교교육의 영역에서 소홀히 다루어져온 ‘죽음’을 종교교육의 요체적 주제로서 다루고자 한다. 이것을 위해 죽음과 관련된 동화들을 선택한 후, 각각의 동화들이 갖고 있는 죽음의 모티브를 찾아내고, 종교교육의 주제로서 죽음이 지닌 의미를 탐구하고자 한다.

그동안 한국교회는 신앙교육, 종교교육의 영역에서 교리교육적인 면에 치우쳐 왔다. 그리고 이런 까닭에 종교교육 혹은 신앙교육을 통해 인간의 내면 깊은 곳에 있는 초월적 존재에 대한 체험을 가능하게 하거나 또는 자신의 삶을 바꾸는 실천으로 나아가지 못한다는 비판을 받아 왔고, ‘죽음’, ‘애도’ 등과 같은 특정 주제들에 대해서는 거의 다루지 않아왔다. 그러나 ‘죽음’이라고 하는 것은 종교교육의 영역에서는 말할 것도 없고, 일반교육의 영역에서도 중요한 요체적(要諦的) 주제 중 하나다. 그리고 죽음을 종교교육의 주제로 삼는다는 것은 생(生)과 사(死)에 대한 ‘교리적’ 혹은 ‘신학적’ 접근을 말하는 것이 아니라, 슬픔과 애도의 ‘공감적’ 이해를 이끌어 낼 수 있는 통합적, 통섭적 종교교육의 가능성을 탐색하는 것을 의미한다. 그래서 죽음교육은 ‘삶의 완성’을 위한 교육이라 불리기도 한다.

죽음과 관련해서 선별된 네 편의 동화는 종교교육의 측면에서 의미 있는 죽음의 모티브들을 드러낸다. 먼저 『내가 함께 있을게』와 『나는 죽음이에요』는 우리와 가까이 있으면서 우리의 오늘에 간섭하는 ‘죽음의 일상성’을 드러내며, 『무릎딱지』는 주인공 ‘나’의 무릎에 생긴 딱지가 아물어 가는 과정을 통해 엄마에 대한 그리움과 슬픔을 극복해 가는 과정을 보여주고 있다. 마지막으로 『세상에서 가장 멋진 장례식』은 세 어린이가 동물들의 장례식을 치러주면서 점점 죽음을 이해하고, 죽음을 경험하는 과정을 유쾌하게 보여 주고 있다.

이 네 편의 죽음 동화를 통해 종교교육의 주제로서 죽음이 가진 의미를 짚어 볼 수 있다. 첫째는 삶에 대한 성찰의 가능성으로, 어린이들은 죽음을 통해 삶의 전체성 감각을 회복하고, 자아존중감을 증진시킬 뿐 아니라, 현재의 어려움과 시련을 극복할 수 있는 힘을 얻기도 한다. 둘째는 죽음을 삶의 완성으로 이해할 수 있다. 기독교인에게 죽음은 삶의 끝이 아니라, 완성이며 삶의 한 형식이다. 그래서 죽음은 삶의 한 구성요소로서 우리 생의 목표가 된다. 마지막은 어린이들도 죽음을 경험할 권리가 있다는 사실이다. 어린이들도 장례의식에 참여함으로써 죽음에 대한 두려움과 불안을 감소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다른 사람의 슬픔에 감정이입함으로써 공감능력을 키울 수 있다.

한 마디로 죽음교육은 삶을 위한 교육이라 할 수 있으며, 특히 동화를 통한 죽음교육은 어린이들이 동화 속 주인공의 경험에 간접적으로 참여하고 상상함으로써, 종교적 물음에 대해 성찰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주제어 : 죽음의 일상성, 삶의 완성, 죽음교육, 애도, 슬픔, 동화

Seeking an Effective Approach for the Personality

Education through Christian Liberal Arts Courses

in Christian University

Eun Seung Lee(SungKyul University)

This paper proposes an effective approach for the personality education through Christian liberal arts courses in Christian university, which can restore the Christian identity and reinforce Christian education proper to the founding ideals and educational goals. It is necessary because the Christian universities should find a way to cope with

the university restructuring strongly driven by the government and strengthen educational competitiveness. The Christian personality education can realize a distinctive and excellent Christian education, which should foster the spirituality incarnating the kingdom of God. The personality education in Christian university aims at a holistic, integrated education, not restricted to a cognitive learning, but leading to a comprehensive learning and knowing, sharing, and practicing the values of the Gospel while cultivating religious personality and moral character. The success of the personality education rely on the best use of Christian liberal arts courses, and efficient educational systems that the Christian university make. In this sense, the christian liberal education needs to be reconceptualize it's contents of direction, and recognize the significance of humanity education on the basis of the christian value system.

Key words: personality, personality education, Christian personality education, Christian University, Christian Liberal Arts Course, Efficient Management Plan

교양과목을 통한 기독교대학 인성교육의

전략적 운영방안 탐색

이 은 성 (성결대)

국문초록

오늘의 대학 환경을 둘러싼 여러 요인들은 기독교대학이 설립이념에 따른 지성과 영성의 통합교육으로서의 인성교육을 충실히 감당하기에 매우 어려운 상황으로 전개되고 있다. 명문대 진학을 위해 어려서부터 각종 학원으로 내물리고, 대학진학 이후에는 성공취업을 위한 스펙 쌓기에 몰두해야 하는 현실에서, 최근 인성교육은 교육계의 주요 관심 주제 중의 하나이며, 초·중등교육은 물론 대학교육의 현장에서도 그 필요성에 대한 공감대가 점점 확산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오늘의 대학 환경을 둘러싼 여러 요인들은 기독교대학이 설립이념에 기반 한 인성교육을 충실히 감당하기에는 매우 어려운 상황으로 전개되고 있다. 무엇보다도 예상되는 학령인구의 심각한 감소에 따른 대학입학정원 감축 혹은 대학정리를 주된 목표로 삼고 진행되고 있는 정부주도의 대학구조개혁에 적잖은 대학들은 당장 생존의 위기에 몰려있다. 기독교대학은 이러한 위기상황과 더불어 정체성의 위기라는 이중적 위기에 직면해 있다. 대부분의 대학들과 마찬가지로, 기독교대학도 학교운영에 있어서 눈앞에 닥친 구조개혁평과 관련 지표관리에 치중하다보니 기독교대학 본연의 교육목적이자 일반대학과 차별화되는 특성으로 중요하게 부각되어야 할 인성교육을 소홀히 하고 있는 면이 있다. 거의 모든 대학들이 대학의 교육 비전, 중장기 발전계획, 교육과정 등에 있어서 인성교육의 강화를 당연하게 받아들이고 있다. 하지만 인성교육에 대한 대학의 의지를 가시화하면서도, 이를 보다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어떤 체계와 전략적 운영방안을 필요한가에 대한 연구와 검토는 많지 않았다. 기독교 교양과목을 통한 인성교육은 보다 지속적이며 포괄적이고 자연스러운 기독교적 인성교육이 발생하는 장이라는 면에서, 이의 운영에 있어서 효율성과 효과성을 극대화 시켜주는 전략적 사고와 체계구축이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기독교대학의 인성교육에 있어서 교양과목 자체가 아닌 교양과목의 전략적 운영방식에 대한 선행연구가 거의 없음을 인지하면서, 이에 일조하는 연구가 되기를 바라면서 먼저는 인성교육의 일반적 개념과 기독교대학에서의 인성교육이 의미하는 바와 그 중요성 그리고 교양과목을 통한 기독교대학 인성교육의 특징과 운영방식에 대하여 살펴보았고,   1) 삶과 학문을 연계시켜주는 체험교육과 실천교육, 2) 봉사-학습으로 진행되는 교과구성, 3) 3) 융합형 기독교 교양교과목 이라는 세 가지 전략적 운영방안을 제안하였다.

주제어: 인성, 인성교육, 기독교적 인성교육, 기독교대학, 기독교 교양과목, 전략적 운영방안,

Abstract

A Study of christian multicultural education models based on

Foster's theory of faith community

Young Mi Kim

(Hannam Uni)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k out new insights to apply Christian multicultural education to Korean churches by diagnosing problems in the reality of Christian multicultural education; by presenting directions for Christian multicultur

al education to prepare for globalization that bring regions and the world together; and by looking at different ideas and theories, through Foster's multicultural education of communities of faith through which transformation embracing diversity can integrate with traditions, in the current situation in Korea where multicultural society is rapidly in progress.

The purpose begin with, raising the questions,‘What is the current status of and understand basic in Christian multicultural education in Korean churches?’‘Why could Forster's educational theory of multicultural communities of faith be the alternative?’and this study deals with the background of the multicultural community of faith presented by Foster and the framework of education. I sought to derive education models of his multicultural community of faith from the visions of existing together, practicing together, hoping together. and I reinterpreted Foster's theory and described actual programs(Christian multicultural education models) applicable to situations within the Korean society and Korean churches for the Christian people in ecclesial communities in Korea.

The results obtained through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e studies on Christian multicultural education based on multicultural communities of faith presented by Foster will lead to the education designed to bring about a new awareness especially to Christian multicultural education and Christian education in Korean churches in forms of education including community, different ways of life, the embrace of diversity, and hospitality, unlike conventional education focusing mainly on knowledge acquisition, such as professor-based instruction, school-based education, etc.

Secondly, this study based on Foster's education theory is not a study accepting indiscriminately or denouncing western theories, but a study suitable for situations in Korean society and the reality of Korean churches with a holistic perspective. It can be presented as a study which may establish a system of Christian multicultural education in relation to the divided states on the Korean peninsula, such as part of the unification education and Christian education for North Korean defectors. It can also be seen as a basic theory of multicultural ministry which forms the perfect blend of theory and practice, such as new institutions, pastoral approaches, redevelopment of multicultural ministries, and pastoral counseling.

Thirdly, this study can present directions for Christian multicultural education to prepare for globalization that bring regions and the world together. It can be considered as an alternative method of recovering churches again as the place of the public community and making them coexist with their regions and neighbors beyond their internal dimension through education connected to communities including residential and commercial areas and to other relevant communities or local organizations.

Finally, this study will provide alternative pathways for problems and for the status of Christian education in relation to the challenges of multicultural societies that Korean churches are facing. Now I am hoping this study will be a paper acting as the pump priming water to give directions and points of application to Korean churches through Christian multicultural education and ministries.

Key words: multicultural education, multicultural faith community,

christian multicultural education, embracing diversity

포스터의 신앙공동체 이론을 통한 다문화 기독교교육 모델연구

요약

이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화가 지역적, 국가적, 지구적 차원에서 급속하게 진행되는 오늘의 한국 상황에서, 전통과 변혁의 통합교육과 다양성을 포용하는 다문화적 신앙공동체를 추구하는 포스터의 이론에 기초하여, 한국교회의 다문화 기독교교육 현실의 문제점을 진단하며, 세계화와 지역화를 아우르는 세계 지역화(glocalization)를 준비하는 다문화 기독교교육의 방향성을 정립하며, 개념 및 다양한 이론들을 살펴봄으로써 한국교회 다문화 기독교교육에의 적용에 대한 통찰력 모색함을 목적으로 두었다.

이러한 목적을 토대로 먼저 다문화 기독교교육의 기본이해와 한국의 연구동향은 어떠한지?, 왜 포스터의 다문화 신앙공동체 교육이론이 그 대안이 될 수 있는가? 라는 질문을 제기한다. 그리고 포스터의 다문화 신앙공동체 교육의 배경과 교육구조, 다문화 신앙공동체교육 재개념화에 대한 내용들을 도출하고, 포스터의 이론을 종합, 정리하여 성인초기 기독교인을 대상으로 한국사회와 한국교회의 상황에 적용 가능한 실제 프로그램(다문화 기독교교육 모델)을 제안한다.

이와 같은 연구과정을 통해 얻게 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포스터의 다문화 신앙공동체 교육이론에 근거한 다문화 기독교교육 연구는, 과거 전통적인 교육 구조, 즉 지적인 차원에만 초점을 둔 교수중심, 학교식중심 등의 교육과는 달리 공동체적, 다양성, 포용성, 환대성 등을 포함한 교육구조로, 한국교회의 기독교교육과 특별히 다문화 기독교교육 부분에서 새로운 인식의 전환을 가져오는 교육으로 볼 수 있다.

둘째, 포스터의 다문화 신앙공동체 교육이론에 근거한 다문화 기독교교육 연구는, 서구의 이론들을 무비판적으로 답습, 배척하는 것이 아니라,‘통전적 조망’으로 한국사회의 상황과 한국교회의 실상과 맞는 연구로서, 특별히 한국의 분단과 연결하여 통일교육에 대한 부분과 새터민 등 탈북이주자에 대한 부분들도 연계한 다문화 기독교교육의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는 연구로 제시되며, 한국교회의 목회적 부분, 즉 한국교회의 전문적인 다문화목회에 있어 새로운 제도와 목회방식, 다문화적 목회상황 재정비, 목회상담 등 이론과 실천의 온전한 조화를 이루는 다문화목회의 기본이론으로 볼 수 있다.

그리고 셋째, 포스터의 다문화 신앙공동체 교육이론에 근거한 다문화 기독교교육 연구는, 세계화와 지역화를 아우르는 세계 지역화(glocalization)를 준비하는 다문화 기독교교육의 방향성을 정립하며, 삶의 장인 지역사회와 각 유관기관과 연계한 교육으로, 교회의 내적 차원을 넘어서 지역과, 이웃과 공존하며, 외적인 사명을 온전히 감당하는 공적공동체의 자리를 다시 한번 회복시킬 수 있는 대안 연구로 볼 수 있다.

결론적으로 이 연구는 한국교회가 직면한 다문화 기독교교육에 대한 현황과 문제점들에 대한 한 대안으로 제시되며, 한국교회의 다문화 기독교교육과 다문화목회의 적용점과 방향설정에 대한 마중물교육의 연구로 볼 수 있다.

주제어: 다문화교육, 다문화 신앙공동체, 다문화 기독교교육, 다양성 포용

Abstract

Systematizing the Korean Church's Unification Education: A proposal

Changho Lim(Kosin University)

changholim10@gmail.com

Korean churches have prayed for the unification of South and North Korea for over seventy years. Today, most Korean churches regularly receive public prayer requests that focus on a Korean unification. When viewed in such a light, one could conclude that the day of unification is undeniably getting closer. And relatedly, prayer meetings, as well as theoretical and theological research into a "Christian" unification, have been developing rapidly. However, a comprehensive system that brings together the Korean Church's unification movement and its related theories does not yet exist. Nor have any churches or academic institutions implemented a systematized approach to unification education. And more to the point, not a single Korean Christian order has attempted to put together and disseminate educational material to train and prepare the forthcoming post-unification generation. Building on these issues, this paper proposes a systematized Christian unification education geared toward Korean churches and Christian non-governmental organizations. The proposal takes inspiration from the systematized unification education movement that is currently utilized by Korean research institutions and the government. However, this paper does not seek to merely copy the research institutions and the government's system. The paper's proposal is a distinctly Christian one that draws from the theologies of both the Korean Church as a whole and from each of its respective orders.  In particular, the proposal advocates the "Gospel unification" approach that is widely supported by all Korean churches.

Keywords: Christian unification education, system, Korean church, post-reunification generation, unification educational material, church order, effectiveness

한국교회 통일교육의 시스템화 가능성 모색

임창호(고신대학교)

changholim10@gmail.com

한글초록

한국교회가 통일을 위해 기도해 온지 70년이 넘어섰다. 여전히 한국교회 대부분의 공적 기도문에서 통일의 소원이 담긴 기도가 이어지고 있다. 이를 통해서 볼 때, 분명히 통일의  일정은 이전보다 가까워져 오고 있음이 분명하다. 산발적이기는 하나 통일을 위한 기도회,  기독교통일 신학연구, 기독교통일 이론 등의 연구도 진행되어 왔다. 하지만, 한국교회가 힘을 모아 함께하는 통일운동이나, 기구, 시스템 등은 전무하다. 교단별로 시스템화 된 통일교육을 시행하는 곳도 없다. 단적으로, 한국 기독교교단 어느 곳도 기독교통일을 위한 통일교재를 발행하여, 자라나는 통일세대들을 준비시키는 곳도 없다는 사실이 그 대표적 사례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점에 문제의식을 갖고, 국가와 정부, 관련 연구단체의 시스템화된 통일교육 운동을 본 받아 한국교회와 기독교시민단체, 혹은 교단들의 시스템화된 기독교 통일교육 실시를 제안하고 있다. 단, 국가나 정부 혹은 연구소 등의 통일교육 시스템과 내용을 그대로 답습하자는 것이 아닌, 한국교회와 각각 교단 고유의 신학적 특성은 살리되, 복음통일을 지향하는 한국교회의 공통된 염원이 담긴 통일교육운동으로서의 시스템을 추구하자는 것이다.

주제어: 기독교통일교육, 시스템, 한국교회, 통일세대, 통일교육교재, 교단, 효율성

Abstract

Analysis about Misogyny in the Christian Curriculum and

Alternative Curriculum

Eun Mi Paik

Ewha Womans University

In the dissolution of modern gender dichotomy and the crisis of neo-liberalistic economic order, Korean men who have traditionally vested their interests are now expressing their anger and deprivation toward women in the form of misogyny. The church is the place in which misogyny has been maintained, and justified by religious beliefs. The misogynous tradition and culture are the main causes of the exodus of young women from the church. Misogyny in the church tends to be more often learned unconsciously and internalized, than through explicit learning.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nalyze and critically discuss the learning process of misogyny in the dimensions of explicit, implicit, and null curriculum.

The Bible, doctrines, and Christian tradition, which constitute the main contents of the explicit curriculum, contain considerable amounts of misogynous content and interpretations. In the dimension of the implicit curriculum, the organizational system, compensation system, power relationship, communication and decision-making processes of educational institutions are also misogynous based on gender dichotomy. In the dimension of null curriculum, women's body and sexuality have been excluded. Another serious problem is the absence of women in the Bible and Christian traditions. In order to overcome these problems, Christian education needs to develop the explicit curriculum for helping women’s critical memory and creative imagination. Second, the implicit curriculum needs to create a culture of equality and inclusiveness to overcome the exclusive and hierarchical gender dichotomy in the Korean church. Finally, women's bodies, sexualities, and stories which have been null curriculum, should be developed as an explicit curriculum.

Keywords

Misogyny, Christian curriculum, explicit curriculum, implicit curriculum, null curriculum

기독교 교육과정에 내재한 여성혐오 분석과 대안 모색

백은미(이화여자대학교)

empaik@ewha.ac.kr

국문초록

근대적 젠더 이분법의 해체와 신자유주의 경제질서의 위기가운데 대다수 한국인의 삶의 조건이 악화되면서 전통적으로 기득권을 지녔던 남성들이 자신들의 분노와 박탈감을 여성혐오로 표출하고 있다. 이러한 여성혐오 문화가 종교적 신념에 의해 유지되고 정당화되는 곳이 바로 교회이다. 기독교의 여성혐오적인 전통과 문화는 젊은 세대 여성들의 교회이탈의 주된 원인이 되고 있다. 교회내의 여성혐오는 표면적으로 드러나기보다 무의식적으로 학습되고 내면화되는 경향이 강하다. 그러므로 여성혐오가 학습되는 과정을 명시적, 내재적, 영 커리큘럼의 차원에서 분석하고 비판적으로 논의하는 것이 필요하다. 기독교교육에서 명시적인 커리큘럼의 주된 내용이 되는 성서, 교리, 기독교 전통은 여성혐오적인 내용과 해석을 상당히 많이 내포하고 있다. 내재적 커리큘럼에 해당하는 교육기관의 조직체계, 보상체계, 권력관계, 의사소통과 의사결정과정 역시 이분법적 젠더 이해에 근거한 여성혐오적인 태도를 지니고 있다. 영 커리큘럼의 차원에서 볼 때 여성의 몸과 섹슈얼리티는 교육과정에서 배제되거나 부정적으로 취급되어 왔고, 성서와 기독교 전통에서 여성들의 부재도 심각한 문제이다.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명시적 커리큘럼의 내용에 대한 비판적 기억과 창조적 상상력이 필요하다. 두 번째로, 교회의 배타적이고 위계적인 젠더 이분법을 극복하기 위한 포용과 평등의 문화를 형성하는 내재적 커리큘럼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교육과정에서 배제되어 왔던 여성의 몸과 성, 그리고 여성들의 이야기가 명시적 커리큘럼으로 개발되어야 한다.

주제어

여성혐오, 기독교 교육과정, 명시적 커리큘럼, 내재적 커리큘럼, 영 커리큘럼

Abstract

The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rt and religious education in the middle age: Byzantine and Romanesque art as the media of mystical and symbolical education

Tae Young So(Seoul Christian University)

styki@hanmail.net

This study explores the relationship between art and education in the middle age. The medieval Christianity encounters the medieval education through the medieval art such as icon, architecture, and sculpture. In this sense, this study contributes to integrating and reinterpreting history, religion, theology, aesthetics of the middle age in terms of the medieval education. The art played a role as an educational media that introduced and mediated the Biblical story to illiterate Christians in the middle age. This study concludes that the medieval art was the educational media to transform the Biblical story into the visual and sensorial text. Finally, this study matches the mystical education with the Byzantine and the symbolical education with the Romanesque.

Key words: The Middle Age, Art, Theological Aesthetics, Byzantine, Romanesque, Symbolic Education, Mystic Education.

중세 예술과 교육의 만남:

신비와 상징 교육의 매개체로서 비잔틴과 로마네스크 양식을 중심으로

소태영(서울기독대학교)

styki@hanmail.net

초록

이 연구는 중세 기독교와 교육이 예술이라는 상징을 통하여 격정적으로 만나고 있음을 주장한다. 예술과 교육이 격정적으로 포옹한 중세를 탐구하면서 그동안 분리되어 연구되어왔던 중세의 역사, 종교, 신학, 미학, 예술을 기독교교육의 차원에서 융합하고 재구성한다. 중세 사회에서 예술은 글을 읽고 쓸 수 없었던 대부분의 기독교인들에게 성경 이야기들과 교리들을 가르치는 기독교교육의 매개체 역할을 훌륭하게 감당했다.

이 연구는 예술의 교육적 성격에 기초해서 중세예술이 상징과 신비 교육의 매개체라는 사실을 탐구한다. 첫째 중세 예술과 교육의 관계성을 종교적인 관점에서 서술하면서, 중세 예술, 교육, 신학의 상호관계성을 탐구한다. 둘째 어거스틴(Augustine)과 아퀴나스(Aquinas)로부터 발전한 하강(신비)과 상승(상징)의 신학적 미학 그리고 성상파괴 논쟁을 통하여 형성되었던 중세 신학적 미학을 신비와 상징 교육의 관점에서 재조명한다. 셋째 중세 동방교회의 비잔틴 양식과 서방교회의 로마네스크 양식을 신비와 상징 교육의 관점에서 재해석한다.

주제어: 중세, 예술, 신학적 미학, 비잔틴, 로마네스크, 상징 교육, 신비 교육

Abstract -----------------------------

Coping Challenges with Future Minds and Responsible/Authentic

Leadership in an Artificial Intelligence Era

Doil Kim(Presbyterian University and Theological Seminary)

douilkim@gmail.com

This article deals with the challenges and troubles of an artificial intelligence era and seeks to find ways to deal with them using proper and authentic attitudes. Absence of solidarity, communication, and leadership eventually brought human beings despair and loss of community, and at last a mechanic revolution that is artificial intelligence has come about. Humans beings created a machine and now fear that it might threaten the future. Our greatest concern now must be to find who we are as creatures of God, know that we are all connected to each other, and form a healthy ecosystem by reclaiming our place before God (Coram Deo). We by nature need each other and communicate with one another through communication and cooperation, so that we can coexist with other creatures. The most dangerous challenge in the circumstance that we now face is a dehumanization. In order to cope with this challenge, we should find our place back as God’s creatures with humility. Andthough it is painful and tough, we need to live with faith in Christ as faithful and authentic beings before God and all creatures. Living with the proper future mind that Howard Gardener talked about and establishing responsible and authentic leadership is crucial. That is, to create our own stories of our faith journeys, seek harmony with others, nourish ourselves to empathize and sympathize with our neighbors’ joy and sadness, and to play in communities with others even in the difficult and exhausting life situations as Daniel Pink asserted. Gardner used five future minds that are disciplined, synthesizing, creating, respecting, and ethical. On top of these minds, Kim, Yong Ki’s pioneering spirit and grit are definitely necessary. Most of all, responsible and authentic leadership can bring a sustainable stability to modern humans who are suffering with fatigue due to lack of insight and meaningfulness in life. This article claims that responsible leadership requires a sacrificial, servant-like, and truthful attitude in life. These attitudes will assist us in coping with uncertainty, loneliness, and miscommunication in the era of artificial intelligence. They will eventually contribute to our strength and form a genuine faith community and healthy ecosystem.

∥Key Words∥

Era of Artificial Intelligence, Coexistence, Solidarity, Communication, Future Minds, Ecosystem

인공지능시대를 ‘살아내기’ 위한 미래마인드와 책임적 리더십에 대한 고찰

김도일(장로회신학대학교)

douilkim@gmail.com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한글초록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본 연구는 인공지능시대를 살아내야 하는 현대인의 고뇌를 같이 나누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연대와 소통과 리더십 부재는 결국 공동체의 상실을 가져왔고, 이 와중에 급기야 기계혁명은 인공지능개발에 이르렀다. 기계를 만들어놓고 기계를 두려워하는 지경에 이른 인류가 지닌 최대 관심은 인간의 인간됨, 특히 하나님 앞에서의 피조물됨을 재인식하고 자기 자리를 찾아감으로써 건강한 생태계를 형성하는 것이다. 결국 모든 생태계는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나는 너를 필요로 하고 우리는 상호간 소통하고 연대하며 함께 일하는 상생의 길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인공지능시대나 디지털 시대나 그것들이 가져다주는 도전은 비인간화에 있으며 그 비인간화를 극복하는 길은 인간 본연의 자리를 찾아 비록 치열하고 고통스러우나 진실한 인간으로서 세상 속에서 믿음으로 살아내야 하는 것이다. 그리고 함께 살아내기 위하여 미래시대에 적절한 마인드를 형성하고 책임적이고 진정성이 있는 리더십을 확립하는 것이다. 즉, 지성과 감성을 아우르는 디자인을 창출해내고, 거기에 자신만의 경험이 담긴 이야기를 만들어 내고, 타인과 함께 할 수 있는 조화를 추구하며, 이웃의 아픔과 기쁨을 내 것으로 느끼고 함께 삶을 나누는 공감능력을 키우며, 고단한 삶 속에서라도 웃음을 잃지 않고 함께 즐기며 잘 놀 수 있는 능력을 함양해야 한다. 이를 위하여 훈련된 마음, 종합하는 마음, 창조하는 마음, 존중하는 마음, 윤리적인 마음을 갖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여기에 개척정신과 강인한 심력은 금상첨화일 것이다. 무엇보다 표피적인 현대인의 삶에 진정한 안정을 주는 것은 책임적이고 진정성을 담보한 리더십이다. 희생과 봉사와 진실함을 가진 리더십은 불확실성과 고독과 불통으로 대변되는 인공지능시대의 어려움을 이겨낼 힘을 갖게 하고 진정한 공동체를 이루는 데에 일조할 것이다. 이를 통하여 건강한 교육생태계를 형성하게 될 것을 기대한다. 바로 이것이 본 연구의 핵심이다.

∥주제어: 인공지능시대, 상생, 연대, 소통, 미래마인드, 책임적 리더십, 교육생태계

ABSTRACT

An Analysis of Career Motivation for Students of the Christian

Education Department: A Case on the Christian Education of A

University

Yun Hee Song(Anyang University)

lovessong@hanmail.net

Hwa Seon Chang(Anyang University)

hschang911@hanmail.net

This article examines career guidance strategies for students of Christian education department through a statistical study on students' career motivation. Elements of career motivation are regarded as career resilience, career insight, and career identity. This article analyzes the difference of career motivation between students of the Christian education department and other college of A University, gender and grade difference of students of the Christian Education department, differences among participation experience of non subject curriculum, practice experience, social service experience. Within the analysis results, students of the Christian education department have higher level of career motivation than other college students of A University. Male students of the Christian education department have higher of career resilience, career insight, and career identity than female students. Students who were experienced in  the non-subject matter program have higher level of career identity that those who were not experienced in the non-subject matter program.  Students who had experienced practice have higher level of career resilience, career insight and career identity. Students who had experienced social service have higher level of career resilience and career identity. Career guidance strategy of this study is as followings: specialized career guidance of the department of Christian education, reinforcement of participation of the non-subject matter program, reinforcement of experience of practical affairs, reinforcement of experience of social service, establishment of career education direction with Christian view.

Keywords: Christian education, department of Christian education, career motivation, career resilience, career insight, career identity

기독교교육과 학생들의 진로동기 분석

― A 대학교 기독교교육과 사례를 중심으로 -

송윤희(안양대학교)

lovessong@hanmail.net

장화선(안양대학교)

hschang911@hanmail.net

<국문초록>

본 연구는 수도권 소재 A 대학교 기독교교육과 학생들의 '진로동기'를 분석하기  위하여 ‘진로탄력성', ‘진로통찰력', ‘진로정체성'에 관한 문항을 계량적으로 탐색하고 진로지도 방안을 탐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A 대학교 기독교교육과 재학생 109명과 단과대학 재학생 1,893명을 대상으로 기독교교육과 학생들과 단과대학 학생들 간의 ‘진로동기' 차이, 기독교교육과 학생들의 성별 및 학년 간 ‘진로동기' 차이, 비교과 프로그램 참여경험․실무 경험․사회봉사 경험의 유무에 따른 ‘진로동기' 차이를 분석하였다. 기독교교육과 학생들은 예술대학 학생들과 비슷한 ‘진로동기' 수준을 가졌으며, 단과 대학 학생들보다 ‘진로동기' 수준이 높았다. 기독교교육과의 남학생들은 여학생들보다 ‘진로탄력성', ‘진로통찰력', ‘진로정체감'이 높았으며, 학년 간 차이는 없었다. 비교과 프로그램 참여 경험이 있는 학생들은 비교과 프로그램 참여 경험이 없는 학생들보다 ‘진로정체감'이 높았으며 실무 경험이 있는 학생들은 실무경험이 없는 학생보다 ‘진로탄력성', ‘진로통찰력', ‘진로정체감'이 높았다. 사회봉사 경험이 있는 학생은 사회봉사 경험이 없는 학생들에 비해 ‘진로탄력성'과 ‘진로정체감'이 높았다. 본 연구는 기독교교육과의 특성화된 진로지도, 비교과 프로그램 참여의 강화, 실무경험의 강화, 사회봉사 경험의 강화, 기독교적 진로교육 방향 수립 등을  제시한다.

주제어 : 기독교교육, 기독교교육과, 진로동기, 진로정체감, 진로통찰력, 진로탄력성

서평

Erica Brown/옥장흠(역), 『유대인의 영적인 지도성: 강력한 공동체를 만들기 위한 실제적인 접근』(Inspired Jewish Leadership: Practical Approaches to Building Strong Communities). 서울: 동연, 2106, 310면.

김정준(성공회대학교)

kjj-2001@hanmail.net

랍비 샴마이께서 말씀하시기를: 율법(토라) 연구를 너의 삶에 영원히 고착되도록 공부하여라.

말은 적게 하고 실천은 많이 하도록 하라. 그리고 모든 사람을 즐거운 태도로 받아들이도록

하라.(선조들의 윤리, 1:18)

Shammai would say: Make your Torah study a permanent fixture of your life. Say

little and do much. And receive every man with a pleasant countenance.(Ethics of

the Fathers, 1:18)

에리카 브라운 박사는 예시바 대학교 철학과 유대학 학사(B.A., General Philosophy and Jewish Studies, Yeshiva University); 런던대학교 종교교육 전공 석사(M.A., Institute of Education in Religious Education, University of London); 런던대학교 유대학 전공 석사(M.A., Judaic Studies, Jew's College, University of London); 하바드대학교 근동언어와 문명 전공 석사(A.M., Near Eastern Language and Civilization, Harvard University); 볼티모어 히브리대학교에서 박사학위(Ph.D., Baltimore Hebrew University)를 취득하였다. 굳이 이렇게 브라운 박사의 많은 학위를 소개하려는 것은 단지 업적과 경력을 소개하려는데 있지 않다. 그녀가 자신의 삶을 통하여 유대교 연구에 얼마나 헌신하고 천착하여 깊이 있는 연구를 진행해왔는지를 소개하려는 것이다. 어쩌면 한 인간으로 태어나서 인류의 수많은 문화현상 가운데 한 분야를 연구하여 타인에게 소개하여 새로운 삶의 지혜와 통찰을 제공하는 일은 이러한 삶의 헌신과 지난한 학문탐구의 과정을 통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리라.

현재 에리카 브라운 박사는 조지 워싱턴대학교 교육과 인간개발 대학원의 조교수이며, 유대인 교육과 리더십을 위한 메이벅 센터의 디렉터로 섬기고 있다. 그녀는 맨하탄에 위치한 유대인 센터의 학자로서 비영리 컨설턴트로도 봉사한다. 또한 그녀는 웩스너 재단의 교수단 멤버로서 예루살렘 분과 회원이다. 그녀는 테드 파버의 교육전문가 분야의 우수상(Ted Farber Professional Excellence Award, 2009), 브랜다이스 대학교 홀스타인 유대교 전문리더십 프로그램에서 버니 라이즈맨 상(Bernie Reisman Award, 2009)을 받았다. 그녀는 유대교 리더십의 다양한 주제들을 가르치면서, 11권의 저서와 함께 논문과 컬럼 등을 발표하였다. 그녀의 글들은 인터넷 전자주소 ericabrown.com에서 살펴볼 수 있다.

에리카 브라운 박사가 서문에서 언급하듯이, 본서는 워싱턴 유대인협회에서 지도한 프로그램인 유대인 리더십 연구소의 교육과정에서 생겨났다. 리더십은, 현재적으로는 미국 역사의 위기의 소란한 시기에 활동했던 통찰력 있는 훌륭한 지도자들을 상기시켜 준다. 동시에 본서에서는 과거 유대인의 지도자들, 옛날 성경의 영웅들, 공동체를 이끌었던 학자들, 디아스포라 유대 민족주의 사상가들을 생각해 볼 수 있게 한다. 디아스포라 상태에서 유대인 공동체가 부딪혔던 도전들은 이스라엘의 역사에서 등장했던 과거 위대한 상상 속의 지도자들을 필요로 했을 것이라는 점은 틀림없는 사실이리라.

본서의 내용은 입문, 13개의 장, 그리고 부록으로 이루어져 있다. 특히 부록에는 심도 있는 연구를 위한 도서목록이 포함되어 있다. 우선, 입문에는 인도의 의미로 지도자와 추종자의 인성의 의미, 리더십은 타고난 것인가 아니면 가르쳐질 수 있는 것인가를 논의한다. 제1장 죄책감과 만족감: 유대인의 리더십 안에서 유대인에게 들어가기로, 유대인의 리더십의 강인함과 도전들을 설명한다. 제2장 리더십의 정의로, 리더십 이론들(위인이론, 우발성이론, 섬김의 리더십 등)을 설명한다. 제3장 우리는 누구를 인도하는가?: 나이, 인종, 공동체로, 유대민족의식과 현대 유대인들의 세대차를 논의한다. 제4장 비전과 멘토링, 여기에서는 구약성서에 등장하는 선지자 사무엘의 부르심을 분석하면서 리더십에 있어서 비전을 재탐색한다. 즉 하나님의 부르심에서 사명으로 방향을 전환하는 것에 대한 설명이다. 제5장 진정한 리더십으로 진실성에 대한 신비주의적 접근이다. 유대교 하시디즘과 연결하여 영적인 리더십에 있어서 하나님과 의 관계에서 개인적인 체험이 어떻게 진실한 리더십으로 전환 될 수 있는지를 설명한다. 제6장 낙천적인 지도자. 즉, 지도자의 성격에 대한 설명이다. 제7장 변혁을 위한 인도. 제8장 여성 리더십 키우기. 오늘날 유대교 회당에서조차 여전히 존재하고 있는 유리천정 현실에서 어떻게 여성리더십을 키울 것인가에 대한 선택을 제안하고 있다. 제9장 유대인의 리더십과 갈등의 해소. 오늘날 다양한 형태의 갈등 상황에서 갈등을 통한 성장의 관점에서 유대교 지도자들의 지혜와 통찰에서 실제적 해결 방안을 논의한다. 제10장 윤리적 리더십. 유대인들의 윤리적 가르침(정의, 공평, 성실, 인내, 평화, 사랑 등)에 터한 리더십을 설명한다. 제11장 세계의 변화, 우리 자신의 변화: 변화에 관한 충돌과정. 국제화 시대의 유대인의 변화를 논의한다. 제12장 의미 있는 위원회 서비스 만들기. 유대인 리더십에서 의미 있는 위원회는 어떻게 구성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설명이다. 제13장 다음 지도자는 누구인가?: 효과적인 리더십 승계를 위한 계획 수립. 즉 성공적인 리더십의 계승과 발전에 대한 논의이다. 그리고 끝으로, 부록1. 유대인 지도자에게 요구되는 25개 질문들. 부록2. 리더십 연습. 그리고 심도 있는 연구를 위한 도서목록으로 끝을 맺는다. 필자가 본서의 제목과 함께 그 내용을 간략하게나마 설명하려는 것은 에리카 브라운 박사가 제시하고 있는 내용에 좀 더 관심과 흥미를 갖도록 하려는 의도이다. 과연 유대교와 기독교의 관계에서 리더십은 어떤 의미를 가질 수 있는 것인지? 리더십에 있어서 어떠한 주제들이 그녀와 유대교에 있어서 중요한 관심사가 되고 있는지? 이러한 필자의 질문과 같이, 독자들에게도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었다면 다행이라 하겠다.

본서를 번역한 옥장흠 박사님은 한신대학교에서 학생들을 가르치면서 성공회대학교 신학전문대학원에서 ‘유대교 탈무드와 통전적 기독교영성교육’을 주제로 연구하여 신학박사 학위를 취득한 열정이 있는 학자이다. 옥 박사님은 이후에 자신의 연구 주제와 관련한 여러 편의 논문을 발표하고, 2014년에는 『21세기 교육의 대안 탈무드를 보다』 (서울: 동연, 2014)라는 책을 저술하기도 하였다.

옥 박사님은 유대교와 관련하여 영적 리더십에 관련한 좋은 책이라고 기뻐하면서 본서를 필자에게 소개하더니 부지런히 번역에 착수하여 드디어 2016년에 출판하였다. 외국 도서의 번역에는 많은 어려움이 따른다. 영어문장을 우리말로 정확하게 이해하고 의미를 전달하기, 새로운 개념의 정확한 이해와 표현하기, 우리말로 정확한 표현하기와 독자들의 편안한 이해 등등.. 때로 외국서적의 번역은 반역이라는 질책을 받기도 한다. 그러니 번역이라는 작업은 많은 수고와 함께 위험이 따르는 어려운 일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옥 박사님께서 본서를 번역한 것은 유대교와 탈무드 등에 대한 그의 학문적 헌신과 애정의 결과로 생각한다. 다른 사람이 하지 않을 일을 기쁜 마음으로 자신의 일로 받아들여 수고하는 것은 학문적 소명, 헌신, 사랑이라고 필자는 생각한다. 부디 본서가 옛것을 통하여 오늘을 새롭게 하려는 한국교회의 영적 지도자들(신학자, 목회자, 교육자, 교사들)에게 새로운 통찰과 도전이 되기를 바라면서 본서의 소개를 마치고자 한다.
전체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