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지 초록

기독교교육논총 52집

작성자
wesley4865
작성일
2017-12-30 13:42
조회
2794
Abstract

Implications of Christian Education in Light of St. Augustine’s Divine Illumination Relating Spiritualty and Intellectual Knowledge

Sung-joo Oh

Methodist Theological University

Today’s Christian education has been mostly inclined to be focused on the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especially dealing with cogni-tive neuroscience or brain science. It aims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rain and mind through scientific experimentation. Such scientific approaches are based on the materialistic-reductive monism against metaphysical-transcendental dualism.

For Christian educators from these perspectives have tried to apply scientific knowledge to practical use in the educational process and context; educators may lose the identity of Christian education in the process of teaching and learning matters of faith, regardless of the dis-tinction  between  science  and  wisdom  from  the  Jewish-Christian tradition. In particular, the understanding of Augustine’s distinction, which is apparent in The Greatness of  the Soul, The Trinity, and The City of God, reminds us to achieve the highest reaches of the human under-standing, the ultimate aim of christian education.

Therefore, this article reconsiders Augustine’s perspectives on the issues of christian education such as the relationship between faith and reason, sense knowledge and intellectual knowledge, and science and wisdom. Its discussion argues that christian educational perspectives are in the connection with both ‘divine illumination and epistemology, namely, both in connection to God’s Spirit and intellectual knowledge.

‖ Keywords ‖

Augustine,  Divine  Illumination,  Sense  Knowledge,  Intellectual  Knowledge,

Eternal Reason, Epistemology, Wisdom, Education

성 아우구스티누스(St. Augustine)의 조명적 지성과 영성의 교육적 관계성

오성주(감리교신학대학교)

osj@mtu.ac.kr

한글 초록

오늘날의 기독교교육은 인문사회과학에 치우쳐 있다. 특히 인지신경과 학 혹은 뇌과학 분야들이 현대 기술과학의 발달로 뇌와 마음의 관계를 과학적 실험 결과의 객관적 지식으로 주장하면서 각 학문분야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그와 같은 과학적 접근 방식들은 주로 전통적인 형이상학적이고 초월적인 이원론을 거부하며 물질주의적이며 환원론적 일원론에 기초하고 있다.

심지어 기독교교육의 분야에서도 객관적인 과학적 지식을 교육과정과 상황 속에 실천적으로 매우 유용하게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자칫 객관적 과학지식에 치우쳐 유대-기독교의 전통인 지식과 지혜의 구별에 기초한 신앙교육의 문제를 무시함으로 기독교교육의 정체성을 잃어버릴

수 있게 된다. 특히 지식과 지혜를 분명하게 구별해주는 아우구스티누스는 그의 글, “영혼의 위대함”, “삼위일체론”, “하나님의 도성” 속에서 인간의 이해와 궁극적인 기독교교육이 도달해야할 목적을 상기시켜준다. 그러므로 이글은 기독교교육에서 다루고 있는 주제들 가운데 신앙과 이성, 감각적 지식과 지성적 지식 그리고 지식과 지혜의 관계를 아우구스티누스의 관점에서 재고해 보고자 한다. 특히 아우구스티누스의 조명적 인식론에 초점을 두고 논하고자 한다.

‖ 주제어 ‖

아우구스티누스, 신적 조명과 인식, 감각적 지식, 지성적 지식, 영원한 이성, 지혜, 교육

Abstract

The Meaning and Principles of Biblical Evaluation

for Christian Education Practices

Rhee, Eunsill

Professor, Handong University

Educational evaluation is an activity that judges the meaning and value of the act of education. It is an educational activity indispensable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education, and includes not only for the evaluation of the individual but also of the institution, as it examines the responsibility of the institution.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understand the meaning and role of evaluation in Christian education and  to  promote  such  evaluation  practices  based  on  the  Biblical principles.

This paper first looked at general meanings of evaluation and the meanings of evaluation in the Bible. The evaluation and assessment of  judging  and  distinguishing  values  by  examining  concrete  information was also found in the Bible. Evaluation in Christian education aims to provide a comprehensive function  such as evaluation ‘for’, evaluation ‘of’, and evaluation ‘as’- that is applied to institutional evaluation as well as to education assessment. Evaluations practiced in the field of Christian education are to be a kind of doxology in which the learning and educational experience of students is under the control of God. This plays a sacred role to appeal and to declare the responsibility of educational practices in front of God. Based on the meanings and roles of biblical evaluation, this paper presents four principles for such biblical evaluation: the principles of responsibility, absolute evaluation, growth and process, and celebration and encouragement. The first principle of responsibility needs to be conducted in front of God, to be responsible. Assessment as aself-study activity that checks for self-learning on its own, or self-study of an institution, are examples of responsible reviewing activities that provide for the accountability of education. The second principle of absolute evaluation means not to be compared to but instead to place the criterion of evaluation within the sincerity of God’s will. The third principle of growth and process-centeredness is to live according to God’s standard of evaluation rather than to compare education results to those of others. Finally, the principles of joy, celebration, and encouragement  are  emotional  principles  that  guide  how  members should experience evaluations taking place in the field of Christian education.

Implication and further issues of evaluation in Christian educational settings are also discussed in this paper.

‖ Keywords ‖

Christian   education,   Education   evaluation,   Evaluation   and   Assessment,

Christian perspective of evaluation, Biblical evaluation

기독교교육 실천을 위한 성경적 평가의 의미와 원리 탐색

이은실(한동대학교)

esrhee@handong.edu

한글 초록

교육 평가는 교육이라는 행위의 의미와 가치를 판단하는 활동으로 개인차원의 학습평가뿐 아니라 기관의 책무성을 검토하는 기관평가까지 교육의 질적 수준 향상을 위해서 필수적인 교육 활동이다. 본 논문은 기독교교육에서 평가의 의미와 역할이 무엇인지 고찰하여 기독교교육 현장 실천가들의 평가에 대한 이해를 돕고 성경적 원리에 기초한 교육 평가 활성화를 촉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먼저 평가의 의미를 명료화하기 위해 일반적인 의미와 성경 원어적 의미를 살펴보았다. 구체적인 정보를 검토하여 옳고 그름과 가치를 판단하고 구별하는 평가(evaluation)와 사정(assessment)의 행위는 성경 원어에서도 찾아볼 수 있었다. 평가의 기능을 살펴볼 때 기독교교육의 목적 구현을 위한 평가는 형성적 성격의 평가, 총체적 성격의 평가, 배움 자체로서의 평가, 이 세 유형이 학생의 학습평가 뿐 아니라 기관의 평가에 적용되는 종합적 기능을 하고 있다. 기독교교육 현장에서 실천되는 평가는 일종의 찬가가 되어 학생들의 학습과 교육경험이 하나님 지배 아래 있고, 교육실천의 책무를 그 주관자이신 하나님 앞에서 청원하고 선포하고 지혜를 구하는 성스러운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본다. 이러한 성경적 평가의 의미를 바탕으로 본 논문은 성경적 평가의 원리를 네 가지로 제안하고 이를 교육실천의 현장에 어떻게 적용할 수 있는지 살펴보았다. 첫째는 책임의 원리로 기독교학교나 교회는 교육 활동을 하나님 앞에서 책임지고 행하며 그 과정과 결과를 평가하여야 한다. 스스로 자신의 학습을 점검하는 학습자의 초인지 활동이나 기독교교육 현장에서 수행하는 자체적 기관평가는 책임의 원리가 적용된 예가 된다. 둘째 원리는 비교가 아닌 절대평가의 원리로 평가자 되신 하나님을 의식하고 평가의 기준을 하나님의 뜻에 두는 것을 의미한다. 이 절대평가의 원리는 비교우위로 인해 근거 없는 우월감을 가지거나 혹은 자신의 가치를 고정시켜 재능 계발에 소홀하게 되는 왜곡된 자아상 형성을 피하고 하나님 앞에 선 평가로 인도한다. 셋째 원리는 성장과 과정중심의 원리로 하나님의 평가기준에 합당하게 살고자 하는 충실한 삶의 과정을 의미한다. 성과나 결과를 염두에 두고 비교하기 보다는 각자에게 맡겨진 것에 노력하는 과정중심의 원리는 학업성취 뿐 아니라 노력의 과정을 성적표에 기록하는 사례, 자신의 성품이나 태도를 스스로 점검하는 사례, 각 교육기관에서 행하는 자체평가의 예에서 볼 수 있다. 마지막 기쁨과 축하, 격려의 원리는 기독교교육 현장에서 일어나는 평가를 통해 구성원들이 정서적으로 어떤 경험을 해야 하는지 말해주는 원리이다. 이런 원리가 적용되기 위해서는 전통적 의미의 평가활동 뿐 아니라 서로의 배움을 나누고 격려하며 공유하는 나눔의 평가가 이뤄져야 한다. 다양한 교육 현장에서 성경적 평가의 원리가 인식되고 문화로 확산되며 구체적으로 실행되기 위해서는 어떤 노력이 필요할지 평가에 대한 인식변화, 성경적 평가수행을 위한 역량 교육, 기독교교육 이론전문가와 현장실천가와의 협력과 소통 등 향후 과제가 제시되었다.

 

‖ 주제어 ‖

기독교적 평가, 기독교학교, 기독교교육, 교회교육, 성경적 평가

Abstract

Understanding Postmodernism and Religious Educational Attitude

Won Seok Koh

Presbyterian University and Theological Seminar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postmodernism, which has been a representative expression referring to today’s cultures and societies for the last few decades, and to reflect on the religious educational attitude of this postmodern era. In order to understand postmodernism, I am relying on the postmodern thought of Wolfgang Welsch. He does not consider postmodernism as a sort of anti-modernism or trans-modernism, but as the type of modernism that incorporates the advanced tendencies of the 20th century. In this sense, he defines postmodernism as the required form of modernism, a so called postmodern modernism.

Accepting critically the postmodern thoughts of J. F. Lyotard, who analyzed this era as a collapsing of grand narrative, with plurality and paralogy   of   knowledge,   and   game   narrative,   Welsch   examines postmodernism. After Welsch, postmodernism is not a concept of time but a manner or perspective of life; it is not a movement against modernism but a radical movement that tries to correct the errors of modernism. So called “postmodern modernism” accepts the changed situation  of  plural  and fragmented knowledges  earnestly  and  demands a new type of thinking, referred to as transversality, rather than universality.

On the basis of Welsch’s thoughts on postmodernism, I try to reflect and  rebuild  our  religious  education.  American  biblical  scholar Leander Keck gives a excellent theological statement about the postmodern attitude of Welsch: “It is now time! Time to stop worrying about the Bible and to start worrying about ourselves. Time to stop using the Bible and to start living with it. And time to stop telling the

Bible what it means and to let its mythological character restore imagination to our thought and praise.” His statement is very meaningful for reflection on religious education. So taking this into account, I suggest  adventure,  participation  and  experience  as  fundamental structures of religious education.

‖ Keywords ‖

Postmodernism, Welsch & Keck, Religious Education, Adventure ․ Participation ․

Experience

포스트모던 시대의 기독교교육학적 태도

― 벨쉬와 켁의 사상을 중심으로*

고원석(장로회신학대학교)

wskoh87@naver.com

한글 초록

본 연구는 볼프강 벨쉬의 철학사상을 통해 포스트모던 현실을 이해하고 포스트모던 시대에 정립해야 할 기독교교육의 과제를 고찰하는 것에 목적을 둔다. 벨쉬는 다원화된 현실을 직시하면서 바른 인식(이성)의 가능성을 찾기 위해 포스트모던을 깊이 있게 성찰한 철학자이다. 그는 포스트모던을 모던의 연속선상에서 고찰하였으며 모던에서 드러난 문제점을 바로잡고 모던의 본래 의도를 완성하기 위한 고통스런 노력으로 이해한다. 즉, 포스트모던은 모던의 이념을 철저하게 추구하기 위한 새로운 사유 태도이자 관점으로서 근본적으로 다원화된 현실을 진지하게 수용하면서 가로지르기 이성을 통해 상호 소통을 지향한다. 연구자는 벨쉬의 포스트모던 사상과 그것을 신학적으로 재해석하고 있는 켁의 이해를 바탕으로 포스트모던 시대의 기독교교육학의 방향성을 반성하고 기독교교육의 기초적 구조를 모험-참여-체험의 틀로 제시하고자 한다.

‖ 주제어 ‖

포스트모더니즘, 벨쉬 ․ 켁, 현대 기독교교육, 성서교수학, 모험 ․ 참여 ․ 체험

Abstract

A Critical Study on the Similarity between Steiner’s Anthrosophy and Gnosticism

HeeYoung Jeoung

Chongshin University

The surge of materialistic values in the Korean society has yielded dehumanization,  environment  unsuitable  for  education,  and  pathological phenomenon. As a solution, alternative education has come to the rise and much research has been conducted on Waldorf Education with its foundation on Steiner’s anthrosophy. However, most of research on Steiner focuses on methodology or practical research on the various areas of Steiner’s research. Hence, there is a lack of understanding on anthrosophy (philosophy), which is the foundation of the Waldorf Education. The current study aimed to explore the meaning of Steiner’s claim that stated that anthrosophy is the intensified form of Christianity through Steiner’s interpretation of Christianity. Gnostic components are implicated in Steiner’s interpretation of Christianity. To extract the similarities between Steiner’s anthrosophy and Gnosticism influences of Greek mythology, Greek philosophy, Buddhism, and perspectives on Christianity were examined. Through this, it point out that the rash practice of Waldorf education of Christian educator is in need reflective consideration.

The results are extracted as follows: first, Gnosticism and anthrosophy hold mixed world view. Second, because of the influence of Greek mythology and mysticism, Gnosticism and anthrosophy insist that salvation is from mystical experience and self-discipline. Third, by the influence of Buddhism, Gnosticism and anthrosophy assert that salvation  is  from  human’s  realization,  not  from  Ultimate  Reality.  Last, Gnosticism and anthrosophy influened by dualism of Greek philosophy and mysticism deny human nature and divine of Jesus and divide Jesus into Jesus and Christ.

‖ Keywords ‖

Anthrosophy,  Waldorf  education,  Gnosticism,  Greek  mythology  mysticism,

Greek philosophy

영지주의와 슈타이너의 인지학의 유사성에 대한 비판적 고찰

정희영(총신대학교)

hyjeoung56@hanmail.net

한글 초록

우리나라 사회의 물질주의적 가치의 팽배는 인간의 비인간화와 입시위주의 비교육적 환경 그리고 병리적 현상을 낳았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대안교육이 대두가 되었고 그 가운데서도 슈타이너의 인지학에 기초를 둔 발도르프교육에 대해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다. 그러나 슈타이너에 대한 대부분의 연구는 방법론에 치우치거나 슈타이너 연구의 다양한 영역에 대한 연구가 대부분이다. 이로 인해 발도르프교육의 기초가 되는 인지학(철학)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슈타이너의 인지학의 철학적 배경에 대한 연구를 통해 인지학의 철학적 이해를 넓히고자 한다. 아울러 초대교회 시대에 기독교에 매우 위험한 존재였던 영지주의의 철학적 배경을 연구하고 인지학과의 유사성을 고찰함으로서 인지학의 위험성을 드러내고자 한다. 이를 통해 기독교인 교육자들의 발도르프교육에 대한 무분별한 교육적 실천에 반성적 고찰이 필요함을 지적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위해 영지주의와 인지학의 형성배경으로서 고대 밀의 종교, 신비주의와 헬라철학의 이원론적 영향, 불교와 기독교의 영향 등을 살펴보고 유사성을 도출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영지주의와 인지학에는 혼합적인 세계관이 자리잡고 있다. 둘째, 영지주의와 인지학 모두 밀의 종교와 신비주의 영향을 받아 신비한 체험이나 수행을 통해 영혼이 구원을 얻을 수 있다고 본다. 셋째, 불교의 영향을 받아 궁극적 실재를 통한 구원이 아니라 인간 자신의 깨달음을 통한 구원을 주장한다. 넷째, 헬라철학의 이원론적 영향과 신비주의의 영향으로 예수를 예수와 그리스도로 나누고 그리스도의 신성과 인성을 부정한다.

‖ 주제어 ‖

인지학, 발도르프교육, 영지주의, 그리스신화, 신비주의, 헬라철학

Abstract

A Community of Practice of Korean Diaspora Pastors: Focus on the Dubai Ministry Festival

Hyo-Sook Kim

Presbyterian University and Theological Seminary

The role of the Korean Diaspora Church as an agency of God’s mission is growing. A pastor’s missionary vision can be the driving force in transforming the Korean Diaspora Church from a traditional church to a missional one, which can be achieved by the pastor’s greater involvement in missionary activities. This year’s Dubai Ministry Festival was a community of practice and learning, with the goal of rediscovering the calling of Korean Diaspora pasto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Dubai Ministry Festival as a community of practice and analyze and interpret the learning experiences of pastors by applying integrated research methods. According to the survey results (N=74), the Dubai Ministry Festival was most effective for “the group of 10-20 years (ministry period) in the 40s (age)” and showed an interaction effect between the age and the ministry period in learning experiences. There was a very high level of correlation among the four components of learning in a community of practice, and the more effective “learning as doing” was, the more effective the learning of the other components was.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causal chain analysis of factors influencing learning experiences, the factors related to “learning as becoming” mainly promoted learning, while the factors related to “learning as do-

ing” interfered with learning. It is difficult to generalize the results of this study because it is aone-time festival with limited participants. However, it is suggested alternative models of education for pastors at the heart of the church crisis and reform, which could include creating a learning community and designing a platform for church renewal and collaboration.

‖ Keywords ‖

Korean  diaspora  pastor,  Dubai  Ministry  Festival,  community  of  practice,

learning community, social participation, learning experience

한인 디아스포라 목회자들의 실천공동체

― 두바이목회축제를 중심으로

김효숙(장로회신학대학교)

belovedkhs@naver.com

한글 초록

하나님의 선교의 대행자로서 한인 디아스포라 교회의 역할이 커지고 있다. 한인 디아스포라 교회가 전통적 교회를 넘어 선교적 교회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추동력은 목회자의 선교적 비전이며, 이 비전은 목회자가 선교적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과정에서 형성된다. 올해 개최된 두바이목회축제는 한인 디아스포라 목회자들이 사명을 재발견하도록 준비된 실천공동체요 학습공동체다. 이 연구의 목적은 실천공동체로서 두바이목회축제를 탐색하고, 목회자들의 학습 경험을 통합적 연구방법을 적용하여 분석・해석하려는 것이다.

조사결과(N=74)에 따르면, 두바이목회축제는 ‘10~20년 간 사역한 40대 집단’에 매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령 및 목회기간 간에 상호작용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천공동체의 학습 차원들 간에는 매우 높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행함으로서의 학습’이 효과적일수록 다른 차원의 학습 또한 효과적일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습 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원인연쇄분석 결과에 따르면, ‘됨으로서의 학습’에 관련된 요소들이 학습을 주로 촉진시켰고, ‘행함으로서의 학습’에 관련된 요소들이 학습을 주로 방해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가 일회적 축제의, 제한된 참여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라는 점에서 연구결과를 일반화하기는 어렵다. 그러나 교회 위기와 개혁의 중심에 위치한 목회자 교육의 대안적 모델을 탐색하고, 한국교회를 넘어 세계교회의 갱신 및 협력을 위한 학습공동체 및 플랫폼 설계에 대해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주제어 ‖

한인 디아스포라 목회자, 두바이목회축제,  실천공동체,  학습공동체,  사회적  참여, 학습 경험

Abstract

Developing a Platform for the Improvement of Religious Education through Curriculum Deliberation from the Christian School Perspective

Kim, Jung-hyo ․ Huh, Ji-sun ․ Han, Shin-young*

Ewha Womans University

Recently Korean religious education, which has been a subject for faith education at Christian schools, turned into the science of religion for religion literacy education in secular schools can be observed. The effect of this change is that Christian schools have lost a curricular basis for teaching their educational missions and goals, and worldview that whole school curriculum was based on. In this context, in order to restore the curriculum basis for Christian schools’ faith education, as well as for better religion literacy education in our religiously plural society,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platform of curriculum development principles to solve the problems surrounding religious education. For this purpose, 1) the current situation and problems of religious education, both at the national curriculum level and school curriculum level, were examined, focusing on the 2011 and 2015 revisions; 2) the cause of the problems was identified at both levels; 3)a platform for this RE improvement is developed at 4 points; 4) and finally ideas about an alternative to current religious education are described briefly. The developed platform includes the following: 1) RE curriculum should give options that schools can select from according their educational purpose, whether faith education-based or focused on the science of religion; 2) when centered around the science of religion, Ninian Smart’s phenomenological approach to religion is more appropriate for deep understanding of religion, rather than the objective approach; 3) missionary work at Christian schools should rely on Ott’sso-called ‘revealed specialism’ rather than on an exclusive strategy; 4)the instruction of RE teachers should apply religious doctrine to students’ concerns and their developmental tasks.

‖ Keywords ‖

christian schools, religion education. curriculum deliberation, platform

기독교 학교의 종교교과 교육과정 개선을 위한 기초 연구

: 교육과정 숙의를 통한 신조(Platform) 구축

김정효*/허지선/한신영(이화여자대학교)

junghyo@ewha.ac.kr/ truehoo@naver.com/

wifeofs@hanmail.net

한글 초록

지금까지 종교교과에서는 이를 통해 신앙교육을 위한 교과기반을 확보하고자 하였던 기독교학교와 다종교사회에 필요한 종교 문해력을 키우려했던 종교교육과정 입안자들 사이의 갈등이 심화되어왔다. 이에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교육과정 숙의(curriculum deliberation) 방법을 통해 기독교학교의 관점에서 종교교과 개선을 위한 기본적인 신조(platform)를 구축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먼저 현행 종교 교육과정의 문제와 원인을 알아보고 이를 근거로 네 가지의 종교교과 교육과정 개선을 위한 신조를 다음과 같이 개발하였다. 1) 종교교과 교육과정은 교육과정 실행자인 기독교학교의 필요에 근거하여 신앙교육의 교과기반이 되도록 종교교과를 ‘종교와 생활/종교학’으로 바꾸어야 하고, 2) 종교교과의 ‘종교학’의 접근은 객관주의에서 현상학적 접근으로 바뀌어야 하며, 3) 기독교학교의 선교적 접근 역시 배타주의에서 학생들의 종교적 양심과 다른 종교를 배려하는 ‘계시적 특별주의’로 전환되어야 하며, 4) 교수학습의 측면에서도 학생들의 관심과 실제 문제를 다룰 수 있도록 교리 제시 수준을 넘어서야 한다는 것 등이었다. 이를 기반으로 개선된 종교교육의 대안의 개요가 교육과정 목표, 편제와 내용 그리고 지원 체제 등으로 구분되어 제시되었다. 이러한 신조 구축은 국가 수준 교육과정에서는 종교교육의 정상화를 위한 기초연구로서 의미를 가지며 학교교육과정 수준에서는 기독교학교의 종교 교육 실행에 대한 자기반성적인 기회를 제공하였다는 의의를 가진다고 하겠다.

‖ 주제어 ‖

기독교학교, 종교교육, 교육과정 숙의, 교육과정 개발신조

Abstract

A Study of Freshmen’s Need Assessments for Mental Health Counseling Programs

Mila Park

Sungkyul University

This  study  examines  mental  health  condition  of  college  students through the preceding research analysis within the theoretical frame. The research also analyzed college students’ mental health factors including depression and anxiety, anger management, socialism,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problems. This research proposes the necessity of mental health programs at each university by demand survey analysis of emotion-related counseling programs. The results of the survey showed 576(52.17%) freshmen students wanted to access counseling services. More than half of these freshmen needed continuing and systematic counseling programs with a professional counselor. 19.74% of students reported a need for depression and anxiety-related counseling, and 24.63% expressed their need for inter-personal relations counseling. This means 1 out of 4 desire social and inter-personal relations stress counseling programs.

Furthermore, 33.70% of the students needed stress-related counseling programs, and 24.27% needed anger management-related counseling program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shows that diverse counseling programs are needed to diminish the various stresses of college students and to assist them in their adaptation to college life.

‖ Keywords ‖

Stress, Dression & Anxiety, Anger Management, Sociality & Personal Relationship,

Mental Health

대학 신입생의 정신건강 관련 상담 요구에 관한 연구

― 스트레스, 우울 ․ 불안, 분노조절, 대인관계를 중심으로

박미라(성결대학교)

sistercara@naver.com

한글 초록

본 연구는 대학생의 정신건강에 대한 실태와 현상을 선행연구를 통한 이론적 고찰을 통해 정리하고 대학생들의 정신건강과 관련된 스트레스, 우울 및 불안, 분노조절, 사회성 및 대인관계에 관한 문제유형을 분석하여 이에 따른 정서 관련 상담프로그램의 요구조사를 통해 각 대학의 정신건강프로그램의 필요성을 제안하고자 진행되었다. 설문을 진행한 결과 전문상담사에게 상담을 받고 싶었던 적이 있는 학생은 576명(52.17%)으로 신입생들의 상담적 요구 및 필요성을 알 수 있었고 전문상담사를 통한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상담지원의 요구를 알 수 있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19.74%의 학생들이 우울, 불안을 위한 정서 관련 상담의 필요성을 보고하였고 24.63%의 학생들이 대인관계 문제에 대한 상담프로그램의 요구를 피력하였다. 이는 4명당 1명 정도의 학생이 사회성 및 인간관계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이 필요함을 나타내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또한 33.70%의 학생이 스트레스 관련 상담 프로그램의 필요성과 24.27%의 학생이 감정조절을 위한 분노조절 상담 프로그램의 필요성에 대하여 보고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라 정리하면, P대학 신입생들에게 필요한 상담 프로그램들은 우울 및 불안, 사회성 및 대인관계, 스트레스, 분노조절 관련 프로그램 중에 스트레스(33.70%), 사회성 및 대인관계(24.63%), 감정조절을 위한 분노조절(24.27%), 우울 및 불안(19.74%) 순으로 보고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대학생들의 정신건강과 정서문제에 관련하여 자기 통제력과 건강증진 생활양식을 훈련 및 실천할 수 있는 상담적 개입 및 프로그램 개발이 대학생의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적응수준을 높이는 효과적인 방략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 주제어 ‖

스트레스, 우울 및 불안, 분노조절, 사회성 및 대인관계, 정신건강

Abstract

Suggestion for Education of Christian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Myung Ja Kim ․ Nan Ye Kim*

Korea Baptist Theological University/Seminary

Major developed countries, including Korea, have traditionally operated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hild care in dualistic system, but now the reinforcement of a teacher’s qualification in pursuit of cooperation and the integra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the child care system is becoming important. This is due to changes in social structure and lifestyle, a decrease in birth rate, an increase of women’s economic activity, lifelong education, children’s education and care etc. What is needed for this? With an awareness of this problem, this study looks into the history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examines the validity of existing viewpoints of childhood education, establishes a  desirable  viewpoint  of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in Christian schools by comparative analysis of status and the present condit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in the United States and Korea, and aims to present the foundation for the improvement of the training system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conclusions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order to enhance the qualification of pre-service teachers, the combining of theories and practice is needed so that these theories can be put into practice in the field. For this purpose, high-quality education programs for teachers should be established, in addition to self-understanding through self-training of pre-service teachers. Furthermore, the  system of  pre-internship and  student  teaching  for  pre-service teachers’ education, that utilizes the connection of theories and life, should be reinforced. Second, the pre-service teacher’s ability to connect theories and life can be taught through alternative practical education in various dimensions; this is not standardized but can be achieved through diverse and flexible strategies. In order to do this, motivation  for  pre-service  teachers  to  become  teacher-researchers through pre-education is needed, as well as a change of awareness about  students  in  the  course  of  training  education  for  Christian pre-service teachers.

‖ Keywords ‖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Teacher’s  qualification,  Pre-internship, Pre-service teacher,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기독 예비 유아교사 교육을 위한 제언

김명자 ․ 김난예(침례신학대학교)*

djaak3513@hanmail.net / nykim507@kbtus.ac.kr

한글 초록

주요 선진국들과 우리나라는 전통적으로 유아교육과 보육을 이원적 체제로 운영해왔으나 사회구조와 생활방식 변화, 출산율 감소와 여성의 경제활동 증가, 평생학습, 아동의 교육 및 보육을 받을 권리 등으로 유아교육과 보육 체제의 협력과 통합을 추구하며 교사 자격 강화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이를 위해 필요한 것이 무엇인가? 이러한 문제의식에 따라 본 연구는 유아교사 교육의 역사를 살펴보고 기존유아교육관의 교육학적 타당성을 검토하며, 미국과 우리나라의 유아교사 교육 실태 및 현황을 비교분석함으로써 기독교학교의 바람직한 유아교사 교육관을 정립하고, 유아교사 양성제도 개선을 위한 기초를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교사의 자질을 향상하기 위해서는 이론과 실제를 결합하고 삶의 현장에서 이론이 실천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예비교사 자신의 자기양성을 통한 자기이해 위에 질 높은 교사교육 프로그램이 구축되어야 하며, 이론과 삶을 연결하는 예비교사교육의 제도로서 사전실습과 교생실습을 강화해야 한다. 둘째, 이론과 삶을 연결하는 예비 유아교사의 자질은 다양한 방면에서 대안적 실습교육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것은 획일적이지 않으며 다양하고 융통성 있게 개발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예비교사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예비교사들이 교사-연구자가 되도록 동기부여를 해야 한다. 또 기독예비교사 양성교육과정에서 교사들의 예비교사인 학생에 대한 인식 전환이다.

‖ 주제어 ‖

유아교사 교육, 교사 자질, 사전실습, 예비교사, 예비교사 교육

Abstract

The Justification for Education for Preventing Youth Hate Speech

Sujin Go

Presbyterian University and Theological Seminary

The purpose of this study aims to prove that the young may realize and trust that their existence can change, not through winning, rivalry, achievement or denial towards others, but by believing Jesus Christ. This change in existence does not belong to man, but it encourages men to change their doing so as to live in a way that promotes doing good to family, neighbors, church and country. Today, there are many of problems of Hate Speech and violence between teenagers through the Internet and social networking services. The hate of a man has formed from the infancy period according to the theory of subject relation. Youth hate is associated with physical development, specifically from feelings of parental violation of autonomy and social pressure for the “perfect life.” Moreover, the situation worsens when parents deliver their own shame and disgust to their children. However, Paul Tillich and Dietrich Bonhoeffer, in the theological  perspective,  said  that  this  hate  and  disgust  began  at  the Original Sin, when mankind first broke God’s command. As a result, men became ashamed of their existence, isolated from the God, and then began to dislike those who recognized their vulnerability. All people bring Original shame to themselves. Hate and disgust are only the surface phenomena showing how many people reflect their shame onto others. When shame is pointed inward, it develops into a narcissistic or self-inferiority persona. By contrast, as the shame is directed  outward  onto  others  society  creates  a  stigma  centered around the socially weak; this can also lead to atheism. Furthermore, the use of the internet encourages the spread of hate speech and reinforces youth boasting about their violence in public. Though in the past, such hate was focused on race, social economic level, and gender, today it is directed towards a diversity of subjects. This problem cannot be controlled by making new laws in this society. It needs a more fundamental solution to improve current conditions.

This study suggests Martin Luther’s theology as an alternative solution to this problem. Firstly, Luther’s ‘priesthood of all believers’ theory insists that parents have a responsibility to teach and control their children at home. Secondly, the ‘justification by faith’ theory suggests that human beings may become righteous men through their belief in Jesus Christ. The justification of Jesus Christ can be transferred to men only through faith. Thirdly, the righteous man has a vocation to help others to be free and to heal others from their state of sin. Based on the Martin Luther’s theology, this study seeks to justify family education to prevent disgust and hate speech in adolescences. This education consists of the Contrition Prayer, the Cross Kerygma, and the Justice Ecclesia.

‖ Keywords ‖

Disgust,   Shame,   Youth,   Family   education,   Martin   Luther,   Justification,

Vocation

청소년 혐오 발언을 예방하는 가족 의인화 교육

고수진(장로회신학대학교)

erziehung@hanmail.net

한글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들이 경쟁을 통한 이김, 성취, 타자 부정을 통해서가 아니라 그리스도를 믿음으로 존재의 갱신이 가능하다는 것을 인식, 확신시키고 가정, 경제, 교회, 국가와 책임적 관계 속에서 정의를 이루는 삶을 살게 하는 것이다. 인터넷과 SNS에서 청소년들의 혐오발언과 폭력 수치가 높아지고 예방을 위하여 법적 제재를 강화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타자 혐오의 근원은 자기 존재에 대한 수치심이다. 수치심과 혐오감은 상호 전환되는데 그 대상은 자기 자신, 타자 그리고 절대적 타자이다. 신학적 관점에서 수치심은 아담과 하와가 하나님과 분리된 실존이 되었다는 사실을 깨달으면서 시작되었다. 그리고 타락한 인간은 자신의 한계, 취약성을 일깨우는 타자를 혐오하게 되었다. 곧 수치심과 혐오는 보다 원초적이고 보편적 감정이다. 청소년들은 자기 존재감을 확증하기 위하여 인터넷과 SNS에서 혐오발언의 생산자, 수행자로 활동하고 있다. 존재에 대한 불안이 깊을수록 혐오 표현이 극심해지기 마련이다. 곧 혐오감은 존재에 대한 확신의 문제이며 이는 근원적인 관계, 가족으로부터 기인한다. 따라서 종교개혁 500주년을 맞아 마틴 루터의 신학을 토대로 청소년 혐오 발언을 예방할 수 있는 가족 교육을 제안하고자 한다.

‖ 주제어 ‖

혐오감, 수치심, 청소년, 가족 교육, 마틴 루터, 칭의, 소명

Abstract

A Study of Reading Comprehension in Middle

School Student Using Selected Korean Bible Translations

Jaewoo Kim

Yong An Church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rst examine the comprehension level of three different types of the Korean Bibles by middle school students and then to suggest the most appropriate time for middle school students to switch from one type of Korean Bible to the next. Previous studies related to this subject are introduced, and the importance of reading the Bible and reading comprehension process were included. In total, 100 middle school students from Busan Young Ahn Baptist Church participated in this survey. The selected versions of the bible were the Easy Bible, the Children’s Bible modified from the Modern Language Bible, and the Revised Korean Bible, and the narrative story for the test was chosen form the Old Testament. The rewiring test tool and SPSS 18 were used to analyze the results. For deeper analysis, gender, parent’s church attendance, age, and church membership period were surveyed alongside Bible version comprehension.

Firs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comprehension scores across the three different Bible versions chosen. Even though  comprehension  scores  of  the  Easy  Bible  and  the Children’s Bible were higher than the comprehension score of the Revised Korean Bible, the pvalue was slightly higher than 0.05. However,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Bible com prehension scores across student grade levle; older students receive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than  younger  students. Comprehension test scores from each age group were analyzed, and it found that firs year middle school students’ comprehension score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cross the Bible versions. Analaysis showed that firs year students were better able to comprehend the Easy Bible and the Children’s Bible than the Revised Korean Bible, while second and third year student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t in comprehension score across all three Bible versions.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the Easy Bible or the Children’s Bible be used for firs year middle school students and the Revised Korean Bible be sued for second and third year middle students. Fro further study, the factors which affect middle school students’ Bible comprehension may be explored.

‖ Keywords ‖

Bible  comprehension,  Factors  on  Bible  comprehension,  Age-related  Bible

comprehension testing

중학생의 성경 이해도에 관한 연구

― 세 종류의 한국어 성경번역본을 중심으로

김재우(영안교회)

jaewookim96@gmail.com

한글 초록

본 연구는 중학교 1학년, 2학년 그리고 3학년 학생들이 성경 버전에 따라 성경 본문의 내용을 얼마나 이해하는지 분석하여 가장 적절한 성경교체시기를 제안하기 위함이다. 선행연구 및 성경 읽기의 중요성과 읽기 과정을 이론 배경에 넣었으며 연구를 위해 부산 영안 침례교회에서 총 100명의 중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선택된 성경 버전은 쉬운 성경과 현대어 성경을 토대로 만들어진 어린이 성경 그리고 개역개정이었으며 구약성경에서 잘 알려지지 않은 본문을 선택하였다. 준비된 설문지를 대상자들에게 랜덤하게 배분하였으며 평가와 분석을 위하여 Rewriting and scoring과 SPSS 18을 사용하였다. 차후 성경 이해에 끼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성별, 학년, 부모님의 교회 출석 여부, 교회를 다닌 기간, 교회 내 훈련 등을 추가로 조사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첫째 성경 버전에 따른 유의미한 결과는 발생하지 않았다.

즉 중학생들은 쉬운 성경과 어린이 성경의 이해도 점수가 개역개정보다 높긴 했지만 유의미한 수준은 아니라는 것이다. 하지만, 학년별로 점수를 비교했을 땐 유의미한 차이가 발생하였다. 다시 말하자면 성경 이해도 점수에 있어서 중학교 저학년보다 고학년이 월등히 높은 점수를 얻었다는 것이다. 여기에서 발견한 또 한 가지 중요한 결과는 1학년은 성경버전에 따라 이해도 점수가 유의미했지만 2학년과 3학년에서는 그렇지 않다는 점이다. 이것이 의미하는 것은 1학년의 경우 쉬운 성경과 어린이 성경을 개역개정보다 월등히 잘 이해하지만, 2학년과 3학년의 경우 여전히 개역개정이 낮은 점수를 받긴 하지만 그 차이가 유의미한 수준이 아니라는 점이다. 이 결과를 토대로 가급적 중학교 1학년까지는 학생들이 이해하기 수월한 쉬운 성경이나 현대어 성경을 사용하고 2학년이나 3학년이 되어서 성인이 사용하는 개역개정을 사용하도록 권장하였다. 또한 학년별로 나누어 성경공부를 진행하는 것을 권하였고 더 진행해야 하는 연구로는 중고등학생들이 성경을 이해하는데 있어서 영향을 끼치는 요소가 무엇인지 확인하도록 제안하였다.

‖ 주제어 ‖

성경 이해, 성경 읽기, 중학생 성경 이해, 성경 버전에 따른 이해

Abstract

A Christian Educational Study for Marriage Migrant Women in Korea: Focused on the Story of Syrophoenician Woman from the Intercultural Perspective

Yhun So Ahn

Yonsei University

The Korean society emergence in the late 1990s financial crisis resulted in a huge change. This led to a demographic change in international  migration  and  marriage  through  globalization. Globalization encompasses a variety of phenomenon when the world becomes interrelated, and neoliberalism, which embodies the characteristics of “economic globalization,” governs our  life  and  consciousness  with  the  principle  of  over composition. This deepens the widening gap between the rich and poor in the global economy. As a result of this trend, there is an increase in international labor and migration flow. Korean society is also faced with this global phenomenon. This is evident in the rise in overseas workers and the rampant growth of international marriages annually. In particular, the number of immigrant women who are married to Korean men is rapidly increasing. However, they are experiencing difficulties in both language and cultural differences, and at the same time, Korean society  is  labeling  them  as  “women  from  poor  countries.”

Married women have been restricted for a long time and live in their own self-interest without acknowledging their identity. Most of the married women were excluded from Korean society. In addition, the support for women’s churches and Christian education centers is focused on “multi-military tendencies,” as they view women as subjects of social integration. The researcher analyzed the reality of married migrant women in  Korean  society  for  their  objective  understanding  and settlement. This research also examined how they can adapt to Korean  society  from  the  Christian  educational  perspective. From my observation, it is necessary to engage this study from the intercultural view. Therefore unlike the traditional view, based on the Story of Syrophoenician Woman from the intercultural perspective this research provides a Christian education model for marriage migrant women.

‖ Keywords ‖

Marriage  Migrant  Women,  Multicultural,  Intercultural,  Syrophoenician  Woman,

The Bible

한국의 결혼이주여성을 위한 기독교교육적 연구

― “상호문화적(Intercultural) 관점”에서 본 수로보니게 여인의 이야기를 중심으로

안윤소(연세대학교)

yunso2273@hanmail.net

한글 초록

1990년 말 등장한 외환위기 사태는 한국 사회의 큰 변화를 주었다. 그것은 바로 세계화를 통한 국제이주와 결혼의 증가다. 세계화는 전 세계가 상호관련성을 갖게 되면서 다양한 현상을 포괄하는데, 그중 “경제적 세계화”의 특징을 지닌 신자유주의는 과도한 경쟁의 원리로 우리의 삶과 의식을 지배한다. 이는 세계경제의 빈부격차를 심화시킨다. 이러한 흐름 속에 노동과 이주가 늘어나고, 한국 사회에도 영향을 미쳐 해외 노동자가 늘고 있고 국제결혼이 매년 증가하고 있다. 특히 한국인 남성과 결혼하여 이주한 결혼이주여성들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이들은 한국에 살면서 언어와 문화적 차이의 어려움을 겪고 있고 동시에 한국사회가 이들을 ‘가난한 나라에서 온 여성’이라고 타자화 또는 주변화시킨다. 결혼이주여성들도 타자화되고 주변화된 시선에 오랫동안 갇혀있어서 스스로의 주체성을 인식하지 못하고 자신을 열등한 존재로 받아들이며 살아간다. 대다수의 결혼이주여성들은 한국사회에서 소외되었다. 게다가 결혼이주여성들을 사회통합의 주체가 아닌 사회통합의 대상으로만 바라보기 때문에 한국교회나 기독교교육 현장에서도 이들을 위한 지원이 ‘동화주의 성향의 다문화’위주로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자는 그들의 올바른 이해와 정착을 위해서 한국사회의 결혼이주 여성들의 현실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이들의 한국사회의 적응을 위해 논의되는 교육적 관점을 모색하고 이러한 논의 과정에서 기독교교육의 대안은 무엇인지 살펴봄으로써, 상호문화적 관점의 기독교교육이 필요하다고 판단되었다. 따라서 결혼이주여성들에게 전통적 관점과는 달리 상호문화적 관점의 ‘수로보니게 여인’의 이야기를 바탕으로 한 기독교교육 모형을 제시했다.

‖ 주제어 ‖

결혼이주여성, 다문화적, 상호문화적, 수로보니게 여인, 성서

Abstract

Fasting and God’s Restorative Justice in Isaiah 58

: Practical Approach in Pastoral Care

Hye Jin Kim

Sungkonghoe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the true meaning of fasting and God’s restorative justice in Isaiah 58, which is recorded by Trito-Isaiah. Fasting from the beginning of Israel to the time of captivity was a part of the godliness and voluntary nature of atonement, repentance and appreciation. However, after the exile, and the institutionalization of fasting to remember the destruction of Jerusalem, the original purpose of this fasting was lost, and the emphasis shifted to ritualization and form. The third author of Isaiah, in chapter 58, proclaims the true meaning and spirit of fasting. Only fasting to energize the spirit of the neighbor’s love will be the fasting that God will gladly accept, and in the true sense, this is the path to the realization of God’s justice.

The fasting that God desires is directly related to the contextual demands of the time. For people held in slavery, God demanded to their release from the brutal bondage, to draw the lines of the yoke and free the oppressed. Furthermore, God commanded that one must clean themselves and their neighbors. True fasting  declared  by  God  Almighty  contains  the  meaning  of liberation. At present, fasting in Christianity is perceived as a process to pursue only the spirituality of a person at a high level differentiated from others. This study aims to reveal that the way to God is not toward God Himself but toward neighbors and the greater society. Therefore, I would like to show that restorative justice must be realized by the conversion from social fasting to social spirituality and practical application.

Finally, based on Isaiah’s restorative justice, the researcher suggests four practical ways for Korean churches to apply pastoral ministry. First, I would like to emphasize that the correct theological understanding of the pastors about the fasting mentioned in the Old Testament Trito-Isaiah must be preceded.

This will be the first step in helping the pastors who are leaders of Christian spiritual life, as well as their followers, to be able to lead a moral life. Second, it is clear that the fasting (prayer) mentioned by the Trito-Isaiah should be preceded for the restoration of the relationship with God, but this includes the spiritual restoration of the community level, as well as the individual dimension. Therefore, in the ministry of the Korean church, spiritual life should be guided not only toward the individual, but also regarding the community dimension. Third, the researcher’s attention in this study is focused on the fasting (prayer)  of  Trito-Isaiah  and  must  include  the  meaning  of ‘restorative justice’ above everything else. In this context, the practice of fasting in the spiritual life of Christians in Korean churches today must help to sublimate into the practice of restoring the positive definition of social justice that overcomes social structural evil. Fourth, the fast (prayer) mentioned by Trito-Isaiah today must be expanded and applied to form the desirable spiritual life of Christians in the realm of everyday life. Today, 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technological science, various media dominate the lives of Christians. While there is also the convenience to this media , its dysfunctional problems may also occur. Therefore, pastors must emphasize temperance and true communion life in terms of faith through the correct use of media avoiding those that cause harm to Christian life. Through  this  study,  the  researcher  hopes  that  the  Korean church will restore the original meaning of fasting, extend beyond the individual dimension to the social dimension, and be born into practical spirituality.

‖ Keywords ‖

Trito-Isaiah, Fasting, True fast, God’s justice, Restorative justice, Social spirituality

이사야 58장에 나타난 금식과 하나님의 회복적 정의: 목회의 실천적 적용방안 연구

김혜진(성공회대학교)

hjk02502@naver.com

한글 초록

본 연구는 제3이사야(Trito-Isaiah)가 기록했다고 하는 이사야 58장에 나타난 금식의 참된 의미와 하나님의 회복적 정의를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이스라엘 초기부터 포로기 이전까지의 금식은 경건 생활의 한 부분이었으며 자발적인 성격으로 속죄와 참회, 그리고 감사의 의미가 강했다. 그러나 포로기 이후에는 예루살렘의 파괴를 기억하는 금식으로 제도화되면서, 본래 목적의 금식은 사라지고 극도로 외식과 형식을 중시하게 되었다. 제3이사야 저자는 58장에서 금식의 진정한 의미와 정신을 선포하고 있다. 이웃사랑의 정신을 살리는 금식만이 하나님이 기뻐하는 금식이 될 것이며, 진정한 의미에서 하나님의 회복적 정의가 실현되는 길임을 역설하고 있다. 하나님이 원하는 금식은 그 시대의 상황적(contextual) 요구들과 직접적으로 관련된다. 그는 백성들이 지배층의 속박 가운데 있기에, 먼저 고통의 결박을 풀어주며, 멍에의 줄을 끌러주고 압제 받는 사람을 놓아주라고 요구한다. 또한 자신의 일과 이웃을 정화하고 정의가 회복되어야 함을 강조한다. 그러기에 하나님이 선포한 ‘참 금식’은 해방적 의미를 담고 있다. 현재 기독교의 금식은 다른 사람과는 차별화된 높은 단계의 개인의 영성만을 추구하기 위한 과정으로 인식되고 있다. 이 연구는 하나님에게 나아가는 길은 하나님만 향해서 나아가는 것이 아닌 이웃과 사회를 향하는 것임을 밝혀두고자 한다. 그러므로 개인적 영성에만 치우친 금식을 사회적 영성으로의 전환과 실제적 적용에 의해 회복적 정의가 실현되어야 함을 밝히려고 한다. 연구자는 마지막으로 이사야의 회복적 정의에 근거하여 한국교회가 목회의 실천적 적용방안을 다음과 같은 네 가지로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무엇보다 구약성경 제3이사야가 언급한 금식에 대한 목회자들의 올바른 신학적 이해가 선행되어야 한다. 이는 목회자들이 그리스도인들의 영성생활을 올바르게 실천할 수 있도록 돕는 첫 걸음이 될 것이다. 둘째, 한국교회 목회 현장에서 제3이사야가 언급한 금식(기도)는 그리스도인들의 영성생활에 있어서 개인적 차원은 물론 공동체적 차원으로 승화될 수 있도록 안내해주어야 한다. 셋째, 제3이사야의 금식(기도)는 무엇보다 ‘회복적 정의’에 대한 의미를 포함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런 맥락에서 한국교회 그리스도인들의 영성생활에서 행해지는 금식의 실천은 개인의 욕망충족이나 소원성취를 넘어서서 사회구조적 악이나 폐해를 극복하는 적극적 의미의 사회정의를 회복하는 실천으로 승화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넷째, 오늘날 기술과학의 발달에 따라 등장한 미디어사회의 폐해를 극복하기 위하여 제3이사야가 언급한 금식(기도)는 일상생활의 영역에서 그 의미가 확대‧적용되어야 한다. 구체적으로 목회자들은 그리스도인들의 삶에 폐해를 가져오는 미디어 기기의 올바른 사용에 대한 신앙 관점에서 절제와 진정한 친교의 삶을 강조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연구자는 한국교회가 금식의 본래적 의미를 회복하고, 개인적 차원을 넘어 사회적 차원으로 확대되어 실천적 영성으로 거듭나기를 기대해 본다.

‖ 주제어 ‖

제3이사야, 금식, 참 금식, 하나님의 정의, 회복적 정의, 사회적 영성

Abstract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the Tasks of Education

Intahk Oh

Emeritus Professor Yonsei University

This study consists of three parts: the characteristics from the first to the third Industrial Revoluti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the challenges and tasks of the fourth educational revolution. In general, this paper discuss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its challenges to education. The author concludes that countries that actively respond to the industrial revolution will lead the world.

From the first to the third industrial revolution, common characteristics include the use of hydraulic, electric and electro magnetic power and the use of universal technologies for massproduction and commercialization. This resulted in urbanism,

management, standards, alienation, and depersonalizatio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structurally transcends the third Industrial Revolution in its nature and function. While the third Industrial Revolution was active in the process of industrializatio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has entirely digitalized the social life of politics, religion, science, education and art, along with the progression of industry. In this way,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has caused a fundamental changes of all life in form and color. Thus, a computerized society has become the home of education.

The ‘fourth Educational Revolution’, through the influence and expression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s fundamentally renovating the process of education and newly establishes the nature of education. Individual resurrection, a positive education, a new map of learning, holistic learning, and microdegree are viewpoints opening up new horizons in education. The precondition  for  the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the  fourth Educational Revolution is the elimination of regulations and the guarantee of freedom.

‖ Keywords ‖

4th  Industrial  Revolution,  4th  Educational  Revolution,  Positive  education,

Holistic learning, Microdegree

특별 기고

4차 산업혁명과 교육의 과제

오인탁(연세대학교)

intakoh@yonsei.ac.kr

한글 초록

이 논문은 세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1차에서 3차 산업혁명까지의 특징, 4차 산업혁명의 특징과 성격, 4차 교육혁명의 도전과 과제. 전체적으로 이 논문은 4차 산업혁명의 특성 그리고 교육에 주는 도전과 과제를 다루고 있다. 저자는 결론으로 산업혁명에 적극적으로 대응하는 국가가 세계를 선도할 것임을 강조하고 있다. 1차에서 3차 산업혁명까지는 전체적으로 수력, 전기력, 전자기력과 이를 이용한 다양한 범용기술들이 산업계 전반에 가져온 생산의 기계화, 대량화, 자율화 같은 변화가 공통적 특성으로 확인된다. 그리하여 도시 집중, 경영, 표준, 소외, 사물화, 노동, 인권 같은 현상이 경제학과 산업계의 새로운 인식 관심으로 대두되었다, 4차 산업혁명은 그 성격과 기능이 3차 산업혁명을 구조적으로 초월하고 있다. 3차 산업혁명이 산업계 안에서 준동한 반면에, 4차 산업혁명은 산업계를 포함하여 정치, 종교, 학문, 교육, 예술, 등 사회생활 전반을 디지털화하며 이로써 생활의 형태와 색깔의 근본적 변화를 야기하고 있다. 그리하여 켬퓨터화된 사회가 교육의 집이 되었다. ‘4차 교육혁명’은 4차 산업혁명이라는 표현을 딴 것인데, 교육의 본질을 새롭게 정립하면서 교육의 방법을 근본적으로 쇄신하고 있다. 개인의 부활, 긍정의 교육, 새로운 학습의 지도, 전체적 학습, 그리고 micro-degree는 교육의 새로운 지평을 여는 관점들이다. 4차 교육혁명의 성공적 이행의 전제조건은 규제의 철폐와 자유의 보장이다.

‖ 주제어 ‖

4차 산업혁명, 4차 교육혁명, 긍정의 교육, 전체적 학습, microdegree
전체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