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지 초록

기독교교육논총 56집

작성자
wesley4865
작성일
2018-12-30 08:30
조회
3029

Rethinking the Direction of Christian Education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Era


Changho Lim
Professor, Kosin University


The term “4th industrial revolution” has become hugely popular in Korean society, so popular that it now turns up in all aspects of society, including politics, economy, society, religion, education, and culture. It is well known that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s principal impact on life is to make all things faster and more efficient. One might even say that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s the dawn of a new era of hyper-connectivity and hyper-intelligence. Biotechnology, cloud computing, the Internet of things, business platforms, artificial intelligence (AI), self-driving cars, 3D printing, big data, and robotics are among the leading concepts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Korea has already experienced firsthand the shocking potential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when “AlphaGo,” an AI computer program developed by Google affiliate “Deepmind,” defeated Sedol Lee, the world's best Go player, in a 4 (wins) to 1 (loss) Go match in March 2016. Because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will radically alter life at all levels (from individuals and nations to societies and humanity), every field of study must pay close attention to the development of this phenomenon. This research paper attempts to study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from a comprehensive Christian educational perspective, including from the perspectives of churches and Christian schools. It maps various directions that Christian education may develop into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era, with commentary on how the form and substance of Christian education should be rethought and redesigned. The paper discusses, in order, the international reactions to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he contents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its rippling effects,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s effects on education, domestic reactions from Secular and Christian Education circles in Korea, and additional considerations from a Christian Educational perspective. Finally, the paper explores, from a Christian educational perspective, the impact that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has on fundamental aspects of human education, including personality and character, creativity, communication, and cooperation.


‖ Keywords ‖ 4th industrial revolution, artificial intelligence, AI, critical thinking, personality,
character, creativity, communication skills, cooperation skills, Christian education


 

 

4차 산업혁명 시대의 기독교교육 방향성 재고


임창호(고신대학교/교수)
changholim10@gmail.com


4차산업혁명이라는 용어가 최근 들어 한국사회 전반에 걸쳐 폭넓게 통용되고 있다. 정치, 경제, 사회, 종교, 교육, 문화 할 것 없이 이 용어를 언급하지 않는 곳이 없다. 주지하는 바대로 4차산업혁명의 특징은 삶의 대부분 영역을 빠른 속도로 바꾸어 가고 있다는 데 있다. 이를 초연결, 초지능시대의 돌입이라고 칭하기도 한다. 바이오, 클라우드, 사물인터넷, 비즈니스플랫폼, 인공지능(AI), 자율주행자동차, 3D프린트, 빅데이터, 로봇 등이 4차산업혁명 시대를 이끄는 대표적인 개념들이다. 2016년 3월, 딥마인드의 인공지능 알파고가 세계 최고의 바둑기사 이세돌과 대국하여 4대1로 이겼을 때, 이미 4차산업혁명의 충격은 한국땅에서도 경험한 바 있다. 4차산업혁명의 전개가 개인과 사회와, 국가 뿐 아니라 가히 세계와 인류의 삶을 통째로 바꾸어가고 있는 메가톤급 영향을 발휘하고 있다는 점에서 모든 영역이 긴장하며 주목하지 않을 수 없는 것이다.

본 연구는, 이렇듯 요동치고 있는 4차산업혁명 시대의 도전 앞에서, 교회와 기독교학교들을 포함한 모든 기독교교육 현장에서, 기독교교육의 내용과 형식을 어떻게 리디자인해야 할 것인지 고민하면서 그 방향성 제고를 시도한 연구이다. 글의 내용은 4차산업혁명의 현상(국제적 반응, 내용과 파급효과, 과제와 대책), 교육에의 영향, 국내 일반교육학계와 기독교교육학계에서의 반응, 그리고 기독교교육적 관점에서의 고민과 방향성 제고 등을 차례로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4차산업혁명시대 인간교육의 핵심으로 주목되고 있는 인성, 창의성, 소통, 협력 개념을 기독교교육적 관점에서 재조명하였다.

주제어: 4차산업혁명, 인공지능, 비판적 사고, 인성, 창의성, 소통능력, 협력능력, 기독교교육

 

 

The meaning of the Church as a community of interpreters in a posthuman age: Centering on the Peircean community of interpreters


Lee, Eun Kyoung
Research Professor, Methodist Theological University


Human beings can be defined as ‘story-telling’ animals who live through narrative. Story is never a meaningless series or simple repetition. While usually seen as trivial and ordinary, stories, which we as social animals exchange through diverse forms of the discourse of everyday life in reality, constitute the basis of the social and cultural unconsciousness of people and nations. Given that the concrete situations and circumstances of our actual lives are very diverse, complex and multifaceted, one cannot say that this social and cultural unconsciousness can have a simple meaning or an monolithic interpretation. This is part of the reason why people often have difficulty in finding value and meaning among the various stories of life and, even worse, suffer from the vacuum of meaning and value. The semiology by Charles Sanders Peirce, who is one of the founding fathers of American pragmatism or (in his term) pragmaticism, offers certain semiotic implications for the age of the spiritual vacuum and for the coming posthuman age. In particular, the notion of the community of interpreters, which Peirce introduced and Robert S. Corrington developed in his ecstatic naturalism, provides us with a clue to fill the spiritual vacuum and live meaningfully, that cannot be filled by personal healing programs, in the age of the post-humanity. The concepts of ‘interpretant’ and ‘the community of interpreters,’ which are derived from the Peircean semiology, explore the importance of meaning not at a personal level but at social level and show that interpretation begins with storytelling. In this context, the insights from the notion of the community of interpreters offer a chance to unfold meaningful stories and interpretations at the global level from our personal stories. Under such assumptions, this paper will sketch the implications of Peircean semiotics and then explore further implications of the Peircean idea of the community of interpreters, for the posthuman age. Furthermore, this paper will examine the potentiality of the relational community of the multiple. Lastly, this paper will investigate the meaning of the Church, which is the representative organization of a narrative community and one of the communities of interpreters living in the posthuman age. ‖ Keywords ‖ Charles S. Peirce, Robert S. Corrington, Community of Interpreters, the Posthuman, Church


 

 포스트휴먼 시대의 해석자들의 공동체로서 교회의 의미 — 퍼스(Charles S. Peirce)의 해석자들의 공동체를 중심으로


이은경(감리교신학대학교/연구교수)
jjiggu1990@naver.com


인간은 이야기를 통해 살아가는 ‘스토리텔링 애니멀’(storytelling ani-mal)이라 할 수 있다. ‘스토리’(story) 즉, 이야기는 단지 회람되는 무의미한 기표들의 연속이 아니다. 우리가 다양한 삶의 담론 속에서 주고받는 이야기는 사소하고 일상적인 것으로 여겨지기도 하지만, 사실은 이 사소한 이야기들이 우리 민족과 사람들의 문화적, 사회적 무의식을 구성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우리 삶의 구체적인 상황들은 매우 다양하고 복잡하다. 그래서 우리의 문화적, 사회적 무의식이 어느 하나의 의미를 갖는다고 말하거나 획일적으로 해석될 수도 없다. 이런 까닭에 우리 시대 사람들은 다양한 이야기들 속에서 가치와 의미를 찾는데 어려움을 겪을 수밖에 없고, 때로는 의미와 가치의 공백을 겪으며 살아가고 있다. 미국 실용주의 철학의 창시자인 찰스 S. 퍼스(Charles S. Peirce)의 기호학은 바로 이 정신적 공백의 시대와 포스트휴먼 시대를 위한 기호론적  함축성을 우리에게 제공한다. 또한 퍼스의 기호학적 개념을 받아들인 로버트 코링턴(Robert S. Corrington)이 제안하는 ‘해석자들의 공동체’는 스토리텔링 애니멀(storytelling animal)로서의 인간이 개인의 치유만으로는 해결되지 않는 정신적 공백을 메우고, 인간에 대한 새로운 이야기를 쓰기 시작한 인간-이후(Post-human)의 시대를 의미 있게 살아갈 수 있는 대안을 마련하는 데 있어 하나의 단초를 제시한다. 그리고 이러한 통찰은 우리의 이야기에서 시작하여 지구적으로 의미있는 해석과 이야기를 전개할 수 있는 기회 또한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왜냐하면  실용주의자 퍼스에서 유래한 ‘해석체’와 ‘해석자들의 공동체’ 개념은 개인의 차원이 아니라, 사회적 수준에서 ‘의미’의 중요성과 해석이 시작되는 ‘이야기’의 차원이 무엇인지를 보여주기 때문이다. 이러한 전제 하에 본 논문에서는 먼저 퍼스의 기호학이 지닌 의미를 간략히 살펴보고, 여기서 유래한 해석자들의 공동체가 포스트휴먼 시대를 사는 우리에게 주는 통찰과 이후 등장한 관계적, 집합적 공동체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대표적인 이야기 공동체이며, 해석자들의 공동체 중 하나인 교회공동체가 포스트휴먼 시대를 사는 우리에게 주는 의미를 탐구해보고자 한다.

‖ 주제어 ‖
찰스 퍼스, 로버트 코링턴, 해석자들의 공동체, 포스트휴먼, 교회

 

Ecological Environment Problems and Considerations for Childhood Education in the Church


Eun Seung Lee
Professor, Sungkyul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several possible directions in developing childhood ecological environmental education within the Church from a Christian point of view. The ecological problems of our planet is a serious issue that currently affects humans and will continue to affect mankind for the foreseeable future. From the Christian perspective, the overall problem of the environment is a cri-sis of the natural world that God has created; therefore, the Church
should seek to deepen and to expand ecological environmental education, since as the current the ecological crisis is a realistic and serious concern of the Christian community. For Christians, it is a reasonable that the Church must do its part in maintaining the world that God has created. Ecological environmental education is highly appropriate for children because while growing up, they undergo cognitive development as their curiosity and interests with their surroundings unfold. Because personality and sociability are also rapidly developing during childhood, it is a formative period during which children build their Christian faith through imitation, experimental experiences, and activities. When taking these points into account, education regarding stewardship to preserve or to maintain God’s creations should be provided in church. This paper defines inappropriate human perceptions and attitudes regarding the underlying cause of the current environmental crisis. Based on this premise, chapter two deals with the crisis of the ecological systems and the importance of ecological environmental education grounded in the ecological worldview. Chapter three examines the ecological environment from the perspective of creation spirituality and the necessity of developing ecological environmental education for children in church. Chapter four presents the necessary considerations for an effective and efficient implementation of ecological environmental education among children in the Christian community.

‖ Keywords ‖
Ecology, Crisis of ecological environment, Ecological world view, Ecological environment education, Creation spirituality, Childhood Christian education.

 

 

생태환경문제와 교회학교 어린이 신앙교육의 방향


이은성(성결대학교/신학대학/교수)


done2004@hanmail.net


 

오늘날 인간 삶의 실존적 터전인 지구의 생태문제는 현재는 물론 미래 인류의 생존을 위협하는 주요 사안이자 심각한 해결 과제가 되고 있다. 기독교적 측면에서 본다면, 인간에 의해 야기된 생태환경의 총체적 문제는 곧 하나님께서 질서 있게 창조하신 자연세계의 혼돈이자 위기이기도 하다. 그러므로 지금의 위기적 현실에서 하나님의 창조세계로서의 생태환경을 누구보다 앞장서서 잘 보존하고 관리해야 할 교회와 기독교인의 책임 또한 크다. 교회는 먼저 생태환경 문제를 기독교 신앙공동체의 한 현실적 관심사로 인지하고, 지속적이며 체계적으로 이에 대한 교육을 심화 및 확장시켜 나가야 한다. 교회에서 주로 주일학교 연령에 해당되는 어린이들은 주변 환경에 대한 호기심과 관심이 가장 왕성한 시기로서 무엇이든지 알고 싶어 하며 이와 함께 논리적 사고와 인성 및 사회성이 빠르게 형성된다. 또한 주로 모방, 체험적 경험, 활동 등을 통하여 기독교적 삶이 무언인지 학습하면서 신앙의 기초를 세워가는 시기이기도 하다. 따라서 교회는 어린이 신앙교육에서부터 하나님의 창조세계에 대한 청지기적 사명을 잘 감당하기 위한 생태환경교육을 보다 강조하여야 할 필요성이 있다. 아울러 생태환경과 관련된 신앙교육은 어린이가 올바른 기독교 세계관에 기초하여 자신을 둘러싼 모든 환경들을 성찰하고 체험하도록 하는 통전적이며 전인적인 신앙교육이어야 한다. 본 논고에서는 직면한 생태환경의 위기를 인지하면서, 이러한 위기의 근원을 생태환경에 대한 인간 자신의 부적절한 인식과 태도에 있다고 보았다. 1장은 해결과제로서 적절한 생태환경교육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2장에서는 생태환경의 위기와 생태주의적 세계관 및  생태환경교육의 문제를 다루었다. 3장은 기독교적 관점에서 생태환경의 문제와 어린이 신앙교육에서의 연계성을 살펴보았다. 아울러 4장에서는 교회학교 어린이의 신앙교육에서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생태환경교육의 구현을 위하여 필요한 고려사항들은 무엇인지 크게 1) 목적설정, 2) 사역자와 교사의 역할, 3) 내용구성과 방법의 3가지관점에서 그 방향성을 살펴보았다.

주제어 : 생태, 생태환경의 위기, 생태적 세계관, 생태환경교육, 창조영성, 교회 어린이 신앙교육

 

Critical Reflection and Application of James Loder’s Theory of Christian Education: An Approach to the Reconstruction of Middlescence


Kim, Eun Joo
Evangelist, Yoido Full Gospel Church


 

Humans are solitary beings constantly experiencing the unpleasant feeling of ‘void’ and the fear of ‘death’, solitary beings obsessed with achieving a single target - achievement and possession. James E. Loder’s theory needs to be re-examined to deliver true vitality and true humanity to human beings in death and uniformity. Loder gives the answer to human beings who live with “death.” From the perspective of the initial Loder, the area of ‘experience’ was highlighted in the encounter with the ‘Holy.’ In Christian Education, it was difficult to apply Loder’s theory because transformation comes from above. But Loder has made theoretical advances throughout his academic career. Such academic changes are presented by Loder’s unique methodology, which is the method of interdisciplinary research and qualitative dialectic. Loder has a deep insight into the human existence’s ‘void’(death) from a interdisciplinary ethodology.  Starting with Freud’s psychoanalysis, Jung, Piaget, object relation theory and etc, one is provided with insight into each stage of human development. This is called the Interdisciplinary methodology. In addition, the qualitative dialectic can be utilized, a unique methodology in Kierkegaard that describes the moment when finite human existence meets the infinite Spirit of God. Loder uses both the Interdisciplinary and qualitative dialectic methods at the same time. This paper has rearranged Loder’s theories, focusing on the perspectives based on the interpretation of God and the interpretation of human beings. Thus, Loder’s principles and indicators of Christian education are presented and illustrated under each point of view. Next, the area of transformation and development theory are rearranged into areas of development theory, demonstrating Loder’s development theory. There are insights and interpretations as to why God’s presence occurs in infancy, the meaning of the transitional object, the period of Oedipus children as the origin of worship, why school is a task and not a calling, why youth is liberated, what is the true closeness of youth, what is the orientation of middle age, and what is the true maturity of old age at each stage. In each of the eight stages, ‘The Spirit of God’ is connected to ‘the Spirit of mankind.’ To rediscover humanity’s ‘Holy’qualities, it was linked using the qualitative dialectic between ‘human spirit’ and ‘God’s Spirit.’ The theoretical contribution of Loder allows one to approach theories of the conduct of Christian education. Furthermore, this study has applied Loder’s theories to the field of Christian Education in order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uman spirit and God’s Spirit, Loder’s life time work, is considered to provide powerful insights to Christian Education. The conclusion of this paper provides a brief summary of the research stated above and recommendations on the directions of future studies on James E. Loder’s theories.

‖ Keywords ‖
James E. Loder, Interdisciplinary methodology, Kierkegaard, Qualitative dialectic, Theory of human development and transformation.

 

제임스 로더(James E. Loder)의 기독교교육론에 대한 비판적 성찰과 적용 — 중년기 생애의 재구성을 위한 접근


김은주(여의도순복음교회/전도사)
pillarkim@daum.net


인간은 ‘공허’ 즉, ‘죽음’을 안고 살아가는 고독한 존재이다. 고독한 인간은 ‘성취’와 ‘소유’에 집착하고 획일화된 목표를 추구하며 살아가고 있다.  죽음과 획일화된 삶의 이중구속 속에 있는 인간 존재에게 진정한 생기와 참된 인간관을 회복하기 위해 제임스 로더(James E. Loder)의 이론을 재조명할 필요가 있다. 로더는 ‘공허’(죽음)를 안고 살아가는 인간에게 ‘거룩’이라는 답을 제시한다. 초기 로더의 관점에는 ‘거룩’과 만나는 ‘체험’의 영역이 강조되었다. 체험이 위로부터 오는 일방적인 영역이기에 로더의 이론을 기독교교육에 적용하기엔 난해한 입장이었다. 그러나 로더는 학문적인 생애 동안 이론적 발전을 보였다. 체험 이후에 로더는 발달이론의 관점으로 인간의 영을 다루었다. 로더는 인간 존재의 ‘공허’(죽음)를 프로이드의 정신분석을 시작으로 융과 피아제, 상관계이론 외에도 다양한 관점에서 인간발달의 단계마다 깊은 통찰을 제공하였다. 이것이 간학문적 연구방법론이다. 다음으로는 질적 변증법이라는 독특한 방법론이 제시된다. 질적 변증법은 유한한 인간 존재와 무한한 하나님의 영이 만나는 순간을 묘사하는 쇠렌 키에르케고르(Søren Kierkegaard)의 독특한 방법론이다. 로더는 간학문적 연구방법론과 질적 변증법을 동시에 사용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로더의 질적 변증법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로더의 인식론을 하나님 이해와 인간이해의 관점으로 재배열 하였다. 삼위일체 하나님과 유한함과 무한함을 지닌 이중적 인간 존재는 허무(죽음)에서 구원(거룩)을 바라는 4차원의 존재로 묘사된다. 하나님 이해와 인간이해라는 각 관점에 기독교교육의 원리와 지표가 제시된다. 다음으로 체험의 영역과 발달이론의 영역으로 재배열하여 로더가 발달이론을 다루었음을 의도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유아기엔 왜 하나님의 임재가 나타나는지, 걸음마기의 중간상은 무엇을 의미하는지, 오이디푸스 아동의 시기가 왜 예배의 기원이 되는지, 학령기는 왜 일이 아닌 소명을, 청소년기가 되면 왜 영이 해방되는지, 청년기의 진정한 친밀감은 어떻게 형성이 되는지, 중년기의 지향점은 무엇인지, 노년기의 진정한 완성은 무엇인지 단계마다 로더의 독특한 통찰과 해석을 볼 수 있다. 8단계 별로 ‘하나님의 영’과 ‘인간의 영’이 연결되는 것을 보여준다. 이와 같은 단계별 이론은 기독교교육의 행위에 로더의 이론을 구체적으로 적용 가능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논문은‘인간 영’과 ‘하나님 영’의 상관적 이해가 기독교교육현장 가운데 특별한 통찰을 제공해주고 있다고 보고, 로더의 이론을 중년기 기독교교육 현장에 적용한 사례를 소개한다. 결론에서는 논의를 종합하여 요약하고 로더의 연구에 한 앞으로의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 주제어 ‖ 제임스 로더, 간학문적 연구방법론, 질적 변증법, 키에르케고르, 인간발달과 변형.

 

Anthropological Question in Education of ‘To be able to do’


Sang Jin Han
Professor, Chongshin University


After World War Ⅱ, German education has been discussed in various ways concerning the close relationship between anthropology and education. This discussion has been completed using the methodology of anthropological considerations relating to the anthropological education of Schaller and Loch, who were disciples of Bollnow. This study focuses on newly-developed phenomena from the fields of Korean education and Christian education, which were magnified after the 1980’s. Christian education about human nature has non-metrical properties, but the possibility of ‘to be able to do,’ because human nature itself also contains the idea of not being able, is measured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ory and practice. ‘To be able to do’ itself has the duplicity of creative and destructive abilities, so it also shows the limitation of non-metric beings. ‘To be able to do’ should overcome the idea of not being able to do’ and should be found within education, so both of ‘to be able to do’ and not being able to do’ should be magnified as the essence of life to learners. Bollnow emphasizes the impossibility of ‘to be able to do’ and ‘not being able to do’ in education.

‖ Keywords ‖
Bollnow, To be able to do, Anthropology, Education, the Creator, God

 

 

‘할 수 있음’의 교육학에 대한 인간학적 물음


한상진(총신대학교/교수)
sjhan@chongshin.ac.kr


2차 세계대전 이후 독일 교육은 인간학과 교육학의 긴밀한 관계성을 가지고 다양하게 논의되어 왔다. 이러한 논의는 Bollnow를 위시하여 Schaller와 볼르노의 제자 Loch를 중심으로 인간학적 교육학 혹은 교육학에 있어서 인간학적 고찰방법으로 논의되었다. 이러한 연구는 한국 교육학과 기독교교육학 분야에서 새롭게 시도하는 현상들로, 1980년대 이후 부각되어지기 시작하였다. 기독교교육학은 이론과 실천 관계 속에서 인간 본질 자체가 측량할 수 없는 존재로서 할 수 있음의 가능성 자체로 비측량성이다. 할 수 있음 자체는 창조적인 능력과 파괴적인 능력을 동시에 이중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비측량적인 존재로서 한계성을 표현하기도 한다. 할 수 있음은 할 수 없음을 극복하고 가능성을 가져야 하기 때문에 학습자에게는 할 수 있음과 할 수 없음을 동시에 삶의 본질로서 부각되어져야만 한다. 볼르노는 고정되어지고 완결되어진 인간 교육 논의 속에서 할 수 있음과 할 수 없음의 불가능에 대하여 강조하고 있다.
이러한 완결된 인간상이 불가능한 것은 내적인 필연성과 함께 인간 현존재의 자체가 즉 자아가 측정불가능하기 때문이다. 모세를 통해 말씀하신 제2계명은 하나님이 인간에게 완결된 인간상을 적용시킬 때 새로운 의미의 해석을 할 수 있다. 이러한 해석은 인간이 그 자아에 관하여 무엇보다도 엄밀한 자기비판으로서 끊임없이 새롭게 노력하는 가운데 할 수 있음에 절대 형상이라는 우상을 세우지 마라는 요구이기도 하다. 이러한 측면에서 인간은 하나님과의 관계에서 할 수 있음과 할 수 없음의 존재로서 또한 비측량성에 고유성을 가진 존재로서 창조자로부터 교육되어져야만 하는 한계성을 가진 존재이다.

‖ 주제어 ‖
볼르노, 할 수 있음, 인간학, 교육학, 창조자, 하나님

 

 

Christian Education for Preventing Youth Violence : Focusing on Parenting Education and Media Literacy Education


Paik, Eun Mi
Professor, Ewha Womans University


Youth violence is becoming increasingly collectivized and brutalized, and is now seen amongst younger age groups, despite the fact there are various violence prevention programs being implemented with the support of government-level measures to lessen the severity of youth violence. Domestic violence and media violence have significant influence on youth violence, and form the circle of violence. Adolescents who experience domestic violence at home tend to display aggressive behaviors in conflictive situations, and can become insensitive and tolerant towards violent acts. The media continues to influence youth development by exposing younger age groups to violence. Actual violent experiences, including domestic violence, continues to be portrayed in the media. Parenting education and media education are essential in preventing youth violence, given the close correlation between domestic, school, and media violence. Parenting education needs to help parents reflect on the understanding of God, that influences self-understanding as a parent. Parents must learn how to understand and express their own feelings and desires, as well as to understand their children’s feelings and desires. Parenting education also needs to help parents form and understand the meaning and orientation of life based on Christian faith, and such education should to create homes as learning spaces with Christian values. It must educate parents about how to live as a responsible citizen and be a righteous disciple of Jesus Christ who seeks to create a community of peace and life, in opposition to a culture dominated by violence. Media education needs to use media literacy education to encourage teenagers to critically analyze media text and creatively produce new media based on Christian values.

‖ Keywords ‖

Youth violence, Domestic violence, Media violence, Parenting education, Media literacy

 

청소년 폭력 예방을 위한 기독교교육
— 부모교육과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을 중심으로*


 

백은미(이화여자대학교/교수)
empaik@ewha.ac.kr


청소년 폭력의 심각성으로 인해 정부차원의 대책마련과 더불어 각종 폭력 예방 프로그램이 시행되고 있지만, 청소년 폭력은 점차 연령이 낮아지고 집단화, 잔인화, 일상화의 양상을 띠고 있다. 청소년 폭력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이 가정폭력과 미디어 폭력이며, 이 경험이 폭력의 악순환의 고리를 형성한다. 가정폭력을 경험한 청소년은 가정에서부터 폭력을 학습하게 되고, 학습된 폭력은 갈등상황에서 공격적인 폭력행동으로 나타나고 폭력행동에 대해 둔감하고 폭력을 용인하는 태도를 내면화한다. 또한 미디어의 폭력성에 지속적으로 노출되어 공격성이나 폭력성에 영향을 받으면 현실에서도 폭력행동을 나타내기도 하고, 가정폭력을 포함하여 현실의 폭력 피해경험이 미디어상의 폭력성으로 표출되기도 한다.
이처럼 가정폭력, 학교 폭력, 미디어 폭력의 밀접한 상호연관성을 고려할 때, 청소년 폭력 예방을 위한 부모교육과 미디어교육이 시급하다. 먼저 부모교육으로는 부모로서의 자기 이해에 영향을 주는 하나님에 대한 이해를 성찰해보도록 하고, 부모 자신과 자녀의 감정과 욕망을 올바로 이해하고 표현하도록 돕는 교육이 필요하다. 또한 기독교 신앙에 바탕을 둔 삶의 의미와 지향성을 형성하도록 돕고, 가정을 기독교적 가치를 담은 배움의 공간으로 만들 수 있도록 돕는 교육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폭력이 지배하는 문화에 대항해서 평화와 생명존중의 공동체를 만들어 가는 예수의 올바른 제자이자 책임 있는 시민으로 살아가는 길에 대해 교육해야 한다. 다음으로 미디어교육은 보호주의적 접근방식에서 벗어나 청소년들이 기독교적 가치를 토대로 미디어를 비판적으로 분석하고 창조적으로 생산할 수 있도록 하는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이 필요하다.
‖ 주제어 ‖
청소년 폭력, 가정폭력, 미디어 폭력, 부모교육, 미디어 리터러시

 

 

Studies on How Korean Churches Meet the Challenges of an Aged Society


Jung-Hee Kim
Professor, Mokwon University


 

Korea officially became an aged society in 2017. The declining birth rate combined with elder longevity has resulted in rapid population aging. As a corollary, there have been changes in the approach to the issues of an aged population. The elderly, who were considered to be the objects for protection, are now regarded as active participants in society. In an age-differentiated society, the elderly are segregated by age. In an age-integrated society, however, they are given more opportunities to live and work together with individuals of different ages within the society. Though attention to the rapid growth of the elderly population has produced various studies on the issues related to the aging, there has been little focus on age integration. In this study, I suggest age integration as a paradigm for an aged and an super-aged society. I also propose changes in churches that are not prepared for an aged society. This study has the following significance. First, the study discusses the role of the Church in an aged society from the perspective of age integration. Second, in order to meet the challenges of an aged society, this study proposes that the Church should develop more conducive structures for age integration. This study is limited in that it does not explore the action plans and methods to develop an age-integrated church.

‖ Keywords ‖

Ageism, Age-Integration, Aged Society, Age-Integrated Church

 

 

고령사회 진입에 따른 한국교회의 대응방안 연구


김정희(목원대학교/교수)
lalaente@naver.com


한국은 노인인구가 전체 인구 중 10.3%를 차지하면서 고령화 사회로 진입한 지 약 13년이 흐르고 있다. 그리고 약 5년 뒤에 노인인구가 전체 인구 중 14%를 넘게 되면서 고령사회로 진입할 전망이다. 다른 선진국에 비해 빠른 고령화의 현상을 겪고 있는 한국에 있어서 노인문제는 상당히 심각하다. 예를 들어 노인부양 및 보호 문제, 생산연령인구의 감소에 따른 사회경제적 문제, 의료와 연금을 비롯한 사회보장비용 증대 문제 등이 그것이다. 그러나 이 외에도 사회적으로 심각하게 대두되고 있는 것이 있다. 바로 ‘노인 우울증’이다. 노인 우울증의 원인은 네 가지로 나누어 생각할 수 있다. 첫째는 육체적 노화 때문이다. 둘째는 노인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 때문이다. 셋째는 생활환경의 변화 때문이다. 넷째는 사회적 지지가 결핍되었을 때이다. 그렇다면 우리는 이러한 노인의 우울증을 방관하고만 있어야만 하는가? 혹, 노인의 우울증을 해결할 수 있을까? 이에 대한 해답을 찾음에 있어서 본 논문에서는 노인의 우울증과 종교 활동과의 상관관계를 통해 노년 우울증의 해결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주제어 ‖
고령화 사회, 노인의 우울증, 종교 활동, 삶의 만족도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Education Field Practica at the Overseas Mission Schools


Rhee, Eunsill
Professor, Handong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overseas education field practicum program to be conducted at mission schools in developing countries. We review the issues and limitations of the current field practicum, and explore possible approaches to develop the most appropriate program one. Overseas education field practicum is found to be meaningful in that it not only improve student teachers’ teaching skills and instructional competencies of student teachers, but also raise their global awareness and attitude. The Current overseas practicum, however, have faces difficulties such as unclear learning outcomes, a lack of the preparation training for the practicum, and loose connections between the university training and the field teaching. Due to these difficulties, student teachers have not actually experienced what they expected in the during practicum. Also It is also difficult for the universities to know exactly how teaching practicum is actually conducted in at the field. In order to overcome these challenging issues, we propose to take into account seven dimensions of the field education: learning of purpose, field, curriculum, integration, learning evaluation, cooperation, and support. Each dimension is discussed to analyze see how it applies to education field practicum in overseas mission schools. We emphasize, in particular, close communication and linkage between the university and the field school about on what to expect and experience in the practicum. We also suggest an integrative approach of the practicum so that education field practicum includes education service learning, learning coaching, and classroom observation, as well as overseas field practicum.

‖ Keywords ‖
Pre-service education, Overseas teaching practicum, Teacher’s global competencies, Development of teaching practicum

 

 

선교지 학교 교육실습 프로그램 구상에 관한 연구


이은실(한동대학교/교수)
esrhee@handong.edu


본 연구는 개발도상국에 있는 선교지 학교에서 실행할 교육현장실습 프로그램에 대한 구상을 목적으로 하여 먼저 해외 교육현장에서 진행하는 교육현장실습의 이슈와 한계를 검토하고 이를 보완할 해외 교육실습 프로그램 개발과 운영방안을 논의하였다. 해외 교육실습은 예비교사인 실습생들에게 글로벌 의식과 태도를 키울 뿐 아니라 교육환경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다양한 환경 속에서 교수학습능력이나 기술을 향상시킨다는 면에서 매우 의미 있는 교육활동이다. 그러나 교육실습내용의 체계성 부족, 해외 교육실습에 대한 사전교육 부실, 대학과 교육현장과의 연계가 부족한 것이 문제로 지적되었다. 이러한 상황으로 인해 실습생들은 그들이 기대하는 실습과 실제 경험하는 것과의 괴리를 느끼며, 실제 해외 교육현장에서 어떤 실습지도가 이뤄지는지 알 수 없는 ‘방임형 교육실습’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문제를 보완하기 위해서 본 연구는 선교지 교육현장실습을 구상할 때에 현장실습의 목적, 현장, 교육과정, 통합, 학습평가, 협력, 지원이라는 현장연계학습 7차원을 고려할 것을 제안한다. 본문에서는 현장연계학습의 각 차원을 선교지 교육현장실습 상황에 어떻게 적용할 수 있을지 구체적인 접근방안을 탐색하고 논의하였다. 결론에서는 교육현장실습의 목적인 교수역량과 교원역량 함양을 위해서는 다양한 교육현장경험을 종합하는 교육실습, 해외 실습학교 선정을 위한 기독교대학들의 협력, 원활한 실습지도를 위한 대학과 실습학교간의 밀접한 소통과 연계를 강조하였다. 본 연구는 기독교대학에서 선교지 학교를 현장으로 하는 해외 교육실습 프로그램 개발과 운영에 실제적인 도움이 될 것이다.

‖ 주제어 ‖
예비교사교육, 해외 교육현장실습, 선교지 교육, 글로벌 역량, 교육현장실습 개발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Teachers’ Curriculum Understanding and Participation in Korean Christian School: Focusing on the Hope Primary School in Kenya


Im, Kowoon
Lecturer, Seoul Christian University
Kim, Junghyo
Professor, Ewha Womans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understanding of local teachers and their participation in the implementation of school curricula that aim at the educational mission. This study also explores what factors affect a teacher’s understanding of and participation with the curricula. This study chose a primary school in Kenya, one of the sub-Saharan African countries, and conducted a qualitative case study of teachers’ participation in the school curriculum. Research data were collected by semi-structured personal interviews, and by observing the participants’ teaching and educational activitie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ly, the Christian backgrounds and Christian faith were affecting the separated understanding of academics and faith in the curriculum. Secondly, the fact that most of the teachers remained in a ‘Heteronomous and Compromising participation level’ meant that they had no shared understanding with the missionaries on the school curriculum. However, one teacher’s ‘Autonomous participation’ shows that teachers could be a ‘Missional partner’ for the implementation of a Christian curriculum. Thirdly, individual factors and sociocultural factors limit teachers’ understanding and participation in a Christian curriculum. School environment factors, which are characterized by an operator-centered communication system and operator’s administrative interest, did not play a role in mediating the limitations of teachers. Based on these findings, education missional support for local teachers in Korean Christian schools are discussed and explored.

‖ Keywords ‖

Education mission, Christian school, Local teachers, Kenya, Christian curriculum

 

 

해외 한국계 기독교학교 교사들의 교육과정 참여 특성에 관한 연구
— 케냐 희망초등학교를 중심으로


 

임고운(서울기독대학교/강사)
jusarang83@gmail.com
김정효(이화여자대학교/교수)
junghyo@ewha.ac.kr


 

본 연구는 기독교학교를 통한 한국의 해외 교육선교에 관한 연구이다. 본 연구는 해외 한국계 기독교학교 교사들의 교육과정 실행에 대하여 교육학 특히, 기독교교육적인 평가를 통해 교육선교의 효과성 제고에 기여하고자 하는 목적에서 수행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해외 한국계 기독교 학교의 현지인 교사들이 학교교육과정을 어떻게 이해하고 참여하며 왜 그러한 양상을 보이는지 관련 요인들을 탐색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인에 의해 설립된 케냐의 한 초등학교를 선택하였으며, 현지인 교사들의 교육과정 참여를 하나의 사례로 보는 질적 사례 연구 방법으로 수행되었다.
자료 수집은 주로 반 구조화된 개별 심층 면담과 교사들의 수업 및 다양한 교육과정 참여의 모습에 대한 관찰과 문서 수집이 이루어졌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케냐 현지인 교사들의 기독교 문화 배경과 신앙의 영향으로 교사들은 교육과정에 대한 신앙과 학문의 이원화된 이해를 가지고 있었다. 둘째, 대다수의 교사들은 ‘타율적 참여’와 ‘타협적 참여’에 정체되어 있었는데, 이는 교사들이 선교사와 공유된 교육과정 이해를 가지지 못한 채로 교육과정 실행에 참여하고 있음을 의미하였다. 그러나 한 명의 교사가 ‘자율적 참여’로 이행하는 모습을 보인 것은 교사들이 기독교적 교육과정 실행을 위한 선교의 동역자가 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셋째, 교사를 둘러싼 개인 요인과 사회문화 요인이 교사들의 이원화된 교육과정 이해와 참여의 특성을 갖게 하였으며, 운영자 중심의 의사결정체제와 행정가 중심의 운영자 역할이라는 학교환경 요인 역시 이 한계를 중재하고 극복하는 데 미흡한 역할을 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기독교학교를 통한 효과적인 해외 교육선교를 위해서 현지인 교사들을 위한 기독교교육적 지원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함을 논의하였다.

‖ 주제어 ‖
교육선교, 기독교학교, 기독교교육과정, 현지인교사, 케냐

 

Teaching and Learning in Christian Religious Education Using Paul’s Motivation Method


Yoo-Kyoung Ko
Researcher, Research Institute of Christian History Education
Eun-Chul Heo
Professor, Chongshin University


 

In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the name of the subject “Life and Religion” was changed to “Science of Religion,” and the direction of the class also changed from teacher-centered learning to student-centered learning.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changes in Christian private schools’ method of teaching Jesus Christ to students within the framework of the Revised National Curriculum. To this end, we analyzed Paul’s method of Evangelism that appears in the Book of Acts for student-centere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of Christian religious education. Specifically, we offer three motivational methods used by Paul. Paul effectively preached the gospel by motivating people. The first method is to use cognitive dissonance. Paul gave a sermon using a logic familiar to the flow of people’s cognition
and preached Jesus Christ at the end of the sermon naturally. The second method is to motivate people through analogy. Paul presented the target case of Jesus Christ based on a source case in which the audience was already familiar. The third method is customized individualization. Paul determined the disposition of his audience and preached from the needs that each community had; he also used examples that were familiar to the community while preaching the gospel, aiding his individualization method. Such motivational methods of Paul aroused the audience’s curiosity and interest, and people even asked Paul to teach more about the gospel. Through this process, many people came to believe in Jesus Christ. In this paper, we have presented three examples of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by using the motivation induction method, so that it can be used in the Christian religious education classes of Christian private schools. These teaching methods motivate learners to become interested in Jesus Christ and to engage with Christianity.

‖ Keywords ‖
Christian religious education, Science of Religion, Apostle Paul, motivation, Cognitive dissonance, Analogy, Customized individualization.

 

 

바울의 동기유발 방법을 활용한 기독교 교육에서의 교수 ‧ 학습 방안


고유경(기독교역사교육연구소/연구원)
yklove60@naver.com
허은철(총신대학교/교수)
hec03@hanmail.net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기존 ‘생활과 종교’가 ‘종교학’으로 과목명이 변경되었고, 종교학 수업의 방향도 교사 중심에서 학습자 중심으로 변화를 맞이하게 되었다. 그러므로 개정된 교육과정의 틀 안에서 학습자에게 예수 그리스도를 어떻게 전할 것인가에 대한 기독교 사립학교의 수업방법에도 변화가 요구되고 있다. 이를 위해 학습자 중심의 기독교교육 교수 ‧ 학
습 방법으로 사도행전에 나타난 바울의 전도방법을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바울이 활용했던 세 가지 동기유발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바울은 사람들의 동기를 유발하여 복음을 효과적으로 전하였다. 첫 번째는 인지부조화를 활용한 방법이다. 바울은 사람들의 인지의 흐름에 익숙한 논리로 설교하였으며, 설교의 막바지에 자연스럽게 예수 그리스도를 전하였다. 두 번째는 유추를 활용한 동기유발 방법이다. 청중이 가지고 있는 기반사례에 기대어 예수 그리스도라는 표적사례를 제시한 것이다. 세번째 방법은 맞춤형 개별화 방법이다. 바울은 청중의 성향을 파악하여 각각의 청중 공동체가 가지는 필요에서 출발하여 복음을 제시하기도 하였고, 해당 공동체가 가진 익숙한 예시에 착안하여 복음을 전하기도 했다. 이러한 바울의 동기유발 방법은 청중의 호기심과 관심을 가져왔고, 사람들은 바울에게 복음에 대해 더 자세히 알려달라고 요청할 정도였다. 그 과정에서 많은 사람들이 예수 그리스도를 믿게 되었다. 이 글에서는 동기유발 방법을 활용하여 세 가지 교수 ‧ 학습 방법의 사례를 각각 제시함으로써 기독교 사립학교의 종교학 수업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러한 수업방법은 학습자에게 예수 그리스도에 대한 관심을 가지게 하고, 기독교에 대한 흥미를 유발하는 동기가 될 것이다.

‖ 주제어 ‖

기독교교육, 종교학, 사도 바울, 동기유발, 인지부조화, 유추, 맞춤형 개별화.

 

 

Exploring Factors for Developing a Faith Competence Scale for Christian Adolescents


Eun Chul Lee
Professor, Baekseok University
Sun Woo Nam
Pastor, Yulim Presbyterian Church
Seong Ah Lee
Professor, Korean Bible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factors key in the development of faith competence instruments to measure the effectiveness of the Church education programs. We explore competence theory to construct sub – factors. Competence is appropriate to measure the effectiveness of Church education programs. Because competence is enhanced with high academic achievement and a highly competent learner is confident that he can succeed. High self-confidence leads to
high academic achievement. This study integrates and combines faith and competence together and acts as a tool to measure the effectiveness of Church education programs. Faith competence consists of individual internal factors and external environment factors according to the areas where competence appears, as well as emotional, cognitive, and behavioral factors according to activity type. The highest level of competence is composed of 6 sub – factors, and based on this, we defined the competence of the faith as operational.

‖ Keywords ‖

Faith competence, Church Education Activities, Measuring Effectiveness of Church Educational Program, Developing Measuring Tool, Developing Measuring Too of faith competence

 

기독 청소년의 신앙유능감 척도 개발을 위한 구성 요인 탐색


이은철(백석대학교/교수)
lec3918@bu.ac.kr
남선우(열림교회/목사)
calvin21@emapl.com
이성아(한국성서대학교/교수)
babyfish@bible.ac.kr


본 연구는 교회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측정할 수 있는 신앙유능감 척도 개발을 위한 하위 요인을 구성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하위 요인을 구성하기 위해 먼저 일반유능감을 이론적으로 탐색하였다. 일반유능감은 학습자가 학업성취 상황에서 높은 수준의 결과를 얻었을 때 강화되며, 일반유능감이 높은 학습자는 학업상황에서 성공할 수 있다는 높은 수준의 자신감으로 인해 불안 및 게으름이 감소하여 높은 수준의 학업성취를 이끌어낸다. 이에 교회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측정할 수 있는 도구로 사용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신앙과 일반유능감 요인을 복합적으로 통합하였다. 신앙유능감은 유능감이 발현되는 영역에 따라 개인 내적 요인과 외부 환경 요인으로 2요인이 구성되었고, 활동의 유형에 따라 정서, 인지, 행동으로 3요인이 구성되었다. 최종적으로 6개의 하위요인으로 구성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신앙유능감을 조작적으로 정의하였다.

‖ 주제어 ‖

신앙유능감, 교회교육 활동, 교회교육 프로그램 효과성 측정, 측정도구 개발, 신앙유능감 측정도구 개발

 

A Study on the Christian Personality Education for the Restoration of Trust in the Church


Sung, Ho Sook
Lecturer, Chongshin University


 

This study investigates the reasons as to why Korean Church is criticized from the world and intends to find the way for recovering the salt and light of the earth. The causes of problems found within Korean Church are established on the basis of “the public polls for social credibility of Korean Church” which CEMK(Christian Ethics Movement of Korea) took in 2017. The solution for these problems is to recover the image of God by utilizing Christian personality educa
tion through the Ten Commandments. The purpose of Christian personality education is the recovery of the image of God, which may be realized by the restor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God and the world(neighbors). First, the detailed educational contents for the restoration of relationship with God are ‘a devoted life to God,’ ‘a God centered life,’ ‘a life for hailing God’s name,’ and ‘a life for worshiping God.’ The educational methods for achieving restoration are Bible study, QT, partaking of Holy Sacrament, and worship. Meanwhile, the detailed educational contents for the restoration of this relationship with the world are ‘God, the Creator and human, the creation,’ ‘Jesus, the savior and human, the fallen,’ and ‘the Helper Spirit and born-again human.’ Their educational methods are the Bible study, QT, cultivating Christian world view, invitation event for neighbors, missionary work, and volunteer activity. This study will contribute Korean Church not only to come out of self-centered attitudes which assess God’s blessing from expanding congregation, accumulating wealth, decorating externally, and building on a large scale, but also to become born-again as the salt and light of the earth which loves God and the world(neighbors).

‖ Keywords ‖

Christian personality education, the recovery of God’s image, the Ten Commandments, Christian world view, the salt and light of earth.

 

교회의 신뢰 회복을 위한 기독교 인성교육에 관한 연구


 

성호숙(총신대학교/강사)
balbari215@hanmail.net


본 연구는 한국교회가 세상으로부터 비난을 받는 원인을 규명하고, 세상의 소금과 빛으로 회복하는 방안을 모색하는 데에 목적을 두고 있다. 한국교회의 비난받는 원인과 문제점에 대해서는 2017년 기독교윤리실천 운동의 “한국교회의 사회적 신뢰도 여론조사”를 바탕으로 규명하였다. 그 문제점과 원인의 해결방안으로는 십계명을 통한 기독교 인성교육을 실시하여 하나님의 형상을 회복하는 것이다. 하나님의 형상 회복은 기독교 인성교육의 목적으로서 하나님과 세상(이웃)과의 관계회복을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먼저, 하나님과의 관계회복을 위한 세부적인 교육내용은 하나님에 대한 헌신된 삶, 하나님 중심적인 삶, 하나님의 이름을 높이는 삶, 그리고 예배드리는 삶이고 그 교육방법으로는 성경공부, QT, 성만찬 참여, 예배를 들 수 있다. 그리고 세상(이웃)과의 관계회복을 위한 세부적 교육내용으로는 삼위일체 하나님은 어떤 분이신가, 창조주 하나님과 피조물 인간, 구원자 예수님과 타락한 인간, 그리고 보혜사 성령님과 거듭난 인간이며 그 교육방법으로는 성경공부, QT, 기독교 세계관 기르기, 이웃 초청행사, 전도 활동, 봉사활동 등이다. 본 연구를 통하여 한국교회가 교세 확장, 부 축적, 근사한 외적 치장 및 대형신축 등과 같은 것들로 하나님의 축복을 가늠하려는 자기중심적인 태도에서 벗어나 하나님을 사랑하고 이웃을 사랑하는 진정한 세상의 소금과 빛으로 거듭날 것을 기대한다.

‖ 주제어 ‖
기독교 인성교육, 하나님의 형상 회복, 십계명, 기독교 세계관, 세상의 소금과 빛

 
첨부파일 : 논문초록.hwp
전체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