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지 초록

기독교교육논총 47집

작성자
kimjeongjoon
작성일
2016-10-01 13:43
조회
3389
                                                                                     국문초록

 

                                                          21세기 위기사회 속에서의 영성과 기독교교육

 

                                                                           오성주(감리교신학대학교)

 

이글은 21세기의 위기사회를 미래학자들과 인문사회학자들의 시각들, 예를 들면 미래학자로서 레베카 코스타(Rebecca D, Costa), 경제사회학자 리차드 세넷(Richard Sennett), 문예비평가 한병철, 해방신학자인 성정모 등 다양한 학자들을 통해 진단해 보고, 신자유주의 체제의 자본주의로부터 발생하는 위기사회의 모습을 제시하고자 했다. 여기서 위기사회란 신자유주의 자본주의 체제로부터 유래된 분열과 이기심, 두려움과 불안을 조성하는 개인의 내적 인격 장애사회이며, 외향적 소유와 성과중심의 삶으로 경쟁과 차별로 비인간화 되어가는 사회를 말한다. 이러한 사회 원인은 오늘날 현대 과학기술 중심의 지식과 자본주의 지식을 바탕으로 한 성과사회를 지향하는 교육의 결과로 지적하고자 했다. 그리고 그러한 교육의 위기는 영성이 분리된 지나친 지식중심의 교육의 결과로 생명력을 잃어버린 교육으로 보았다. 더 나아가 그 대안을 찾기 위해 다시 참 인간성 회복, 즉 자기 정체성과 소명을 찾아 내면의 깊이로 들어가는 삶으로 인도하는 예수의 가르침을 중심으로 영성과 교육을 관계시켜 전개하는 토마스 머튼과 파커 파머와 같은 기독교 영성가들의 교육론, 즉 기도를 통한 가르침과 영성에서 그 대안으로 삼고자 했다.

‖ 주제어 ‖ 21세기 위험사회, 신자본주의, 비인간화, 두려움, 불안, 우울증, 전인적 자아, 배우는 자아, 영성, 기도

 

                                                                       지역공동체로 나아가는 기독교교육

 

                                                                               김도일(장로회신학대학교)

 

현대는 사회학적으로 볼 때 불확실성, 위험, 소통부재와 고독의 시대이고, 인류문화학적으로 볼 때는 다음세대를 키워내는 마을이 사라진 시대이며, 교회사적으로 볼 때는 교회가 사회로부터 게토화 혹은 분리된 시대이다. 현대 교회는 조직신학적으로 볼 때 모이는 교회, 보이는 교회에 치중하다보니 흩어지는 교회, 보이지 않는 교회의 사명, 즉 하나님의 백성인 교회의 사명 수행은 잘 하지 못했다. 또한 현대 교회는 지역사회의 필요를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여 신뢰를 잃었으며 결과적으로 교회의 수적, 질적 침체를 경험하게 되었다. 총체적인 어려움에 직면해 있는 현대 한국교회가 신앙공동체이면서 동시에 지역공동체로서 존재하는 것은 교회론적으로 볼 때 당위성을 지닌다. 교회는 하나님의 백성이며 하나님의 백성은 지역사회에서 지역공동체로 나아가는 신앙공동체, 생활공동체가 되어야 한다. 이는 기독교교육이 기존의 교회 건물 안 교육을 넘어서서 지역사회로 나아가 가정, 교회, 마을을 통합하는 학습생태계를 만들어야 한다는 말이다. 선교가 하나님의 선교(미시오 데이)인 것처럼, 교육도 역시 하나님의 교육(에듀카치오 데이)인 것이다. 하나님의 교육이 지역공동체 속에서 실현되려면 기독교교육은 신앙인들로 하여금 신앙공동체의 언어와 지역공동체의 언어를 통합적으로 구사할 수 있도록 이중언어교육을 수행하여야 한다. 무엇보다 지역사회에 존재하는 이들을 타자화하고 객체화하여 오직 전도나 섬김의 대상으로만 삼지 말고 그들과 함께 존재함을 인지하는 자세를 견지하여야 한다. 기독교교육이 지역공동체로 나아가려면 디아코니아를 책임으로 인지하는 차원에서 벗어나 공정하고 진정한 환대를 실천해야 하며 예수님이 지상에서 사역하실 때 그랬던 것처럼 마을사람들과 함께 하는 코이노니아 정신을 실천해야 할 것이다. 한국교회는 한때 개인을 구원하고 가정의 부모를 깨우며 마을을 살리고 나라를 일으키는 교회였다. 그때는 교회가 진정한 신앙공동체의 정체성을 갖고 있었고 지역사회의 자랑이었고 신뢰의 대상이었다. 어느덧 비난의 대상이 되어 잃어버린 신뢰를 되찾기 위해서는 교회의 진정한 본질을 회복해야 한다. 하나님의 백성으로 이루어진 교회는 거룩한 신앙공동체이며 동시에 지역 속에 존재하면서 지역사회로 향하는 지역공동체를 이루어나가는 생활공동체가 되어 존재하는 곳에서 하나님의 나라를 이루어 나아가야 할 것이다. 바로 이 하나님의 교육이 실현되는 것을 위하여 기독교교육은 교회로 하여금 지역사회에서 지역사회와 동떨어진 신앙공동체만을 이루는데 주력하는 데에서 벗어나 경계를 허물고 지역사회 속에서 학습, 돌봄, 문화의 지역공동체로 나아가는 교육선교적 사역을 감당하며 공존공생의 정신을 실천하게 하는 구체적인 연구를 계속 수행하여야 한다. 

‖ 주제어 ‖ 교회, 지역공동체, 교회론, 하나님의 교육, 신앙공동체, 생활공동체, 공적언어(이중언어) 교육

 

 

                                                          예수의 비유를 통해 본 비판적 성인학습의 과제

 

                                                                         백은미(이화여자대학교)

 

한국 사회 전반에 걸쳐 도덕적 위기, 사회적 갈등, 위험한 사건들이 일상화되고 있다. 한국교회는 이러한 위기상황에 대한 명확한 인식을 토대로 교회의 공적역할을 모색하고, 구성원들에게 공적신앙을 교육해야 한다. 특히 사회적 위기에 중요한 책임이 있는 성인들이 현실을 비판적으로 성찰하고 공적담론을 형성하여 사회를 변화시킬 수 있도록 돕는 성인교육이 절실히 필요하다. 이 논문은 한국 기독교 성인들을 위한 비판적 성인학습의 필요성을 논하고, 1세기 팔레스타인의 사회적 상황에서 비유를 사용하여 비판적 성인학습의 이상적인 모범을 보여준 예수의 교육방법의 특성을 연구한다. 예수는 비유를 사용하여 일상의 언어와 주제를 가지고 현실 문제에 대해 주체적이고 비판적으로 사고하도록 하고, 대안적인 가치를 추구함으로써 삶을 변화시키도록 도왔다. 예수는 비유를 듣는 사람들이 자신의 모습에 정직하게 대면하여 자기성찰을 하도록 도왔고, 탈인습적 사고와 신앙을 형성하도록 도왔다. 또한 비판적 사회의식을 형성하도록 돕고, 연민과 공감적 연대를 형성하여 공동체적 희망과 실천을 이루도록 도왔다. 이러한 예수의 교육적 특성을 밝혀내어 한국교회의 비판적 성인학습의 과제를 세 가지로 제시하고 있다. 첫째, 한국교회는 성인들이 현실 문제를 공론화하고 비판적으로 성찰하여 공적책임을 수행하도록 하는 학습공동체를 형성해야 한다. 둘째, 비판적 성찰과 공적담론의 주제를 다양하고 효과적으로 선정하기 위해 평신도들이 주도하는 공동연구를 활성화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개인과 사회의 변화를 이끌어내고자 하는 공감적 연대와 사회적 디아코니아를 위한 교육과정을 개발해야 한다.

‖ 주제어 ‖ 예수의 비유, 비판적 성인학습, 공적신앙, 프락시스, 하나님 나라

 

 

                                   생명존중 사회 형성을 위한 기독교교육의 역할 ― 자살 예방 교육을 중심으로

 

                                                                              조은하(목원대학교)

 

한국 사회의 심각한 문제 중 하나는 ‘자살’이다. OECD 국가 최고의 자살률이라는 오명을 가지고 있는 것은 물론이거니와 더욱 심각한 것은 2013년까지 자살률이 감소하지 않고 지속적으로 증가해 왔다는 점이다. 또한 청소년 자살률 역시 OECD 국가 중 최고를 유지하고 있다. 이러한 현실에도 불구하고 대다수의 사람들은 자살이라는 용어를 언급하는 것조차 기피하고 있으며, 이러한 현실 및 사안을 지극히 개인적인 차원의 문제로 인식하고자 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현실 속에서 과연 자살이 개인을 사회적 차원의 문제로 인식하며, 자살 예방을 위하여 사회와 교회, 교육이 해야 하는 역할은 무엇이 되어야 하는가 하는 질문에서 본 연구를 출발한다. 먼저 자살의 원인 및 현상에 대한 다양한 접근―심리학적, 사회학적, 생물학적, 정신의학적, 영적가치관적 등―의 차원에서 살펴보며 특별히 기독교교육적 접근을 위하여 자살에 대한 신학적 이해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오늘 한국 사회의 자살의 현황을 통계청의 통계 분석을 중심으로 성찰하여 자살 예방의 사회학적, 교육학적인 접근의 근거들을 제시하였으며, 또한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자살 예방 활동 등 국내 ․ 외적으로 살펴봄으로서 향후 자살 예방 교육이 가져야 하는 지향점과 보완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러한 현상 분석을 통하여 기독교교육에서 지향해야 하는 자살 예방교육의 궁극적 목표를 생명존중 사회 형성으로 두고 이를 위하여 생명존중 인식의 고양, 자살에 대한 편견 및 선입견 제고, 교회교육 및 신학교육에서 생명보듬 교육 확대, 자살 유가족에 대한 목회적 돌봄 및 치유, 자살예방 교육을 위한 교재 개발 및 전문가 양성, 자살 예방을 위한 사회정책 수립의 공공신학적 관여, 인간 존중을 위한 소통 및 배려, 공감교육 강화 등을 제안한다.

‖ 주제어 ‖ 자살 예방 교육, 생명존중 사회, 생명보듬, 전문가 양성, 공감교육, 공공신학

 

 

                                           고령화 한국 사회와 교회 노인교육의 복지적 접근 및 과제

 

                                                                             이은성(성결대학교)

 

오늘날 한국 사회는 이전에는 경험해 보지 못한 고령사회 및 초고령 사회로의 진입을 앞두면서 개인 및 사회가 긴 노년기에 직면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우리 사회의 대비와 대안들은 여전히 미흡한 실정이다. 적잖은 지금의 노인들은 자신의 노후준비를 해둘 여유가 없었기에 그로인해 파생되는 노인문제는 더욱 심각한 우리사회의 해결과제로 대두되고 있다. 대안 없이 ‘적체되는 노년’으로 인한 사회적 비용은 가중되고 있으며, 사적 ․ 공적 차원의 노인부양에 대한 도덕윤리는 무너지고 있다. 기독교적 관점에서 하나님의 은총의 성취로서의 장수, 즉 평균수명의 연장이 우리 사회와 가족에게 마냥 축복일 수만은 없는 상황이 된 것 이다. 한국 사회의 노인문제는 곧 한국교회의 현재와 미래의 노인사역의 문제이기도 하기에, 노인들을 위한 교회 신앙교육의 사회 복지적 접근은 그들 삶의 현실과 신앙이 성숙과 통합에 이르는 기회를 제공하는 의미있는 한 방편이 될 수 있다는 면에서 결코 간과할 수 없는 교회의 관심사가 되어야 한다. 이런 의미에서 교회는 복지적 차원에서 노인문제에 대한 개념을 바로 정립하여, 그에 따른 체계적인 교육과 프로그램 개발에 관심을 가지고, 고령화되어 가는 세대에서 나타나는 노인의 문제해결에 있어서 책임 있는 한 주체로서 그 역할을 다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지역사회에 위치한 교회가 노인세대의 신앙교육문제를 복지적 차원에서 조명하여 볼 필요성을 인지하며, 먼저 한국 사회의 노인관련 복지실태를 살펴보면서 그들이 당면한 문제가 탐색하여 보았다. 그리고 기독교교육적 측면에서 교회의 물적 ․ 인적 자원들을 활용한 교회 노인교육의 복지적 접근 및 실천 가능성을 모색하여 보았다.

 ‖ 주제어 ‖ 고령화 사회, 노인문제, 노인교육, 복지적 접근, 노인복지, 교회교육과 노인복지

 

 

                                                    하나님의 연민과 인간의 연대: 지역공동체와 기독교여성교육

 

                                                                                    오현선(호남신학대학교)

 

이글은 “지역공동체와 기독교교육”이라는 주제 아래 개최된 2016년 한국기독교교육학회 하계 학술대회에서 발표된 글로서 필자가 관여하는 지역의 기독교교육활동을 소개하고 그 내용을 정리한 글이다. 민중들을 위한 교사였던 예수 그리스도는 거리에서, 광야에서, 회당에서, 또 들에서 그들과 대화와 가르침의 시간을 가지셨다. 예수의 지역은 거리였으며 그의 메시지가 필요한 사람들이 있는 곳이 예수에게는 지역이었다. 하나님의 사랑은 고통받는 자에게 우선적으로 임하시며 그 사랑은 예수 그리스도의 사역가운데 역사적으로 구체화되었다. 하지만 한국교회는 예수의 가르침과 실천방식을 따르기보다는 교회자체의 성장에만 관심을 갖는 방식으로 교육적 사역을 해 왔기에 교회의 위기에 봉착하게 되었다. 이에 비판적이며 문제제기 교육방식만이 아니라 전통적 교회와 예언적 교회를 구분하여 예언적 교회의 교육적 사역을 강조한 파울로 프레이리(Paulo Freire)의 통찰이 한국교회와 기독교교육을 위한 메시지가 될 수 있길 바란다. 이 글에서 현장과 실천을 지향하는 프레이리의 교육사상을 바탕으로, 지역에서 연구자가 함께 연대하여 실행하고 있는 세 가지 내용의 기독교교육의 이야기를 소개하고자 한다. 구체적 내용은 세월호 미수습자 가족 어머니와의 연대, 광주지역 혼인이주여성과 함께하는 부모교육, 지역교회의 여성성도들과 함께 시도하고 있는 여성의 자기이해교육 활동과 그에 대한 기독교교육적 의미를 분석하고자 한다. 기독교교육의 활동주체, 공간, 내용을 성도, 교회, 성서내용에 그치지 않고 지역주민, 지역공간, 성서해석의 차원으로 확장하여 실천하기를 요청하고자 하는 글이다. 지역공동체와 기독교교육의 만남의 자리를 소개하고, 그 가운데 보이는 기독교교육의 의미를 설명하려고 한다.

‖ 주제어 ‖ 파울로 프레이리, 하나님의 연민, 사람의 연대, 지역의 기독교교육 프로그램, 지역과 기독교교육

 

 

                                                  한국교회의 청소년 수련회에 대한 내러티브(narrative) 탐구

 

                                                                                  이현철(고신대학교)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들과 청소년 수련회 사역자들(목회자 포함)이 실제적으로 경험하는 수련회의 과정과 의미를 질적 연구의 내러티브(Narrative) 탐구를 통해 심층적으로 기술하고, 그 속에서 그들이 경험하는 다양한 딜레마와 내용들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FGI(Focus Group Interview)를 바탕으로 심층면담, 내용분석, 보조적 관찰 등의 방법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현장에서 수집된 질적자료들의 경우 질적자료분석 컴퓨터 프로그램(CAQDAS)인 파랑새 2.0을 통해 분석하였다. CAQDAS의 경우 연구자들이 어떻게 면담이 이루어졌으며, 어떠한 질문을 하였는지 그리고 수집된 질적인 자료가 어떻게 분석되었는지를 타당성 있게 확보해줄 수 있어 자료 분석에 있어 효과적인 도구이다. 이를 통해서 다음과 같은 청소년 수련회와 관련된 딜레마와 이슈들을 도출하였다. 첫째, “수련회의 특색이 없어졌습니다.”: 수련회의 본질과 성격의 문제, 둘째, “○○목사님과 ○○찬양팀을 해야 대박”: 스타 강사와 동일한 프로그램의 식상함, 셋째, “왜곡된 힐링과 비전”: 수련회 주제의 세속화, 넷째, “말씀 시간에는 대부분 나가거나 잡니다”: 찬양 중심 집회의 아쉬움, 다섯째, “위엄이 있는 큰 교회와 몇 명 없는 작은 교회”: 수련회 참석 교회 간 양극화 문제, 여섯째, “수련회 처음 온 아이들은 어쩌지요?”: 다양한 구성원들의 신앙적 차이, 일곱째, “신앙적 회복을 위한 몸부림”: 청소년 수련회의 변함없는 의미 등이다. 이러한 현장지향적이며 미시적인 접근을 통해 도출한 내용들은 청소년 수련회와 관련된 내부자적인 인식의 특징이 무엇인지를 밝혀주고 있으며, 해당 상황과 관련된 문제와 딜레마들을 해결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해주고 있어 청소년 수련회에 대한 방향성 제고를 위한 평가와 정책적 시사점에 기여하고 있다.

‖ 주제어 ‖ 한국교회, 청소년, 청소년 수련회, 기독교교육, 교회학교, 내러티브

 

 

                                                       교사의 다문화 역량과 탈북청소년 대상 기독교대안교육

 

                                                                                  최성훈(한세대학교)

 

 본 연구는 탈북청소년 대상 교육을 담당하는 기독교대안학교 교사진의 다문화 역량을 점검하고, 이를 제고할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기독교대안학교 3개교의 교사 12명을 대상으로 반구조화된(semi-structured) 질문을 이용한 심층면접을 진행하였고, 질적분석 프로그램인 NVivo11을 사용하여 심층면접의 내용을 분석하였다. 탈북청소년 대상 기독교 대안학교에 근무하는 교사들은 신앙에 기초한 사랑과 긍휼의 정신이 교사로서의 사명과 연계되는 모습을 보였다. 교사들은 탈북청소년들이 겪는 적응과정의 어려움과 탈북과정에서 발생한 교육결손으로 인한 학습장애 요인들에 대한 파악을 기반으로 그들이 장기적인 관점에서 사회적응뿐만 아니라 통일시대를 선도하는 일꾼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사랑과 헌신의 교육을 수행하고 있었다. 이는 탈북청소년 대상 교육이 가정의 돌봄의 기능까지 제공하는 포괄적인 성격을 지님을 드러내며, 성별과 연령, 출신지역 및 탈북경로 등에 따른 탈북청소년 집단 내부의 다양성을 반영한 맞춤식 교육과정의 운영 또한 교사들이 견지하는 기독교적 사랑에 기반하고 있었다. 교사진의 그러한 인식과 교육실천은 그들이 남한의 공교육을 받는 다수의 학생들과 탈북 청소년이라는 소수집단 사이에서 상호이해와 반편견, 그리고 평등을 강조하는 다문화 역량을 발휘하고 있음을 드러낸다. 남한의 북한이해를 증진시키고, 통일 이후에 남과 북을 모두 이해하는 전문가로서 사회통합을 이루어낼 수 있는 탈북청소년 교육의 중요성을 고려할 때, 탈북청소년 대상으로 특화된 교육과정 및 교수학습법, 교원 양성의 수단에 대하여 본 연구는 무엇보다도 탈북청소년 대상 교육에 대한 인식제고 및 재정확충을 통해 장기적 관점에서 교육이 이루어져야 함을 강조하며, 교사에 대한 지원 역시 탈북청소년 교육에 대한 인식제고와 더불어 장기적 관점에서 이루어져야 함을 제안한다.

‖ 주제어 ‖ 교사의 다문화 역량, 탈북청소년, 기독교 대안교육, 다문화교육, 통일교육

 

 

                                     국가직무능력표준(NCS)에 따른 기독교사립대학 인성교육교재 개발

                                                                          및 효과성에 대한 연구

 

                                                                        이종민 ‧ 이혜영(신안산대학교)

 

오늘날 우리사회는 지식기반의 정보화 사회를 맞이하면서 능력중심의 인재개발에 대한 필요성이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는 사회이다. 특별히 기독교사립대학 내에서 운영되고 있는 교양과 필수과목인 ‘인성 및 직업윤리’와 관련하여 교재를 개발하고 그 효과성을 검증함으로써, 보다 나은 교육을 시행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먼저 ‘인성 및 직업윤리’ 과목에 대한 교재 개발 과정에서 사용된 이론적 배경을 소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먼저 역량기반교육의 특성을 분석함으로써 직업윤리교육의 방향성인 지식지향교육, 기술지향교육 그리고 능력지향교육의 의미를 제시하였다. 다음으로 국가직무능력표준의 교육내용을 분석함으로써 직업기초능력에 대한 표준화된 학습모듈의 효과를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인성교육에 대한 문헌조사를 바탕으로 하여 직업윤리교육의 내용과 기독교사립대학에서의 직업윤리교육의 기초를 제시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문헌 연구를 기초하여 기독교사립대학에서 사용하게 될 ‘인성 및 직업윤리’ 과목을 위한 교재 개발 과정을 소개하였다. 그 다음에 2015학년도 2학기에 사용 중인 ‘인성 및 직업윤리’교재의 효과성과 관련하여 대학생들의 인성 및 직업윤리에 대한 인식실태를 통제집단과 실험집단을 대상으로 사전․ 사후테스트를 통해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표준화 된 교재의 개발과 사용이 대학생들의 직업윤리의식에 있어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후속 연구를 통하여 기독교사립대학의 특성에 맞는 인성교육의 기초와 실제적인 프로그램에 대한 계속적인 계발이 절실히 요구되는 바이다.

 ‖ 주제어 ‖ 국가직무능력표준(NCS), 직업기초능력, 역량기반교육, 인성교육, 직업윤리교육, 학습모듈, 효과성

 

 

                                                             교육의 장(場)으로서 공동식사의 함의(含意)

                                                            ― 성서적, 역사적, 문화적 의미를 중심으로

 

                                                                              양승준(협성대학교)

 

많은 교회에서 공동식사를 행하고 있다. 공동식사의 자리는 삶과 신앙을 위해 의미를 추구하며 경험할 수 있는 교육의 자리임에도 대부분의 공동식사가 형식적이고 피상적인 한 끼 식사에 그치고 있다. 본 논문은 성서적, 역사적, 문화적인 탐구를 통해 공동식사에 나타난 의미와 요소를 살펴보고 도출하면서 현대 교회의 공동식사를 갱신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성서적 이해로써 구약의 식사는 하나님의 돌보심과 공급하심을 드러낸다. 또한 유월절 식사는 하나님의 현존 안에서 공동체의 상호교제와 평등주의의 지향, 사회적 약자들을 위한 나눔의 확장이 표출되었다. 신약의 식탁교제에서는 교제, 예배, 만남, 기쁨, 환대, 구원의 과정, 개방성, 경계 허물기가 나타났다. 둘째 역사적 이해로써 초대교회 아가페 식사는 사랑을 증진하며 가난을 위로하고 겸손을 훈련하는 교제와 연합의 식사였다. 그리고 모라비안의 애찬회는 유대관계 ― 화합, 친절, 친화성과 더불어 지난 일을 용서하고 다른 이들을 더욱 사랑하기 위한 연합과 사랑이 핵심이었다. 초기감리교도들의 애찬회는 자유와 평등과 친밀한 형제애를 경험했으며, 마음 뜨거운 사랑의 교제와 자유로운 간증을 통해 회심을 경험하기도 하였다. 셋째, 한국문화적 이해로써 밥과 식사에 나타난 식구(食口), 평화(平和) 등의 의미를 탐구하며, 밥상공동체에 담긴 잔치와 축제, 성찬에서 성매로써의 영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같은 다양한 이해와 의미추구를 통해 현대의 공동식사의 자리를 사랑과 교제를 나누며 연대하고, 경험과 의미를 통해 신앙을 형성하며, 피조물로서 정의와 평화를 실천하고 생태적 문제와 환경을 위한 의도적인 교육의 장(場)으로 갱신할 수 있는 대안을 모색하였다.

‖ 주제어 ‖ 공동식사, 유월절 식사, 식탁교제, 아가페 식사, 애찬회, 밥상공동체

 

 

                                          성인 기독교통일교육 프로그램의 모형 개발 ― 상황학습이론을 기반으로

 

                                                                          안중회(아세아연합신학대학교)

 

 본 연구는 기독교통일교육(Christian Education for reunification)의 영역에서 성인에게 적합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모색하고 있다. 성인 기독교통일교육은 그 필요에 대한 인식은 있으나 실천적 차원에서 두드러지는 교육 프로그램을 발견하기가 쉽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성인교육(Adult learning)과 실천중심(Learning Centered)의 학습에서 이론적 기반이 되는 상황학습이론(Situated Learning Theory)을 적용한 성인 기독교통일교육 프로그램의 모형을 구성하는 것이다. 연구방법으로는 성인 기독교통일교육의 프로그램 모형의 방향을 제시하기 위한 문헌 연구가 기반이다. 이에 따라, 향후 연구의 틀을 제공함으로서 성인 기독교통일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방법론적 근거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우선, 성인기독교교육(Adult Christian learning)의 영역으로서 통일교육의 필요성을 고찰한다. 그 동안의 연구들에 대한 문헌을 고찰하여, 성인 기독교통일교육의 바람직한 방향을 정립한다. 두 번째로, 성인 기독교통일교육의 이론적 배경으로 상황학습이론의 타당성과 적용을 모색한다. 그래서 성인학습이론으로서 상황학습이론이 통일교육의 이론적 기반이 될 수 있음을 제시한다. 세 번째로, 기존에 있는 상황학습이론의 배경 혹은 적용으로 볼 수 있는 성인 통일교육프로그램을 살펴봄으로서 성인 기독교통일교육의 프로그램의 실천을 탐색한다. 마지막으로 성인 기독교통일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측면에서 적합한 모형을 제안한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성인교육학적 접근방법으로서 상황학습이론을 적용한 성인 기독교통일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의 목적이다. 따라서 그 방법으로 통일사회를 미리 경험할 수 있는 곳으로서 탈북민 공동체를 주목하고 있다. 그 결과, 본 연구는 상황학습이론의 적용으로 탈북민 공동체(North Korean Refugees community)에 참여를 중심으로 프로그램 개발 모형을 제시한다. 그러므로 성인 기독교통일교육 프로그램은 성인 기독교인이 탈북민 신앙공동체(North Korean refugee Church Community)에 참여함으로 통일사회(unified Korea)를 가정한 선행적 통일사회를 경험하는 학습방법으로서 성인 기독교통일교육 프로그램 모형 개발에 접근하고 있다.

‖ 주제어 ‖ 프로그램 개발, 성인기독교교육, 통일교육, 성인 기독교통일교육, 상황학습이론,  탈북민, 성인교육

 

 

                                                                                           ABSTRACT

 

                                             Spirituality and Christian Education in the 21st Century Risk Society

                                                                                    Sung-joo Oh 

                                                                   Methodist Theological University

This article is an approach to the necessity and relationship of spirituality and education in the 21st century risk society. It begins with several arguments about the perspective on 21st century risk society as mentioned by futurists and human sociologists such as futurist Rebeca D. Costa, sociologist Richard Sennett, literary critic Byungcheol Han, and liberation theologian Jungmo Sung. From those perspectives, it is said that the cause of the risk society stems from the problems of neo-liberalistic capitalism which creates not only segregation, selfishness, fearfulness and anxiety in personal life, but also competition, discrimination and dehumanization in the social life. The author argues that its results are from education separated from spirituality. Modern education has stressed selfish possession and individualistic ability based on both capitalistic and scientific knowledge. The primary resource is from education. As spiritualists and educators, both Thomas Merton and Park J. Palmer are also introduced in this article and focused on an educational approach to spirituality and education by/through prayer. It is a true self that we help people seek in our dehumanized society which emphasizes the one-sided or separated understanding of self. Accordingly, this article concludes with a suggestion on the necessity of and relationship between spirituality and education for getting or recovering the wholistic self by/through prayer in the 21st century risk society.

‖ Keywords ‖ 21st Century Risk Society, Neo-capitialism, Dehumanization, Fear, Anxiety, Depressive disorder, Wholistic self, Learning self, Spirituality, Prayer

 

 

                                                                   “Educatio Dei” in and with Local Communities

 

                                                                                                  Doil Kim

                                                                 Presbyterian University and Theological Seminary

 

This article is a culmination of research on the role/essence of church and Christian education in relation to local community. According to sociological perspectives our modern era is characterized by uncertainty, perennial danger, absence of communication, and absolute loneliness. It also fails to keep healthy communities (마을: maeul) in which future generations can grow as it incubates according to anthropological perspectives. In addition, our modern era is one in which churches have been isolated from communities and have become ghettos in recent Korean history. Modern churches which focused on the Ecclesia visibilis and Ecclesia of gathering too much seemed to have failed to be the Ecclesia invisibilis and Ecclesia of scattering into the communities. How can we take part in healing this modern society? Can the church cure this sick society? With these kinds of quests in mind this research had begun. Church is the body of Christ and is not a building or the system itself although such are important elements. The church, being the people of God, did not figure out the needs of local communities in general and lost its trust in society. As a result the church is experiencing stagnation both in quantity and quality. Churches in Korea need to realize that they are a faith community not apart from communities but coexisting with local communities as well. The role of Christian education for the church is to let the church (people of God) realize its role and reason for being the church in the local community. The church needs to be not only the faith community but to go beyond the boundaries of faith community and become the life community in local areas. It means that Christian education must not be limited to the inside of a church builidng. Christian education needs to go beyond its building and create a learning ecosystem that embraces families, churches, and local communities. If the mission of the church is in essence the mission of God(Missio Dei), then the education of the church is also the education of God(Educatio Dei). This means that although it seems that humans perform all kinds of education for God’s creation, it is God in fact that carries out education. If this education of God is fulfilled in local areas, then Christian education needs to focus on educating the church to be equipped with the language of both the faith and local communities — this is called a bilingual education. The church must not regard people who exist outside of faith community as objects of evangelization. In fact the church exists in local communities and is part of them. Moreover, God so loved the “world” (cosmos) and gave His only begotten Son for all people, not just the people who are inside the faith community. For many years the church and Christian education felt their responsibility was to only spread the Gospel and serve the community(spirit of diakonia). But the church needs to overcome this attitude of “help” and be able to coexist with people in local areas(spirit of koinonia). There was a time when churches in Korea played the role of saving individuals, awakening parents, and reviving both communities and the nation with the spirit of the Gospel. In the early 20th century, the church had its healthy identity in balance and was the symbol of pride for the local people. However it eventually became a target of criticism as it lost its trust from society. The church needs its trust back from society which will only be possible when it restores its true essence and identity as the church of Christ. In order to regain society’s trust the church, as God’s people in local communities, must be the life community and be an example of true believers with its words and actions in local communities. Therefore in order for the church to become not only a community of faith but be a community of local areas as well, Christian education must help the church see the importance of being the church in the local community not apart from the community. In so doing, Christian education needs to break down the wall in between faith and local community. Christian educators need to form the spirit of coexisting by teaching the church to feel the needs of local communities and making the church be the place of learning, caring, and loving in these communities; the church that pursues the education of God in and with the world.

‖ Keywords ‖ essence of church, local communities, theology of church, Educatio Dei, faith community, life community of faith, public language (bilingual) education

 

 

                                                  Jesus’ Teaching Method by Using Parables and the Tasks

                                                                           of Critical Adult Learning

 

                                                                                             Eun Mi Paik

                                                                                   Ewha Womans University

 

Korean society has lost many important social values during the period of rapid economic growth and industrialization, leading to the formation of a society focused on materialistic ideals. Christian churches have also underlined the importance of material blessings from God, and sought to become megachurches. It is extremely difficult for anyone to avoid the influence of this significantly corrupt structure and the consequences of its existence in both Korean society and the church. The need for critical pedagogy within Christian adults has become urgent, as it is now imperative that individuals become aware of the aforementioned crisis. Christian adults must be educated on how to interpret and analyze the crisis, participate in various critical discourse about the crisis, and help transform socie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important tasks of critical adult learning, by studying Jesus’ parables which are ideal models of critical pedagogy for Christian adults. I will study a number of critical theories within this field, with a particular focus on theories influenced by Paulo Freire and Jürgen Habermas, to better understand the theory of Christian adult learning. Also, I will investigate the literary criticism of John Dominic Crossan and Bernard B. Scott, and the social-scientific criticism of William Herzog to better study Jesus’ parables. This study points out five characteristics of Jesus’ teaching that used parables. First, Jesus helped adults have opportunities for self-reflection through self-confrontation. Second, Jesus challenged conventional beliefs and systems, and encouraged adults to develop post-conventional thinking and faith. Third, Jesus encouraged people to critically analyze personal problems in their social contexts. Fourth, Jesus awakened people’s numbness of other’s suffering, and empowered them to foster compassion and empathetic solidarity. Finally, Jesus showed the vision of the Kingdom of God and urged people to participate in transformative activities. Based on important insights from Jesus’ educational methods shown in the parables, I suggest three tasks of critical learning for Christian adults. First, the church needs to make an effort to form learning communities for public faith. Second, Christian adults need to participate in project groups in order to find and clarify social issues for critical reflection and public discourse. Third, Christian education should empower adults to foster empathetic solidarity and practice social diakonia

‖ Keywords ‖ parable of Jesus, Critical adult learning, Public faith, Praxis, Kingdom of God

 

 

                                           Role of Christian Education in Forming the Life Respecting Society:

                                                                Promoting Suicide Prevention Program

 

                                                                                          Eun Ha Cho

                                                                                    MokWon University

 

Suicide has become one of the most serious problems in Korean society. Unfortunately, Korea has the worst suicide rate on record in the developed world, which has increased continuously from 2000 to 2013. Not only that, the suicide rate of young people is also the highest among OECD countries. But even within the harsh reality of this growing problem, many people do not want to mention the word “suicide”, and tend to regard this social phenomenon as an individual problem. Therefore, this research starts with questions such as: how can the problem of suicide be understood as social problem? And, what should be the role of society, church, and education in order to prevent this phenomenon of continual suicidal attempts? This research looks at suicide from psychological, social, biological, psycho-medical, and spiritual perspectives. In addition, it looks at suicide from a theological perspective in order to find solutions according to Christian educational point of views. In doing so, the data and statistics of suicide in Korean society are evaluated in order to suggest theoretical rationales for sociological and educational approaches. Overall, this research attempts to provide more comprehensive solutions to develop suicide prevention programs by giving attention to current prevention programs both in Korean society and abroad. Through this analysis of reality, this research seeks to find ideas and develop an understanding that will help Christian education promote the ultimate purpose of creating suicide prevention programs. In this paper, the promotion of respecting life and elimination of misunderstandings concerning suicide and mental illness will be pursued. Also suggested is the expansion of life-embracing education, pastoral care, recovery programs for the bereaved, development of training curriculum, providing of training experts, establishing social policy in terms of public intervention, communication of care and respect for one another, and empathy education.

‖ Keywords ‖ Suicide, Life-embracing education, Training experts, Social policy, Empathy education

 

 

                                            Aging Korean Society and a Welfare Approach to Church Senior Education

 

                                                                                       Eun Seung Lee

                                                                                   Sungkyul University

 

This study explores a number of potential avenues to address the problems commonly associated with church elderly through church senior education. Korea has already become an ‘aging society’ in 2000 with 7.2% of the aged populace being older than 65. With its speedy aging rate, Korea is expected to be an ‘aged society’ with a 14.3% over-65 rate in 2018, and a ‘super-aged society’ of 20.8% in 2026. The life spans of the elderly are getting longer, and welfare demands are becoming more varied and complicated. Consequently, the problems of the elderly grow in importance as a social phenomenon. Korean society has witnessed the growing spread of serious social problems related to age such as disease, poverty, loss of roles, and solitude and isolation, problems exacerbated by rapid social change caused by the development of the nuclear family,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The problems of the aged are beyond the scope of the individual or the family, but increasingly should be addressed by the community and national government. It should be noted, however, that the Korean social security system has not yet fully developed to deal with these problems properly. Based on these concerns, this study first examines the problem of the elderly and goes on to discuss the need of senior education in relation to social welfare in the church and considers what possible benefits are obtained by this senior education in aging society.

‖ Keywords ‖ Aging society, Senior welfare, Senior education, Welfare approach, Senior welfare Church education and senior welfare


 

 

                                           God’s Compassion and People’s Solidarity: The Local Community


                                                                      and Christian Female Education


 

                                                                                       Hyun Sun Oh

                                                            Honam Theological University and Seminary

 

This article is written for my presentation to ‘The Korean Society of Christian Religious Education’ in the summer conference of 2016. The theme of the conference was “Local Community and Christian Education”, so I have decided to write an article on my three educational activities related with women in Gwangju, where I am living and working as a pastor and Christian educator. In my opinion, as a teacher, Jesus Christ had time for dialogue and teaching in the street, synagogue, field and mountains with marginalized people. God’s primary love is shown to the people who are in various types of suffering and through the ministries of Jesus Christ in very concrete ways. However, Korean Christian churches have not followed his teachings and ways of practical ministries, instead focusing their interests in the Church growing for several decades. I hope that Korean churches can listen to messages from Paulo Freire, who taught the importance of not only critical pedagogy but also the role of prophetic educational ministries. I have introduced three Christian educational activities with women in the local level which I have engaged as a Christian teacher and as an ordained pastor from the perspective of Freire, who insists on contextual education and praxis. These three practical communal educational programs are: solidarity with mothers of the lost students of the Sewol ferry ship, parenting education with migrant women in Gwangju, and a self reflection program with female Christian members in a local church named ‘Didache Table’ in Gwangju. I have written the contents of these three programs and tried a dialogue utilizing the educational views of Paulo Freire. Christian education should enlarge its conceptual engagement of subject, content, and space from the congregation members, Bible stories, and local churches to local people, theological interpretation of Christian faith, and the local spaces.


‖ Keywords ‖ Paulo Freire, God’s Compassion, People’s Solidarity, Local Christian Education Programs, Locality and Christian Education


 


 


                                      The Narrative Inquiry on Youth Retreat of Korean Protestant Churches


 


                                                                                      Hyunchul Lee


                                                                                    Kosin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the narrative of youth retreats in the Korean church.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can lead us to understand the inner reality of youth retreats or cultures of youth retreats, and the interaction between students, ministries, church school teachers, and administrators of mission agencies in the complicated Korean churches. To achieve the goal of this research, a total of 20 research participants (Male: 13, Female: 7) were selected. They have many experiences within youth retreats in their churches or mission agencies. This study is a conducted Focus Group Interview(FGI) with students, ministries, church school teachers, and administrators of mission agencies. The qualitative materials that emerged as data points from in-depth interviews, field notes and observations have been analyzed by Blue Bird 2.0, which is a form of CAQDAS(Computer-Aided Qualitative Data Analysis Software). Blue Bird 2.0 has been developed by re searchers in Korea, which is focused on Korean userfriendliness. The program provides clear data analysis with regards to how they interview, how they question the participants and how they analyze the qualitative materials. The research results present the narrative of the 20 participants. Based on these narratives, I identified the insider’s perspectives and dilemmas commonly present within youth retreats in the Korean church. These critical factors include dilemmas on the nature of the youth retreat in churches, duplicate programs and lecturers, secularization of retreat themes, illusions within praise time in youth retreat, polarization of the church members that attend a retreat, various characteristics of the participants, and the unwavering meaning of youth retreat in church.


 


‖ Keywords ‖ Korean Church, Youth, Youth Retreat, Christian Education, Church School,  Narrative


 


 


The Multicultural Competence of Teachers and Christian Alternative Education


for North Korean Adolescent Refugees


 


Sung Hoon Choi 


Hansei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ulticultural competence of teachers at Christian alternative schools that educate North Korean adolescent refugees, and to propose ways to enhance their education. In pursuit of this goal, the study engaged in qualitative research and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12 teachers who work for Christian alternative schools with more than one year of experience with North Korean adolescent refugee students’ education. The study analyzed the perceived identity of alternative school teachers, their understanding of the needs of North Korean adolescent refugees, the multicultural competence of teachers in terms of curriculum and teaching methodology, and suggestions for specialized education for teachers. The findings indicate that teachers’ identities as Christians who seek to love and take care of people in need is closely related to their educational ability with regards to North Korean refugee adolescent students in the following ways: Teachers at Christian alternative schools understand the suffering experiences of their students, their specific educational needs based on the diverse background of the student body, and provide them with a hospitable learning environment as not only teachers but also as pseudo-parents. Teachers in this study also understand the importance of education for North Korean refugee adolescents from the long-term viewpoint since they have experiences with both South and North Koreans and thus will be an asset for the unification of Korea. This study suggests raising awareness for the importance of education for both teachers and North Korean adolescent refugees and claims that integrated support for them should be continued.


‖ Keywords ‖ Multicultural competence of teachers, North Korean refugee adolescents, Christian alternative education, Multicultural education, Unification education


 

 

Study on the Material Development of the Private Christian University for Character Education


Based on the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and its Effectiveness


 


Jongmin Lee ‧ Helen Kang


Shin Ansan University


 

Today’s society is celebrating a knowledge-based information society. As a result, the need for competency-based human resource development is desperately increased. In particular, the private Christian university needs to develop a curriculum for “Character and Work Ethic” as required courses in the Department of General Education. By developing teaching material for character and work ethic and verifying their effectiveness, the private Christian university can increase its quality of education as a whole. Therefore, the first part of this study is to introduce the theoretical background used in the materials development process for the course of ‘Character and Work Ethic.’ The second part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the new materials for character and work ethic and to investigate the students’ recognition of character and work ethic through pre and post educational testing in relation to the effectiveness of teaching materials used for the second semester 2015.

‖ Keywords ‖ National Competency Standard(NCS), Basic vocational skills, Competency-based education, Character education, Professional ethics education, Learning modules, Effectiveness

 

The Common Meal Implications As an Educational Venue:


Based on Significance of Biblical, Historical and Cultural Korea


 

 

Seung Joon Yang 


Hyupsung University


 

A number of churches give a common meal in order to make congregants participate actively in ministry. A common meal is in educational venue in which people share meaningful experiences in their personal and religious lives. Unfortunately, such a love feast in the church is turning to a superficial and perfunctory meal. This paper seeks measures to renew a common meal by investigating biblical, historical, and cultural factors and meanings of a feast at church. From a biblical perspective, first, a meal at Passover in the Old Testament pursued intercommunion, egalitarianism, and consideration of social minorities. In the New Testament, it is evident that sharing a meal demonstrated fellowship, worship, meeting, joy, welcoming, salvation, openness, and breaking walls. Second, From a historical understanding, Agape feast in early churches were identical with communion and reunion through which believers could practice love, comfort the poor, and learn to be humble. In addition. a love feast in Moravian stressed love and solidarity so that members could forgive and love one another in the presence of reconciliation, kindness, and affinity. Early Methodists’s love feast in sharing meals experienced liberation, equality, and brotherly affection. In particular, they went through religious conversion through heartwarming love fellowship and voluntary testimony. In Korean culture, third, sharing meals implies the meaning of family and peace. “식구(食口),” which means family in Korean, refers to people who eat the same meal and “평화(平和),” which means peace in Korean, derives from sharing the equal meal. Furthermore, the Korean dining table community reveals the spirit of a banquet, a festival, and a holy medium. Based on these various understandings of sharing a meal as related above, it seeks for measures to transform a love feast at church into a space in which people can be reunited in love and fellowship, form their faith through meaning-making, practice justice and peace as their duty, and discuss ecological and environmental problems.

‖ Keywords ‖ Common meal, Meal of Passover, Dining table communion, Agape meal, Love feast, Table community

 

 

Development of Adult Christian Education Program Models


for reunification: Based on Situated Learning Theory 


 


Joong-Hoe An


Asia United Theological University


 

This study pursues the development of proper educational programs for adults in the field of "Christian education for reunification". While there has been recognition of the need for Adult Christian Education for reunification, it has not been easy finding the proper educational program in terms of practi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suitable program model for Adult Christian Education for reunification based on Situated Learning Theory, which provides the theoretical ground for Adult Learning and Practical Learning. The method of research is to review and analyze the relevant materials and documents about Adult Christian Education for reunification. Accordingly, this research aims to provide a methodological framework for the program model for Education for Unification. First, we contemplate the need for Education for Unification in the field of Adult Christian learning, and analyze the existing studies and materials in order to set the proper direction for Adult Christian Education for Unification. Second, we seek out the justification and application of the Situated Learning Theory as a base for Adult Christian Education for reunification, and to prove that Situated Learning Theory can be the theoretical base for Adult Christian Education for reunification. Third, we select and examine the existing programs which can be seen as an application of Situated Learning Theory, and to ascertain their effects as to Adult Christian Education for reunification. Lastly, we propose a proper model for the development of a program for Adult Christian Education for reunification. In conclus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program based on Situated Learning Theory for Adult Christian Education for Unification in terms of Adult Education study. By extension of this study, I paid attention to the North Korean refugees community. Based on these findings, I propose a program development model based on Situated Learning Theory whereby the learners actually join the North Korean Refugees community. As per the program of Adult Christian Education for Unification, adult Christians join the community to supposedly experience the unified Korea in advance, which approaches the development of the model for Adult Christian Education for reunification.

‖ Keywords ‖ Program Development, Adult Christian Education, Unification Education, Adult Christian Education reunification, Situated Learning Theory, North Korean Refugees, Adult learning

 

 

 

 

 

 

 
전체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