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지 초록

기독교교육논총 45집

작성자
kimjeongjoon
작성일
2016-04-06 17:13
조회
2643
                                 Reading the Saints’ Life and Miracle Story  for Christian Education

                                                       Pill-Eun Lee (Korean Nazarene University)

 This research explores the possibility of incorporating reading of the saints’ lives into the curriculum of the church. The records of the saints’ lives and miracles, known as hagiography, contained various educational motives at the time of their writing. The typical intended audience for hagiography was the lay person, specifically female readers and children, and was generally written in the vernacular so as to contribute to the lay person’s spiritual and devotional formation. At church, children, youth, and adults frequently studied biblical figures, but rarely heard about the saints’ lives and their in the Protestant Church. The Protestant Church has been reluctant to suggest the saints’ lives and miracles as part of Christian literature to their congregation because they regard these books as part of the Catholic tradition. During the Medieval Ages, the saints’ lives and miracles represented specific devotional postures or ethical practices as a foundation for the Christian lifestyle.  Although hagiography justified the saints’ relic, the hagiographical text is meant to edify the reader, teach doctrine, inspire veneration of the saint, and exemplify Christian devoutness. In a modern context, using these books as Christian literature should be done with caution because they contain significant elements of Catholic teaching from the medieval period. If the church leadership carefully guides the congregation in reading and interpreting the books, the reader may acquire a sense of historical sensitivity, Christian traditions, and Christian life. This research is to provide a representative sample instead of an exhaustive one. The saints primarily covered in this paper are the child saint St. Foy and St. Mary Magdalene from eleventh and fourteenth century respectively, in order to demonstrate the social differences of these two time periods in the same area. Through analyzing these two case studies, this paper explores how these social and historical elements affect education.

                                                                                  한글 초록

                                             기독교교육 커리큘럼으로서 성인의 삶과 기적에 대한 독서

                                                                       이필은(나사렛 대학교)

 본 연구는 성인들의 삶과 기적의 이야기를 교회의 커리큘럼으로 개발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중세에 쓰인 성인 들의 삶과 기적은 성인전기(hagiography)에 주요한 내용이고, 핵심 적인 집필 동기는 중세 교회에서 성인으로 인정하는 교회적 차원의 목적과 동시에 평신도들의 성지순례의 동기를 부여하는 교육적 차원의 목적을 동시에 지니고 있다. 성인전기의 독자 대부분은 여성과 아동이었으며, 특히 토착어로 쓰인 성인들의 삶과 기적은 평신도들의 영성과 헌신적 삶을 형성하는데 공헌하였다. 현대에 교회에서 아동, 청소년과 성인들은 성경의 인물에 대한 학습을 하고 있지만, 개신교에서 성인들의 삶에 대한 내용은 전혀 들어볼 수가 없다. 개신교는 기독교문학작품으로써 성인들의 삶과 기적을 커리큘럼으로 다루는 것에 대해서 가톨릭 전통으로 여기기 때문에 교회에서 소개하는 것을 주저한다. 중세에 성인들의 삶과 기적은 평신도에게 기독교인의 삶의 중요한 영역인 헌신의 삶을 드러내주고 실천할 수 있는 모형을 제공해주었다. 그러나 개신교의 입장처럼 성인전기에는 유골 숭배 사상 등을 합리화하는 역할과 같은 가톨릭 전통을 포함하기 때문에 조심스럽게 접근해야 할 측면이 있지만, 동시에 독자들에게 기독교의 교리를 가르치고 성인들의 삶을 이해하고 그리스도인의 삶을 실천할 수 있는 동기를 제공해준다고 할 수 있다. 교회에서 교육받은 교사가 성인전기의 내용을 개신교의 신학적 입장에서 매우 조심스럽게 안내하면서 평신도들에게 학습의 기회를 제공한다면, 독자들은 역사적인 민감성을 학습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 이 연구는 두 성인들의 성인전기를 선택하여 당시의 시대적인 상황과 두 성인들의 기적의 독특한 측면을 신학적으로 평신도들에게 설명할 수 있는 예로 제시하였다. 예로 제시된 성녀 포이와 성녀 막달라 마리아는 기존의 남성 성인과는 다른 측면을 지니고 있다. 성녀 포이는 여성이면서 동시에 아동이었다. 그리고 성녀 막달라 마리아는 4세기부터 14세기까지 다양한 이미지로 변화되어 왔다. 두 성녀에 대한 삶과 기적의 내용을 통해서 독자들은 다양한 신학적 관점을 이해하고 당시의 시대적인 상황을 학습하는 효과를 거둘 수 있다. 그리고 그들의 삶은 기독교인의 헌신적 삶의 모형으로 제시될 수 있다.

 

                         Integrating Biblical Exegesis, Theology, and  Christian Education in Teaching the Bible:          

                                                       Teaching Diakonia in Terms of the Decalogue

                                        Shin-Geun Jang (Presbyterian University and Theological Seminary)

 Though an integration of biblical exegesis, theology, and Christian education in teaching the Bible is crucial, such cases rarely occur in the educational context of the Korean Church. Such lack causes fragmentation between content and methods of teaching and also initiates a method-centered approach to teaching without attention to sound and deep understanding of the contents of the text. Another problem in teaching the Bible is the individualized and privatized understanding of Christian faith. Taking these issues into consideration, this paper attempts to propose an alternative approach that can integrate biblical exegesis, theology, and theory of Christian education as well as teach diakonia in terms of the Decalogue for volunteers serving in high-poverty neighborhoods. The Decalogue has been chosen as the theme of Bible teaching in an attempt to transform the privatized personal and ecclesial practices of the current Korean Christians and church, thus calling attention to the importance of diakonia as core practice of the church. Based on literature-based methodology, this paper first gives exegeses on the text of the Decalogue in the book of Exodus 20:1-21 in dialogue with biblical theology. Then this paper aims to relate the theological method and content of Bible teaching in terms of Minjung theology, especially focusing on its concept of “confluences of the two stories.” In addition, Thomas Groome’s “theory of shared-praxis” joins in the conversation with biblical theology and Minjung theology. This type of teaching that integrates theory and praxis is called “incarnational teaching,” which lies at the focus of this paper. Finally, an example of the teaching-learning plan and questions for group work are proposed for practical use

                                                                                               국문초록

                성서신학, 조직신학, 기독교교육 이론의 통합을 지향하는 성서 학습: 십계명에 기초한 디아코니아 교육

                                                                                  장신근 (장로회신학대학교)

 오늘의 기독교교육은 근대적 의미의 응용신학을 넘어선 독립적인 정체성을 지닌 종합 학문으로 이해되고 있으며 다양한 타 학문을 비롯하여 다른 신학 분야와의 다양한 대화를 시도하고 있지만 기독교교육 현장에서는 이러한 대화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가 많다. 그 가운데 하나가 바로 지역 교회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성서 학습이다. 많은 경우 성서 학습은 일방적인 형태의 성서 내용의 전달에만 관심을 가지거나 혹은 반대로 흥미로운 학습 방법과 매체에만 초점을 맞추면서 내용과 방법 사이의 불균형 혹은 파편화 현상을 보이고 있다. 한국교회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성서 학습의 또 다른 문제점은 성서 내용에 대한 개인주의적이고 사사화된 이해이다. 이러한 것을 고려하면서 본 연구에서는 성서신학, 조직신학, 기독교교육학 이론 사이의 균형 있는 대화와 신앙과 실천의 사사화를 교정해 나가는 사회변혁적이고 공적인 차원을 지향하는 신학에 기초한 성육신적 성서 연구 모델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교회 현장에서 지역사회를 위한 디아코니아 사역을 담당하는 그리스도인들을 양육하기 위한 성서학습 모델을 모색한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문헌 연구방법에 기초하여 먼저 구약의 십계명(출 20:1-21)에 대한 성서신학과의 대화를 통한 주석을 시도하고, 민중신학의 신학방법론 중의 하나인 “두 이야기의 합류”를 통하여 디아코니아에 대한 기독교 전통과 한국의 고유한 전통 사이의 상호 만남을 시도한다. 그리고 토마스 그룸의 “공유적 실천” 방법에 기초하여 디아코니아에 대한 학습자들의 이야기와 성서 이야기 사이의 변증법적 대화를 시도한다. 마지막으로 이상의 내용이 균형적으로 반영된, 즉 삼자의 대화를 추구하는, 교수-학습안을 하나의 실례로써 제안한다.

 

                Educational Implications for the Building of Eucharistic Prayer as the Stories of Faith Formation

                                      Hyoung Seop Shin (Presbyterian University and Theological Seminar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educational implications for the building of the eucharistic prayer as the stories of faith formation with attention to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liturgy in the Presbyterian Church of Korea through critical analysis of the educational contexts of the Eucharist. According to the phase of Lex Orandi Lex Credendi, the appropriate practices of liturgical narratives help congregation members shape and form their faith in terms of identity, value, and life-style as God’s people. Among many liturgical narratives, the eucharistic prayer has been understood as one of core Christian narratives including creation, fall, salvation, restoration, and the kingdom of God in the context of worship. However, it is sad that eucharistic prayer is neither given adequate attention to its significance as a story which forms the faith of congregation members nor celebrated appropriately in Korean the Church. With this in mind, this study (1) identifies narrative theology and main issues by examining representative narrative theology scholars, (2) finds the educational rationales for the reconceptualization of eucharistic prayer by analyzing current liturgical texts of eucharistic prayer in the view of Anne Wimberly’s story-linking and Thomas Groome’s shared praxis, and (3) finds educational implications for the building of eucharistic prayer as stories for the faith formation at the table of the Eucharist. I hope that this work will help congregation members participate in eucharistic prayer as ongoing faith-formative stories fully, actively, and consciously rather than as static, repetitive, and formal stories in the past.

                                                                                          국문초록

                                                      신앙 형성 이야기로서의 성찬기도문에 대한 연구

                                                                               신형섭 (장로회신학대학교)

  본 논문은 한국 장로교 성만찬의 현장을 기독교교육적인 관점에서 분석하되, 특히 신앙 형성 이야기로서의 성찬기도문에 대한 기독교교육적 함의점들을 찾아보고자 한다. 오랫동안 기독교 예배신학에 서 기도의 법칙이 신앙의 법칙을 형성한다고 여겨왔듯, 예전 안에서 회중들의 합당한 참여하고 실천하는 내러티브는 그들의 신앙이 형성하여 하나님의 백성들로서의 정체성과 가치와 삶의 스타일을 세워가게 도와준다. 예전 안에서 활용되는 많은 내러티브 중에서, 성찬기도문은 예배의 현장에서 기독교 이야기의 핵심적인 내용들, 즉 창조와 타락과 구원과 회복과 하나님 나라의 이야기를 포함하는 대표적인 예전적 내러티브로 여겨져 왔다. 그러나 지금까지 한국교회 안에서 성찬기도문이 회중들의 신앙을 형성하는 이야기로서 충분히 인식되거나, 합당하게 실천되어지지 않은 것은 매우 유감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먼저 존던(John S. Dunne), 셀리 맥페이그(Sallie McFague), 제임스 맥클렌던(and James McClendon)과 같은 대표적인 내러티브 신학자들의 연구들을 통하여 내러티브 신학과 내러티브 신학의 주요 이슈들을 살펴보고자 한다. 둘째, 기독교교육 분야에서 내러티브와 신앙 형성에 관한 대표적인 연구인 앤 윔벌리(Anne S. Wimberly)의 스토리링킹(story-linking)과 토마스 그룸(Thomas Groome)의 공유적 실천(shared praxis)을 분석함으로써 성찬기도문의 신앙 형성 이야기로서의 재개념화에 관한 교육학적 근거를 모색할 것이다. 그래서 마지막으로는 성찬의 현장에서 신앙 형성 이야기로서의 성찬기도문을 보다 온전히 세우고 실천하기 위하여 요구되는 기독교교육적 함의점들을 찾아보고자 한다. 소망키는, 이러한 연구를 통하여 성찬기도문이 예배의 현장에서 정적이고, 형식적인 과거 내러티브의 반복이 아닌, 회중의 신앙이 지속적으로 형성되어지는 온전하고, 적극적이고, 의식적인 신앙고백의 내러티브가 되기를 간절히 바란다.

                                Developing Materials for Children’s English Bible Study in Korea

                                                   Tae Won Kim (Shinchon Presbyterian Church)

                                             Hae-ok Park (International Graduate School of English)

Children’s English worship programs have emerged as a trend in Korea with dual benefits: learning both English and the Bible at the same time. As the trend grows, so do the needs of the various professionals in the field; however it is still difficult to find materials meeting those needs. This study, therefore, aims to develop teaching materials for Korean children’s English Bible study which would help learners develop not only English skills but also biblical knowledge. The project began with a needs analysis through questionnaires and semi-structured interviews from the learners who experienced English worship services. The results of the needs analysis showed that the children had more interest in learning the content of the Bible itself than the English language, and that they wanted a deeper understanding of the various adventures portrayed in the Bible.Teaching techniques such as process drama conventions and personalizing tasks have been used in the proposed materials to encourage Korean children to learn about the Bible and to communicate in English in meaningful contexts. The study demonstrates the whole process of developing materials from conducting a needs analysis to designing a sample chapter.

 

                                                                               국문초록

                                                한국 어린이 영어 성경공부를 위한 교재 개발 연구

                                                               김태원 (교육목사, 신촌장로교회)

                                                          박혜옥 (조교수, 국제영어대학원대학교)

본 연구는 어린이를 위한 영어 성경공부 교재 개발을 목적으로 한다. 이미 많은 한국 교회에서 영어 교육에 대한 열풍과 영어 성경을 활용한 전도 수단으로 어린이 영어 성경공부가 새로운 기독교 교육의 장으로 부각되기 시작하였다. 하지만 기존의 교재로는 아이들의 흥미, 영어와 성경에 대한 필요를 모두 충족시키는데 미흡한 점이 있다. 이를 위해 저자는 기존 영어 성경공부에 참여하고 있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인터뷰를 실시하여 요구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다수의 학생들이 성경의 이야기에 흥미를 가지고 있으며, 의사소통 중심(말하기, 듣기)의 영어 능력을 개발시키고자 하는 요구를 발견할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본 교재는 학습자들의 흥미를 유발하기 위해 학생들이 직접 선정한 주제와 성경 이야기를 토대로, 과정 드라마 기법을 활용하였다. 과정 드라마 기법을 통해 학생들은 성경 속의 이야기에 더 깊이 빠져들 수 있었으며, 자연스럽고 유의미한 상황 속에서 영어로 더 많이 의사소통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받았다. 저자는 본 교재의 사용을 통해 학습자들이 성경 이야기를 더 깊이 이해하고, 영어 성경공부에 흥미를 가질 수 있기를 기대해본다.

 

                                            A Study on a Teaching Model for Youth in Korean Church

                                                                          Sung-Joong Kim

                                                (Presbyterian University and Theological Seminary) 

This paper is based on Christian educational theories and practices, and uses the method of documentary research. Many teachers in Korean churches have a difficult time teaching teenagers in that the teenagers think and act in a way that the teachers would never have imagined when they were young. In this situation, teachers approach students with methods fitting to the teachers’ culture. Strictly speaking, this is a problem of educational methods, not a conflict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make a new teaching model for youth in Korean churches on the basis of the combination of different kinds of educational methods in holistic dialectical structure. Specifically, in order to establish a theoretical basis the researcher will examine theories of some Christian education scholars and look at educational methodology according to the Paulo Freire’s teaching system (Banking, Problem-posing, and Praxis). After that, the researcher will make a holistic dialectical teaching model for youth in Korean churches and present concrete examples of teaching practices that can be applied to church education fields. This paper will show one of practical applications of holistic theology, give new insights to Christian education, and help teachers in churches to efficiently, effectively, and systematically teach teenagers.

                                                                                            국문초록

                                                               한국교회 청소년을 위한 가르침의 모델 연구

                                                                             김성중 (장로회신학대학교)

 

본 논문은 기독교교육의 이론과 실제에 관한 것이며, 문헌 연구의 방법을 사용해서 진행된 것이다. 한국교회 많은 중 ‧ 고등부 교회학교 교사들은 청소년들을 가르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왜냐하면 현재의 청소년들은 교사들이 어렸을 때 경험하지 못한 방식으로 생각하고, 말하고, 행동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교사들은 자신들이 느끼기에 편안하고 익숙한 방식의 교육방법을 사용해서 청소년들에게 말씀을 가르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이러한 문제가 교사와 학생 사이의 심리적인 갈등 때문에 생겨난 문제라기보다는 다양한 교육방법을 사용하지 않고 교사들 자신이 익숙한 방법으로 학생들을 가르쳤기 때문에 생겨난 문제라는 전제를 가지고 출발한다. 본 논문의 목적은 통전적이며 변증법적인 구조 안에서 다양한 교육방법을 종합하는, 청소년 교육을 위한 새로운 가르침의 모델을 개발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이론적인 기초를 정립하기 위해 저자는 기독교교육학자들의 몇몇 이론들을 살펴볼 것이며, 파울로 프레이리(Paulo Freire)의 세 가지 교육체계(은행저축식 <banking>, 문제제기식 <problem-posing>, 프락시스<praxis>)에 의거해서 교육방법론을 살펴볼 것이다. 그런 다음, 저자는 한국교회 청소년 교육을 위한 통전적이며 변증법적인 가르침의 모델을 개발할 것이고, 구체적으로 교회학교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가르침의 실제를 제공할 것이다. 본 논문은 통전적인 신학의 실제적인 적용을 보여주는 논문이 될 것이며, 기독교교육방법론 연구에 새로운 통찰을 제공해 줄 것이다. 그리고 한국교회 중, 고등부 교사들이 자신들이 맡고 있는 청소년들을 효율적으로, 효과적으로, 그리고 체계적으로 가르칠 수 있도록 작게나마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A Reflec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 Rights and Christian Spirituality

                                                               Jin Gu Kwon (Mokwon University)

 Human rights have undergone an arduous process to be written and be practiced legally in human societies. The history of human rights has a noticeable relationship with Christianity and Christian thoughts although Christian theology, thoughts, and spirituality are not the main factors that made the rights visible and valid. Some Christian groups and individuals fought for democracy and rights especially during the Cold War while Christianity has been the strongest friend of the powers and the privileged throughout history. Christian churches still practice discrimination against people who have different origins and orientations of various kinds. This study suggests that Christians should consider seeing the image of God in others as their new spiritual goal for their spiritual practice as the image of God in others has not been recognized by Christians for a long time and that actualizing the image of Jesus in Christians in societies as another spiritual goal for their spiritual practices. This study asks: Can Christians renounce their freedom and rights for others as Christians have done this for their spiritual goals?

                                                                                                국문초록

                                                                인권과 기독교 영성의 관계에 대한 고찰

                                                                                     권진구 (목원대학교)

 국가 사회 그리고 공동체에서 인권의 개념이 법적으로 성문화되고 적용되기까지는 길고 고단한 과정이 있었다. 권리의 역사는 기독교의 역사와 기독교적 사상들과 깊은 관계를 맺고 있다고 할 수 있지만 기독교 신학, 사상과 영성이 권리를 법적으로 가시적이며 유효하고 실제적인 가치로 인정받을 수 있도록 한 핵심 요인이었다고 할 수는 없다. 일단의 기독교 단체와 개인들은 냉전 시대를 전후해 민주주의와 보편적 권리를 위해 투쟁한 반면 기독교 자체는 서구 역사 전반에 걸쳐 권력자와 특권 계층의 가장 강력한 협력자였다고 말할 수 있다. 과거 기독교인들은 서구 사회에서 정치, 사회, 윤리, 종교적 문제에 있어서 영향력을 행사하며, 기독교적인 가치와 기준에 부합되지 않는다고 여겨지는 사람들을 차별하고 억압했다. 지금도 경중의 차이는 있지만 여러 국가의 기독교인들은 다양한 사람들을 그들이 선천적으로 혹은 후천적 선택에 의해 지니고 있는 다름을 이유로 차별하고 있다. 그러한 다름의 종류는 인종, 성(sex와 gender), 종교, 정치적 성향, 성적 지향, 경제 수준, 문화, 장애, 교리와 믿음 등 다양하다. 영적인 기독교인들이 타인의 권리를 존중하는 것은 기독교 영성에 있어서 중요한 문제라 할 수 있다. 기독교 영성이 추구하는 화해, 연합, 일치, 평화, 나눔 그리고 사랑 등의 가치와 그에 대한 실천은 타인을 억압하고 그들의 권리를 무시하면서는 실현할 수 없는 가치들이다. 이러한 문제를 위해 본 연구가 제시하는 바는 다음과 같다: 타인들에게서 하나님의 형상을 보는 것이 영성 실천 또는 훈련의 한 목적이 되어야 하며 그리스도의 형상을 기독교인인 우리 자신들에게서 실현시켜 우리가 속한 사회 속에서 타인의 권리를 위해 힘쓰도록 우리를 변화시키는 것이 영성 훈련의 또 다른 목적이 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영적인 기독교인들에게 ‘기독교인으로서 고귀한 영적인 목적을 위해 자신의 권리와 자유를 포기하고 희생하는 것을 감수했듯이 타인들에게서 하나님의 형상을 보는 것과 우리 안에서 그리스도의 형상을 실현하는 것이 영적인 목적이 될 수 있는지 그리고 이러한 영적 목적을 위해 권리와 자유를 포기할 수 있는가?’를 묻고 있다.

 

                                Christian Education for the Elderly and Their Life and Faith Story

                                                               Kyungseuk Oh (Halla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how Christian education approach or model for the elderly in Korea can be emphasized by understanding the elderly’s life story and faith story. This research can be differentiated from others in terms that it is an empirical one. Research findings on Christian education for the elderly in Korea have been deductive in that general principles from other disciplines such as education, psychology, theology, sociology, and gerontology has been applied to Christian education setting without substantial verification and evaluation. However, this research is an attempt to show how applications and premises on Christian education for elderly in Korea can be drawn from and enacted through old people’s life story and faith story. Also, this research using qualitative methodology can be listed as one of the few studies in the field of Christian Education for the elderly in Korea. Six interview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Interviews were done individually and in group. Each person was interviewed two times individually for one and half to two hours for each session.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twice: one for a preliminary meeting and one for a follow-up. Also the findings were reported back to each interviewee. In-depth interviews were done with each participant two times. First interview was designed to know about their life story.  For this interview, ten questions that were developed by McAdams(1988) were asked. Second interview was about their faith story. For this interview, seven questions prepared by the author were used. Interview data and participant observation memos were analyzed in three stages. The first step was to find appropriate words or phrases representing their life and faith stories. By reading each interviewee’s entire transcripts, words or phrases that were repeatedly used were selected to represent the meanings of their life and faith stories. Second stage was to find appropriate themes for those words or phrases. And, the third stage was to categorize or tie themes into grand themes. Three themes can be drawn from the elderly’s life story such as family as a backbone for life, breakthrough, and happy childhood. Four themes were drawn from the participants’ faith story such as God’s grace, prayer partner, hope, and servanthood. After some discussions on the research findings, the faith community approach and interpretation approach for Christian education for the elderly in Korea are suggested.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also listed.

                                                                                          국문초록  

                                                                노인 인생과 신앙 이야기와 기독교교육

                                                                                오경석 (한라대학교)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 노인을 위해서 어떠한 기독교교육적 접근과 모형이 노인의 인생 이야기와 신앙 이야기를 이해함으로써 강조될 수 있는가를 살펴보았다. 이 연구는 기존 노인 기독교교육의 연구와는 다르게 실용적 접근을 한 연구이다. 이제까지 한국의 노인 기독교교육 연구는 교육학, 심리학, 신학, 사회학, 노년학과 같은 학문으로부터 이끌어진 일반적 원리들이 충분한 확인과 평가 없이 기독교교육에 적용되어왔다는 점에서 연역적이라 할 수 있다. 반면에 이 연구는 노인을 위한 기독교교육에 관한 적용과 전제가 어떻게 노인 자신들의 인생 이야기와 신앙 이야기를 통해서 나오고 실행될 수 있는가를 보여주는 시도이다. 또한 이 연구는 노인 기독교교육에서는 거의 사용된 적인 없는 질적 연구 방법을 쓰고 있다. 이 연구에는 여섯 명의 노인이 참여하였다. 면담은 개인적으로 그리고 집단적으로 두 번에 걸쳐서 이루어졌다. 각 개인 면담은 한 번에 한 시간 반에서 두 시간에 사이에 두 차례 이루어졌다. 집단 면담도 두 번 이루어졌는데 한 번은 준비 모임, 또 한 번은 후속 모임이었다. 연구 결과는 또한 각 개인에게 보고되었다. 심층면담은 각 개인에게 두 번씩 이루어졌으며, 첫 번째는 노인의 인생 이야기를 알기 위한 것으로, McAdams가 개발한 열 개 질문을 하였다. 두 번째는 노인의 신앙 이야기에 관한 것으로 본 연구자가 준비한 일곱 개 질문이 주어졌다. 면담 자료와 참여 관찰 메모는 세 단계에 걸쳐 분석되었다. 첫번째 단계는 노인들의 인생 이야기와 신앙 이야기를 대표할 수 있는 적절한 단어나 구절을 찾는 것이었다. 개인의 전체 면담 내용을 읽음으로써 노인들의 인생 이야기와 신앙 이야기를 대표할 수 있는 반복적으로 쓰인 단어나 구절이 선택되었다. 두 번째 단계는 이렇게 선택된 단어나 구절에 대한 적절한 주제를 발견하는 단계였다. 세 번째 단계는 이런 주제를 대주제로 묶는 것이었다. 노인의 인생 이야기로부터 인생의 근간인 가족, 탈출구, 행복한 어린 시절과 같은 세 가지 대주제가 나왔다. 연구 참여자의 신앙 이야기로부터는 하나님의 은혜, 기도 동역자, 희망, 봉사라는 네 가지 대주제가 연구 결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진 후에, 한국 노인을 위한 기독교교육 모형으로 신앙 공동체 접근과 해석학 접근을 제시하였다. 또한 이 연구의 제한점이 제시되었다.

 

 

 

 
전체 0